top of page

이성원 - Lee Seung-Won (Lee Sung-Won)


이성원 2 (나무밭에서) / On the tree field

LP 1992-09-00서울음반 (SPDR-310)

CD 이성원 / 나무밭에서 알라딘 2004-01-01

* A1.보아라 수야 / Behold Suya 2. 님은 홀로인가 / Are you alone? 3. 구름타령 / Commanding the clouds * 4. 상주모심기 / local planting * 5. 문밖에 봄빛은 / Spring light outside the door * B1. 밭 / Field 2. 저기 흰구름 / There is a white cloud 3. 그래 그래 / Yes yes 4. 내 마음은 / (where) My heart (is) 5. 말하라 깊은 어둠이여 / Calling a deep darkness

통기타 : 이성원, 김두수 ; 피리 : 노수길 ; 양금 : 미선씨 ; 전기기타 : 이정선 ; 건반 : 최경식 ; 장고 : 박영주 ; 바이올린 : 신상철 베이스 : 신현권 ; 플룻 : 이성익 ; 녹음 ; 양경희, 장호준, 최승복, 전수범 ; 작사 작곡 편곡 : 이성원 ; 기획 제작 : 이성원, 임원빈 사진 : 김광수 ; 일러스트 디자인 : 이인수 ; 녹음장소 : 뮤직라인 스튜디오, 전 스튜디오 ; 제작기간 : 1990.12~1992.8

Others participants: Sung Won Lee, Doo Soo Kim; Flute: Roh Soo Gil; Yang: Mi Sun; Electric guitar: Lee Jung Sun; Keyboard: Choi, Kyung-Sik; Django: Park Young-Ju; Violin: Shin Sang-chul ; Base: Shin Hyun Kwon; Flute: Lee Sung-Ik; record ; Kyung Hee Yang, Ho Jun Jang, Seung Bok Choi, Soo Beom Jeon; Lyrics Arrangement: Lee, Sung-Won;

Project Production: Sungwon Lee, Executive Bean ; Photo: Kim Kwang-Soo; Illustration design: Lee In Soo; Recording Location: Music Line Studio, Former Studio; Production period: 1990.12 ~ 1992.8

Beautiful acoustic singer-songwriter album (acoustic guitar, voice, one track with some additional keyboards), slightly complaint-like. 4th track has Korean flavour. 6th track sounds like having some additional dulcimer ?.


Folkie Jin : "These are Korean traditional arrangements. it called "Kamumgo".


Very good ! Impossible to airplay less than the chosen 4 tracks. The 10th or last track is with band (electric guitar, drums, organ..).


The most unique thing about it is that (in 2/3 of the tracks inspiration) it makes Korean Folk tradition into an independent singer/songwriter folk guitar style, like a new type of Korean folk blues. The last track is more predictable electric blues.


(I'm still looking for a CD / LP copy).


Maniadb : 이성원은 1986년 정기적인 개인콘서트를 크리스탈 문화센터에서 열며 자신의 음악빛깔에 덧칠을 해나갔다. 창작곡으로 꾸며진 데뷔음반<문을 열고 나서니-아세아,1987년>은 제작사의 야심에 찬 홍보전략으로 제법 촉망 받는 인기가수의 꿈을 키우게 했다. 그러나 방송국 PD에게 촌지 봉투가 오가는 것을 보자 음악보다 돈이 우선하는 현실에 얼굴이 화끈거렸다. 사실 1집은 이성원의 국악적 향내를 철저하게 지워내는 편곡으로 제작된 평범한 앨범이었다. 그는 ‘솔직히 음반을 낸다는 욕심에 상업적으로 타협했다’고 고백한다. 이후 상업적인 음악활동과는 거리를 두며 우리가락을 포크와 접목하는 음악실험에 몰입하며 즉흥 창작 무용곡에도 빠져들었다. 1988년 겨울 평택에서 새벽 산책을 나갔다가 동화처럼 신기한 경험을 했다. 소들이 숨쉴 때마다 내뿜는 하얀 김이 장관을 이루자 만져보고 싶어 다가갔다. 소들이 기겁을 하며 달아나자 돌아서기 섭섭해 즉흥적으로 노래를 부르자 흩어져있던 소들이 신기하게도 스스로 뿔을 들이대거나 혓바닥을 내밀며 몰려들었다. 아무런 저항 없이 순순히 그의 손길을 받아들이자 우리 가락은 자연과의 교감이 가능하다는 가슴 뻐근한 감동이 밀려왔다. 신비로운 경험은 더욱 자유로운 음악 날갯짓으로 1989년 첫 국악 가요 발표회로 이어졌다. 2집<나무밑에서-서울음반,1991년>은 자신의 음악색깔을 고스란히 담은 사실상의 데뷔 음반이다. 이정선이 편곡작업을 거들고 김두수는 기타 세션으로 힘을 실어 주었다. 그러나 한편의 시나 다름없는 수록곡 <밭>의 절제된 가사는 ‘말이 안 된다’는 이유로 심의에 걸렸다. ‘2집 발표 후 골수 팬들이 생겨나 지금까지 묵묵하게 도와주는 후원자가 있다. 올해 발표한 2장의 신보도 그 분의 도움으로 가능했다’고 말하는 이성원. 수록곡 <보아라 수야><구름타령><밭>은 1980년대를 수놓을 만한 한국적 가락의 정통 포크곡들이다. 오선지의 틀조차 깨기 위해 한 음 한 음 직접 기타 줄을 튕기며 곡을 만드는 그의 창작작업은 독특하기만 하다. 이성원은 2집 발표 후 활기찬 활동으로 국악가요의 영역을 넓혀 나가던 중 1993년 인도의 명상음악과 조우하는 음악적 전환점을 가졌다. ‘제 3세계음악의 폭풍'이라 불리며 미국과 유럽을 발칵 뒤집었던 인도의 세계적 거장 라즈니쉬와 아쉬람 현지 공연에서 인도 라가풍의 명상음악과 우리민요가락의 충돌은 황홀한 불똥을 튀게 했다. 이때부터 이성원은 인도음악에 대한 관심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1996년 어느 날. 일본의 한 유명가수가 그의 음악에 관심을 보이며 찾아왔다. 우리가락을 배우겠다는 열의가 예뻐 음악을 가르쳐 주었지만 그의 음악을 도용해 음반을 발표해 버렸다. ‘동양의 매력을 내뿜는 새로운 작품’이라며 일본 음악계가 들썩했다. 일본에 초청돼 오사카에서 함께 공연하면서 자신과 우리 음악을 도난 당한 분노에 치를 떨었다. 이성원은 ‘나는 역사를 바꿀 힘은 없지만 노래로 표현할 힘은 있기에 답답한 패잔병의 유산이 청산될 날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동요를 부르게 되었다’고 힘주어 말한다. 사석에서 노래할 땐 언제나 동요를 부른다. <엄마야 누나야> 등이 수록된 1999년 첫 동요음반<뒷문밖에는 갈잎의 노래>도 어느 조촐한 자리에서 그의 동요를 듣고 감격한 사람들이 강력하게 음반작업을 추진해 맺은 결실이다. - 주간한국 인터뷰에서... ...


In 1986, Lee held a regular private concert at the Crystal Culture Center and expressed there his music. The debut album, "Opening the Door-Asia, 1987" made up of original songs, raised the dream of a popular singer who was quite promising with the producer's ambitious promotional strategy.


However, when I saw the envelope coming from the station PD, my face fluttered in the reality that money preceded music. In fact, the first album was an ordinary album that was made with the arrangement that thoroughly erases the traditional fragrance of Lee Sung-won.

He confessed, It is true: 'I've compromised commercially with greed to be honest.' Since then, he has been separated from commercial music activities and immersed in music experiments that combine folk music with acoustic folk and immersed in impromptu creative dance. In the winter of 1988, he went for a walk in Pyeongtaek and had a wonderful experience like a fairy tale.


Every time the cows breathe, the white seaweed is splendid and I want to touch it. When the cows fled, turned back, regretting it, and spontaneously "sang". The scattered cows curiously flocked their horns or pushed out their tongues. When I accepted this without any resistance, my heart was touched by the feeling that our rhythm could communicate with nature. Such mystical experiences led to the release of the first Korean traditional music song in 1989 with more free music wings. Vol. 2, Under the Tree-Seoul Records, 1991, is a debut album that captures the color of his music. Lee Jung-sun assisted in arranging work, and Kim Doo-soo empowered him with a guitar session.


However, the restrained lyrics of <The Field>, which is almost like a poem, were deliberated on the grounds that it makes no sense. ‘Bone marrow fans have emerged since the release of Vol. 2, and there is a supporter who helps me so far.


Two new reports released this year were also possible with his help. ” The tracks Boa Suya, Cloud Taryeong, and Field are authentic folk songs of Korean rhythm that could embroider the 1980s.


His creative work of making songs by bounce- ing guitar strings directly to break even Oh's frame is unique. Lee Sung-won had a musical turning point in 1993, encountering meditation music in India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lively activities.

The Indian Laga style meditation music and Korean folk song bounced off the enchanting fire at the local performances of Rajasthan and Ashram, India's world masters who called it the “Third World Music Storm” which flipped America and Europe. Since then, Lee Sung-won hasn't lost his interest in Indian music.


One day in 1996. A famous Japanese singer came to show his interest in music. The enthusiasm for learning our rhythm taught us pretty music, but he stole his music and released the record. The Japanese music industry was amazed, saying, “It's a new work that brings out the charm of the East.” Invited to Japan and performing together in Osaka, I was shocked by the anger that stole my music with us. Lee Sung-won says, 'I have no power to change history, but I have the power to express it in song. When we sing in the past, we always sing nursery rhymes. In 1999, his first nursery album, <Mother's Songs Behind the Back Door>, which included <Mom and Sister>, was a fruitful force of those who were thrilled after hearing his nursery rhymes.


-At the weekly Korean interview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