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채규엽 - Chae Yug-Yeop / Chae Gyu-Yeop



Early radioshow-related description of the tracks: "The first 4 tracks show guitar/violin plus voice only in early trot style, with a warm voice and on track 3, with a small combo as well for some rhythmic accompaniment. The 5th track has a more jazz flavoured accompaniment, jazzy piano part, strings plus horns. On the 6th unusual track we seem to hear a self-built banjo-like picking and close gypsy violin sounds. This is much more like a local country folk blues track, but still has some trot/new folk associations. The instrumental parts in the 7th track is led by violin and accordion and violin, smoothly walzing harmony melodies, the song itself is accompanied by violin, picking guitar, flutes. The next few tracks hold mostly the middle between trot and cabaret, with more still less original song melodies or arrangements. Track 8 is different for its arrangements, which are also colourful with its rhythmical workout. It has a certain jazz influence too. Track 9 and ten have no real distinctive qualities to the 30s trot style. Track 11 and 12 have guitar and violin as lead accompaniment. Track 13 shows a marching band rhythm and more jazz, could fit into a movie. Track 15 has something oriental-exotic in the clarinet arrangements of the small combo with singer."


This CD is part of a 23CD-box. The track listing is as follows:


유성기로 듣던 불멸의 명가수 - 유성기로 듣던 불멸의 명가수 Vol. 12 채규엽 편 [compilation] (1996)

Immortal singers heard during the Meteor Period Vol. 12: Chae Kyu-yeop

1. 술은 눈물이랄까 한숨이랄까 / Would tears be like tears or sighs?

2. 님 자최 차자서 / Self Controlled Nim (?)

3. 비오는 포구 / Rainy muzzle

4. 처량한 밤 / Desolate night

* 5. 홍등야곡 / Hongdeung Yagok

6. 방랑의 노래 / Song of Wandering

7. 봉자의 노래 / Song of the Bong

8. 홍루원 / Hongruwon-Chaegyuyeop

9. 시들은 청춘 / Poems are youth

10. 눈물의 부두 / Pier of Tears

11. 아득한 천리길 / Faraway Cheonri-gil

12. 외로운 길손 / Lonely Gilson (?)

13. 마라손 제패가 / Marason won the game (?)

14. 만주의 달 / Manchurian Moon

15. 광야의 황혼 - Twilight in the Wilderness

Tracks with * I consider essential listens or classics, or tracks not to miss to check out. They are of course also very suitable for western radioshow airplay.

유성기로 듣던 여명의 한국동요 / Korean Songs of Dawn (= lullabies)

* CD2 6 오양간 송아지 / (Song of) The Calf (40323 A)

This is a children song’s Lullaby accompanied by acoustic pickings only. The guitar picking is nicely interpreted in a somewhat bluesy way. A bit further on accordion is added as well. There has been given a large part of the track full attention to the instrumental part. The song has something timeless, so it is hard to say from which date it is.

유성기로 듣던 일제시대 풍자 해학송 /

The satire of Japanese imperialists heard during the Meteor period

3 꼴불견 주제가 / Unpopular theme song (1932)

This is a clearly jazz driven cabaret song with duo singers.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Songs that I heard during the musical period from (1925~1945) [Disc 1]

9 봄노래 부르자 / Let's sing a song of spring (1929)

This is a rather funny sounding or pretty much waltzing violin/brass driven song which remind me of the songs from the "Pork Song" compilation. It is old music styled and very cabaret-like.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Songs that I heard during the musical period from (1925~1945) [Disc 2]

13 서울노래 / Seoul Song (1934)

This is a more sad waltz with an early trot or Japanese-like song associations. It is led by voice and wining violin (with some solo of acoustic “Hawaiian”-like guitar and a few subtle accents or instrumentation by a more instruments).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Songs that I heard during the musical period from (1925~1945) [Disc 7]

10 기타에 울음 실어 / Crying guitar (1939)

11 북국(北國) 오천(五千)키로 / Northern Kingdoms Five Rivers (1939) -charriot rhythm-


“Crying guitar” is a truly fine old Japanese styled guitar trot song with acoustic guitar, which is, like it is supposed to be, sad and contemplative. It is professionally sung but perhaps not necessarily exceptional. The second track is with a driving-a chariot-like marching rhythm with very heavy power accents in these arrangements at some chosen moments. It is a trot song with a pleasant tone and through its arrangements with cabaret-like effects.

유성기로 듣던 북(北)으로 간 가수들 / Singers that went to North Korea (CD 1994)

1 희망의 종이 운다 / Paper bell of hope

2 저녁의 바닷가 / Evening beach

3 시들은 청춘 / Wilting youth

The first song, “Paper bell of hope” has a marching rhythm and jazz-like arrangements. I assume a paper bell does not sound very resonating, so in combination with its frolic vibe it must have been a cynical song. The song “Evening beach” accompanied by piano and violin perfectly describes a desolate walk on the beach. It is almost classical as a song. “Wilting Youth” is a Japanese-like trot song.


-----------------------------------------------------------------

BIOGRAPHIES:

Rough translation of the Korean Wikipedia page :


°1905-1911 (probably 1906 / Hamhung, South Korea) - December 1949. Singer. Category : trot. Active from 1930-1949, main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studied at the Central Music School in Tokyo and vocal music from the mid 1920s to in Japan, participating in the trend wave art movement that was fashionable at the time. He became a music teacher in a girls' school in 1930, where he had been asked before to perform baritone recitals in Seoul, in 1928.


He debuted as a pop singer in 1930 too on Columbia Records in Japan, showing a chance to perform in Japanese during the festivities. He recorded some records since then. In 1935, "Samchully" was topped the most succesful track in the male singer category.


He convinced Columbia Records head office to go to Japan for three years. He kept a connection with Japanese as the first Korean singer ("Ichiro") in Japan. But the increasing costs of traveling didn’t add advantage to his popularity around 1937. Chaegyuyeop tried to adapt several enka styled songs. At some stage he was accused to have an affair with a 16 year old, a story which headed the newspaper and which forced him to his retirement. The Japanese and Japanese Army however protected his career, also during the late 1943's Pacific War. After the war he continued to perform, mostly for the US military. The enka style however could no longer be performed and he was quickly reported to be a fraud suspect. Not much is know what happened to the singer since 1949.

-----------------------------------------------------------------


Wikipedia: Before the 1920s, there was little information about popular Western music. In the 1920s, some recordings with a vague resemblance to Trot were heard around Korea, but these were likely forms of Western popular music. To detail Trot music's beginnings, the following songs are presented as 'forerunners':


"Pupil Song" (Korean: 학도가), first recorded in May 1921 and sung by Korean Christian youth group, became popular.[33] This song belongs to marching songs. The melody of "Pupil song" was borrowed from "Railway Song" (鉄道唱歌), which Japanese composer Oono Umekawa had composed in 1900.[34] Who wrote lyrics of "Pupil song" is unknown. Several singers, e.g. Chae Gyu-yeop (Korean: 채규엽), Go Un-bong (Korean: 고운봉), recorded this song. The song became popular because the encouraging mood, evoqued by a beat typical of marching songs, was appealing to the those oppressed by Japanese rule.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Railway Song" was later adapted to fit North Korean communist ideals, titled "Revolutionary Song Against Japan" (Korean: 반일 혁명가) and "Rise Proletariat" (Korean: 일어나라 무산대중).


In the period of colonial rule, pop culture in Korea was clearly influenced by Japan, and Western culture (primarily from Christian missionaries).[nb 5] Many musicians, such as Yun Sim-deok, Chae Gyu-yeop, and Park Hyang-lim, were educated in Japan or by institutions founded by missionaries. They imitated songs from Japan, or hymns and melodies from the West. In the 1920s there were few Korean composers who wrote original popular music. In the 1930s, Korean songwriters began composing original popular songs whose unhemitonic pentatonic scale were typical for Trot as well as for enka.


Lee Aerisu (Korean: 이 애리수) recorded "Traces Of Castle Ruins" (Korean: 황성의 적) in 1931(released 1932), later remade under the title "황성 옛터" by many Trot singers. This song marked a milestone in Trot music. In 1931 the first countrywide competition for the new singers took place, in which Go Bok-su (Korean: 고복수) was chosen and became one of the most prominent Trot singers: his debut song, "Away From Home" (Korean: 타향, later titled 타향살이) became a hit. In 1933 Okeh records company was founded, which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rot and produced a lot of hit songs.

-----------------------------------------------------------------


Yongwoo Lee (Embedded voices in between empires) :


"Recorded in 1934, Sarangeui Yureiti (ong of Love) of Chae Gyu-Yeop was the first Korean yodeling song, a remake of the famous German folk song ―Alpine Milkman by Franzl Lang. This song was made by British singer songwriter, Leslie Sarony (1897.1.22-1985.2.12), a famous artist and radio celebrity in 1920s to 1930s and was remade in 1933 as Nakano Tadaharu‘s ―Yamano Ninkimono (山の人気者, lyrics by Honmaro Jirou) in Japan. It is interesting to see the cultural concurrency by juxtaposing these two versions of ―Alpine Milkman in both Imperial Japan and colonial Korea."


"The idea of indigenous jazz songs was complex in several respects. First, the Korean singers‘ vocalization is reminiscent of Japanese singers‘ mimicking American jazz singers such as Rudy Vallée, Bing Crosby and Frank Sinatra; these were filtered through Japanese performers such as the Calua Mamainasu Band and Columbia Nagano rizumu boyz, who in turn influenced the jazz vocal styles of Korean singers such as Nam In-Soo, Chae Gyu-Yeop and Kim Hae-Song. Secondly, the majority of the song lyrics were also overflowing with expressions of emotion, using excessive exclamation (Oh! Ah!) to express self-indulgent tendencies. Thirdly, the jazz songs often overused ―modernEnglish as buzzwords, particularly in songs such as ―Sarangui rangdebu‖ (Rendezvous of Love, performed by Chae Gyu-Yeop), ―Dinah (Diana, performed by Kang Hong-Sik and Ahn Myeong- Ock), „Sarangeui Yoreitie" (Yodel Song of Love, the first yodeling song in Korea, sung by Chae Gyu-Yeop) and Neonui Paradaisu (Paradise of Neon sign, performed by Yu Jong-Sup). Korean jazz songs and Yuhaengga had to be modeled on westernized Japanese music, with its notation, composers, compositions and instrumental arrangements. Notably, many Japanese arrangers were engaged in the production and arrangement of many Korean jazz songs, such as ―Okuyama Teikichi‖ (奧山貞吉) of ―Sarangeui Yoreitie‖ (Yodel song of Love, performed by Chae Gyu-Yeop), ―Jeulgeun naesalim‖ (Happy Housekeeping, performed by Kwon Young-Geol), ―Seoul Myeonmul‖ (Special Products from Seoul, performed by Kang Hong-Sik), ―Sugita Ryozo‖ (衫田良造) of ―Sarangeui Rangdebu‖ (Rendezvous of Love, performed by Chae Gyu-Yeop),..." Lee Young-Woo


-----------------------------------------------------------------


(1절)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푸른 하늘 밝은 달 아래 곰곰히 생각하니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 다시 꿈같다

(2절)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담소화락에 엄벙덤벙 주색잡기에 침몰하랴

세상만사를 잊었으면 희망이 족할까

2009년 새해가 밝았다. 묵은해를 뒤로 하고 희망의 신년을 맞은 것이다. 매년 그랬듯 우리는 새해도 잘 풀리길 저마다 기원하며 ‘희망가’를 부른다. 건강, 돈, 명예, 벼슬, 가족행복 등 소망하는 건 대부분 비슷하다. 새해는 첫출발, 희망, 꿈과도 통한다.

그래서 대중가요 <희망가>는 새해에 맞은 노래다. 4분의 3박자 왈츠 풍으로 부르기가 쉽다. 노랫말엔 ‘희망’이란 말이 여러 번 나와 연초분위기와 맞아떨어진다. 희망이 담긴 노랫말이 의미를 더해준다.

게다가 2006년 11월 문화재청이 근대문화재 보존관리를 위한 대국민홍보차원서 벌였던 ‘근대문화 1호 찾기’ 캠페인 때 부각, 눈길을 끈 대중가요이기도 하다.


첫 대중가요…외국곡에 가사 붙여

<희망가>는 노래를 부른 가수와 관련된 재미난 사연들이 많다. 국내 최초 레코드취입가수가 불렀다는 점과 일제강점기 때 백성들이 자연스럽게 불렀던 외국 곡을 번안해 탄생된 노래란 점이 특이하다.

우리 노래로 알고 있는 건 곡조와 노랫말이 한국인 정서에 맞게 바뀌어 불린 까닭이다. 흐름이 대체로 부드럽고 멜로디가 쉽다. 1919년 3·1만세운동 물결이 지나간 뒤인 1923년 무렵부터 대중 속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민족염원이 물거품으로 돌아간 뒤 대중들 마음은 좌절과 허탈감에 빠졌다. 소위 문화정치를 내세운 일본의 통치방식이 다소 누그러져 조선사회가 활기를 띄는 듯 했지만 민중들 일상은 그렇잖았다. 이런 시대상황에서 애조 띤 노래(창가)가 유행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이 노래를 ‘희망가’라 불렀다. 일제강점기 억압에 시달린 민초들의 바람이 <희망가>란 노래를 낳은 셈이다. 모진 겨울바람에 시달리며 봄을 기다리는 꽃봉오리 같은 백성들 소망의 외침이 <희망가>로 나타났다.

아쉽게도 <희망가>의 바탕이 된 외국 곡을 번안한 사람과 편곡자 역시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토마스 가튼의 <夢の外>가 원곡으로 가요계에 알려져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 대중가요로는 1925년 발매된 ‘조선소리판’에 실린 노래를 드는 사람들이 많다.

도월색의 <시들은 방초>, 김산월의 <장한몽>과 1926년 윤심덕이 불러 히트한 <사의 찬미> 등으로 알고 있으나 사실은 <희망가>가 이보다 훨씬 전에 나왔다.

1922년에 나온 노래집엔 <청년경계가>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 이어 전국적 유행에 힘입어 일축(일본축음기상회)에서 음반으로도 발매됐다. 음반이 처음 나왔을 땐 다시 제목이 바뀌어 <이 풍진 세월>로 나왔다. 명확하진 않으나 1925년 전에 나온 노래가 틀림없다. 음반으로 취입된 우리나라 유행가 중 가장 오랜 작품으로 기록된다. 문화재청의 대중가요 1호 찾기 목록에 오른 것도 이 때문이다.

문화재청 ‘1호 찾기’로 부각돼

<희망가>는 83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불리고 있다. 김종서, 시나위, 최영철, 장사익, 한 대수 등 후배가수들이 리메이커 해서 취입했고 전국 노래방에도 반주가 깔려있어 이 노래를 찾아 부르는 이들이 적잖다.

특히 1980년 언론인들이 이 노래를 자주 불렀던 적이 있다. ‘전두환 정권’의 언론통폐합 방침 속에 그해 가을 새마을연수원에 강제 입소해 5공 새 정부의 이념교육을 받았던 언론인들이 신아일보, TBC(동양방송), DBS(동아방송) 등 언론사가 문 닫는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강의실에서 이 노래를 합창했다. 한국경제신문 정경부 기자였던 본인도 그 현장에서 선배들과 <희망가>를 목청 높여 불렀던 기억이 난다.

<희망가>의 작사가, 작곡가는 누구인지 모르지만 1925년 우리나라 최초의 레코드취입가수 채규엽(蔡奎燁)이 불러 히트한 것만은 사실이다. 채규엽은 일본서 음악공부를 한 사람으로 <봄노래> <방랑자의 노래> 등을 불러 인기가 높았다. 그는 국내 직업가수 1호이자 최초의 포크가수다.

일본 와세다대학 만돌린부에서 활동했던 한국유학생이 채규엽의 노래반주를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돌린부 학생들은 만돌린은 물론 통기타도 연주하곤 했다. 통기타반주가 위주이고 아코디언이 간주부분에서 받쳐준다.

그 때의 기타 줄은 섬유로 만들어져 언뜻 들으면 소리가 이상하지만 당시로선 최고로 좋은 악기 줄이었다. 가느다란 실을 여러 개 엮어 꼬아 만든 줄로 되풀이해 들을수록 담백하고 듣기도 좋다는 느낌을 준다.

1907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채규엽은 신명학교를 졸업, 일본 동양음악학교에서 정식 가수수업을 받은 우리나라 최초의 유행가가수다. 1930년 콜롬비아레코드사의 전속가수가 돼 <봄노래 부르자>를 출반했다. 이어 <명사십리> <시들은 청춘> 등 히트곡들을 남기기도 했다. 일본 최고 인기작곡가 고가마사오(古賀政男)의 히트곡 <사케와 나미타까 타메이키까(酒淚溜息)>를 번안한 <술은 눈물이냐 한숨이냐>를 우리말로 취입, 대단한 인기를 끌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땐 한국 대중음악계 최고가수로 꼽혔다. 잡지사(삼천리)의 인기가수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을 정도다.

채규엽, 친일활동하다 월북

호스티스의 염세자살을 주제로 한 <봉자의 노래>를 널리 유행시켰으나 1939년 이후 행방을 감췄다. 8·15광복 뒤 다시 연예계에 나타나 활동했던 그는 1947년 연예단체를 운영했으나 사업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일제 말 적극적인 친일활동과 해방 후 월북으로 우리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사람이 돼버렸다.

채규엽은 가수 전영록의 고모부다. 별세한 배우 황해 씨(전영록 부친)의 여동생과 결혼, 딸을 하나 뒀다.

‘어른이 부른 동요’라 할 수 있는 <외양간 송아지>를 취입, 국내에 처음 포크음악을 선보였다.


-----------------------------------------------------------------

Rough translation (with mistakes):


(1) What is your hope because you have met this rich world?

Would there be enough hope if I enjoyed riches and movies?

Thinking under the bright moon of the blue sky

The world is like a dream again during the spring

(2) What is your hope because you have met this rich world?

Would there be enough hope if I enjoyed riches and movies?

Will you sink into the chattering noise?

Would there be hope if I forgot everything?


In 2009 there was a bright new year. A New Year of Hope after the old year. As every year, we wish each other to be well and call ‘Hope. ' Health, money, honor, shackles, and family happiness are mostly similar wishes. New Year also connects with first start, hope and dream.

The popular song <Hope> is a song for the new year. It's easy to call it a three-quarter time waltz. At the end of the song, the word 'hope" comes out several times, which matches the atmosphere of the beginning of the year. Words of hope add meaning to it.


In addition, it is also a popular pop song which was celebrated in November 2006 whe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ducted the “Finding Modern Culture No. 1” campaign, wheld as a public relations campaign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modern cultural assets.


It is the first pop song with Korean lyrics added to a foreign song.


<Hope> has many interesting stories related to the singer who sang it. It is unusual in that it was the first true song record in Korea, and it was a song that was created by revising a foreign song that the people naturally s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at we know as a song is because the tune and the song were changed to suit Korean emotion. The flow is usually soft and easy to melody. It spread rapidly in the public around 1923, after the wave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fter the national aspiration returned to its bubble, the hearts of the public fell into frustration and deprivation. The so-called Japanese government's mode of governance, which had so-called cultural politics, had softened a little, but the Korean society seemed to live up because the people's daily life was. In this time of age, a favorite song began to become popular, where people called it a song of hope. The winds of folk grasses under oppress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ave birth to the song <Hope. " The hope of the people like buds waiting for spring, suffering from high winter breezes, appeared as Hope.


Unfortunately, the person and arranger who wrote the foreign song that underpinned Hope is unknown. However, Thomas Garten's <夢 の 外> is only known in the music industry as being the original song.


Many Korean pop songs listen to songs on the Chosun Soundboard, released in 1925.


Dowol-color's poems are known by Bangcho, Kim San-wol's Jang Han-mong, and Yoon Shim-deok's hits in 1926.


The songbook, published in 1922, has the title <Youth Boundaries>. Following the national trend, it was also released as a record at Japan Univ. When the album first came out, the title changed again into <The Rubella Year>. It's not clear, but it must have been a song before 1925. It is recorded as the longest living work of Korean fashion artists that turned into records. This is why it is listed o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list of popular songs.


Highligh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nd No. 1’ Hope is still being called for after 83 years. Junior singers such as Kim Jong-seo, Shinawi, Choi Young-cheol, Jang Sa-ik and Han Dae-soo sang remakes of it.


In 1980, journalists sang this song often. In the fall of the Chun Doo-hwan regime, the journalists who were forced to enter the Saemaul Training Institute in the fall and received the ideological education of the new five-government government were informed that the media such as Shin-A Ilbo, TBC (Dongyang Broadcasting) and DBS (Dong-A Broadcasting) were closing. I heard this song and choir this song in the classroom. I am a journalist from Kyung Kyong-bu, the Korean economic newspaper, and I remembered that seniors sang <Hope> on the scene.


I don't know who the writer of <Hope> is, but it is true that in 1925, Korea's first record-taking singer Chae Gyu-yeop (蔡 奎 燁) called and hit.


Chae Gyu-yeop was a person who studied music in Japan. He sang spring songs and wanderer songs. He is the first domestic professional singer and the first folk singer.


It is known that a Korean student who worked at the Mandolin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in Japan performed the song accompaniment of Chae Kyu-yeop. Mandolin students used to play not only mandolin but also acoustic guitars. Acoustic guitar accompaniment is mainly supported by accordion. At that time, the guitar strings were made of fiber and sounded strange at first glance, but it was the best instrument string at the time. Repeatedly twisted strings of thin threads give the impression that it is lighter and easier to hear.


-----------------------------------------------------------------


Born in Wonsan, Hamgyongnam-do in 1907, Chae Gyu-yeop is a graduate of Shinmyung School and received a formal singer class training at the Japanese Oriental Music School. In 1930, he became a singer of Columbia Records, and released "Spring Song". He also wrote hits such as <Myeongsae-ri> and <Psalms Youth>. He released a big hit with the Japanese song ``Sake is a tear or a sigh?'', Which is a hit song by Saga and Namitaka Tamekika, the most popular songwriter of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e was considered the best singer i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He ranks on the top of the list in the popular singer's vote of the magazine (Samchully).


He also popularized "The Song of the Bones", the theme of the pessimistic suicide of a Hostess. He disappeared from the scene in 1939. After returning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after the liberation of August 15, he ran an entertainment group in 1947, but suffered from a sluggish business. In particular, after active pro-Japanese activities and liberation from the end of Japan, North Korea took him away from our attention.


Chae Kyu-yeop is the uncle of singer Jeon Young-rok. He married a young actor Hwang Hae (father Jeon Young-rok) and left a daughter. He introduced the folk music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injecting <???>, which is called 'Agitation sang by an adult.'


-----------------------------------------------------------------

최초소개

이 음반은 최초의 싱어송라이터 음반이기도 하다. 채규엽은 이 음반에 앞서 ‘채동원’이라는 이름으로 <아리랑>과 <세동무>가 수록된 음반을 발표해 데뷔 음반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있다. 또한 채규엽은 1927년 일본 도쿄 중앙음악학교 성악과에서 정식으로 음악을 공부한 최초의 학사 가수이다. 배우 황해의 여동생과 결혼한 그는 가수 전영록의 고모부이기도 하다. 최초평가

유행가 태동기에 가수를 직업으로 삼기에는 경제적 측면이 빈약했다. 또한 당시에는 대중 앞에서 노래 부르는 것을 최하층민인 광대의 일로 생각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다. 최초의 직업 가수로 평가받는 채규엽은 1930년 직접 작사 작곡한 <봄노래 부르자>, <유랑인의 노래>를 발표하여 데뷔했다. 출처 : 컨슈머포스트(http://www.consumerpost.co.kr)

-----------------------------------------------------------------


Chae Gyu-yeop made the first singer-songwriter album. It contains <Arirang> and <Sedongmu> under the name of Chae Dong-won. Chae Gyu-yeop was also the first bachelor to study music in 1927 at the Musical and Music Department of the Central Music School in Tokyo, Japan. He was married to actress Hwang Hae's younger sister, he is also the uncle of singer Jeon Young-rok.


In the early days of the occupation, the economic aspects were poor to find a job as a singer. There was also a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that singing in public was considered the work of the lowest level. Chae Gyu-yeop,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professional singer, made his debut in 1930 with the release of <Let's Sing Spring> and <Wanderer's Song>.


Source: Consumer Post (http://www.consumerpost.co.kr)


-----------------------------------------------------------------

봉자의 노래(1934) 이야기|

'봉자의 노래'는 김봉자라는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해서 만들어져 1930년대 사회상의 단면을 가감없이 보여 주고 있는 독특한 유행가입니다.

노래의 주인공 김봉자는 종로에 있는 어느 카페에서 여급으로 일하고 있었는데, 경성제대 의학부를 졸업한 의사 노병운과 만나 서로 사랑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카페 여급을 거의 서양판 기생 정도로 보고 있었으므로, 두 사람의 사랑이 이루어지기에는 환경의 차이가 너무나 컸습니다. 게다가 노병운은 이미 처자식이 있는 유부남이기도 했습니다. 몰래 엮어 온 안타까운 사랑은 결국 노병운의 아내가 사실을 알고 경찰서에 진정을 하면서 파국을 맞게 되었습니다.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절망과 죄책감을 견디지 못한 김봉자는 한강에 몸을 던져 자살을 했고, 이 사실을 전해 들은 노병운 역시 김봉자가 투신한 바로 그 장소에서 김봉자의 뒤를 따르고 말았습니다. 이 사건은 1933년 9월에 일어났는데, 거의 한 달 동안이나 신문 지면을 장식할 정도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봉자의 노래'는 사건이 일어난 지 석 달 남짓만에 1934년 1월 신보로 콜롬비아레코드에서 발표되었으며(음반번호 40488), 유도순 작사, 이면상 작곡으로 당대 최고의 가수로 꼽히던 채규엽이 노래했습니다.

사랑의 애닯흠을 죽음에두리

모든것 잇고잇고 내홀로가리

사러서 당신안해 못될것이면

죽어서 당신안해 되여지리다

당신의 그일홈을 목메여찻고

또한번 당신일홈 불르고가네

당신의 구든마음 내알지마는

괴로운 사랑속에 어이살리요

내사랑 한강물에 두고가오니

천만년 한강물에 흘너살리다

짤막하게 5절까지 이어지는 가사는 비극적인 사랑의 애처로움을 절절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봉자의 노래'에 이어 다음 달에는 역시 콜롬비아레코드에서 '병운의 노래'도 발매가 되어, 두 사람 사랑이 노래로나마 완성이 되었습니다.

영겁에 흘으는 한강의푸른물

봉자야 네뒤따라 내여게왓노라

오 님이어 그대여 나의천사여

나홀로 남게두고 어데로갓나

수면에 날아드는 물새도쌍쌍

아름다운 한양의 가을을읊것만

애끗는 하소연 어데다사뢰리

나의천사 봉자야 어데로갓노

그대를위하야서 피까지주엇거든

피보다도더붉은 우리의사랑

한강깁흔물속에 님뒤를따르니

천만년영원히 그품에 안어주

'병운의 노래'는 김동진 작사, 고하정남 작곡으로 지은이는 '봉자의 노래'와 다르지만, 노래는 역시 채규엽이 불렀습니다(음반번호 40490).

'봉자의 노래'는 몇 해 전에 나온 복각음반에도 실려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사실 '병운의 노래'입니다.아마도 제목을 표기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Google translation with mistakes: Song of the Bones (1934)

The Song of the Bones is a unique track that is modeled after a real person named Kim Bongja and shows the social aspects of the 1930s.

Kim Bong-ja, the protagonist of the song, was working at a café in Jongno. Roh Byung-un was also a married man who had a wife. The unfortunate love that we sneaked up was finally catastrophic when Roh's wife learned the truth about his affair and had to be calmed down at the police station. Kim Bong-ja, who could not endure despair and guilt for its unfulfilled love, threw himself into the Han River and committed suicide. This incident took place in September 1933, making the world lively enough to decorate newspaper pages for almost a month.

The Song of the Bones was released in Columbia Records in January 1934, only three months after the incident (record number 40488).

Song of Bones

Put love blemish on death

I keep everything together and go alone

If you can't afford to buy

I'll die and not be you

I'm hanging around your home

I'm calling you home again

I don't know your old heart

I live in painful love

I leave my love in the Han River

Live in the river of ten million years

The short passage of verse 5 utters the tragedy of tragic love. Following 'Song of the Bones', next month, the song 'Byeongwoon' was also released at Columbia Records, and the love of the two was completed.

Byeongwoon's Song

The blue water of the Han River

Bonja, follow me.

Oh my God, my angel

Leave me alone

Pair of Waterfowl Flying in Water

Just looking at the beautiful autumn

Hae-yeon, Hae-yeon

My angel Bongja Aderogatno

I gave you blood for you.

Our love is redder than blood

I'm following Nim in Han River Gibbon

For ten million years

'Byung Woon Song' is composed by Kim Dong-jin and Go Ha Jung-nam. ` Bongja's Song'' appears to be on a reprint of a few years ago, but it's actually ` Byeongwoon's Song''.

-----------------------------------------------------------------

한국 가요사에서 최초의 유행가 가수는 누구일까요? 이런 궁금증에 대한 분명한 해답으로 떠오르는 사람이 바로 채규엽(蔡奎燁)입니다. 식민지라는 우울한 시대사를 배경으로 가요계의 위상이 점차 구체적 형상을 이루어 가던 1930년, 채규엽은 두 곡의 노래를 발표했습니다. 콜럼비아레코드사에서 발매한 '유랑인의 노래'(채규엽 작사, 작곡)와 '봄노래 부르자'(서수미례 작사, 김영환 작곡)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한 장의 음반으로 채규엽은 노래에 대한 갈증을 갖고 있던 식민지 대중들에게 최초 직업가수로서의 강렬한 이미지를 심어주었습니다. 이 음반의 라벨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수의 이름 앞에 '성악가'란 표시가 붙어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당시 대중가요와 성악의 구분이 아직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입니다.

채규엽은 1906년 함흥 출생으로 원산중학을 다녔는데 재학시절 독일인 교사에게 음악을 배웠습니다. 1927년 일본으로 건너가 음악을 공부하고 1년 뒤에 돌아와 귀국독창회를 열었습니다. 이때 채규엽은 바리톤으로 무대에 섰습니다. 그로부터 본격적 가수로 활동을 시작하여 극단 토월회와 취성좌의 공연에서 막간가수로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강한 억양의 함경도 사투리에 완강한 이미지로 느껴지는 용모. 신장은 비교적 작은 편이었습니다. 누구나 부러워하던 일본 유학을 다녀왔고, 음악학교 교사의 경력을 가졌으며, 가창력 또한 뛰어나 많은 사람들에게 찬탄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채규엽에게는 무엇보다도 흥행사로서의 남다른 자질이 있었던 듯합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출생담과 관련된 이야기를 결코 화제로 삼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차마 말하기 어려운 개인사적 열등감 때문으로 짐작됩니다.

당시 조선 민중들은 식민치하에서 하고 싶은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날이며 날마다 괴롭고 숨 막히는 심정을 가슴속에 안은 채 대책 없이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이럴 때 채규엽이 불렀던 '봄노래 부르자'는 빼앗긴 강산에 봄이 오는 것을 꿈에 가만히 그려보는 설렘과 아련함을 담고 있었습니다.

오너라 동무야 강산에 다시 때 돌아 꽃은 피고/ 새 우는 이 봄을 노래하자 강산에 동무들아/ 모두 다 몰려라 춤을 추며 봄노래 부르자

이 밖에도 채규엽은 '서울노래' '눈물의 부두' '북국 오천키로' 등의 대표곡을 비롯하여 80여 곡이 넘는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당대 최고의 작사가가 노랫말을 쓴 '서울노래'(조명암 작사, 안일파 작곡)는 지금 읽어도 유구한 민족사에 대한 자부심과 그것이 직면하고 있는 고통, 번민이 잔잔하게 깔려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ⅰ)한양성 옛 터에 종소리 스며들어/ 나그네 가슴에도 노래가 서립니다./ 한강물 푸른 줄기 말없이 흘러가네/ 천만 년 두고 흐를 서울의 꿈이런가

ⅱ)눈길은 오천 킬로 청노새는 달린다/ 이국의 하늘가엔 임자도 없이 흐드겨 우는 칸데라/ 페치카 둘러싸고 울고 갈린 사람아/ 잊어야 옳으냐 잊어야 옳으냐/ 꿈도 슬픈 타국 길

영남대 국문학과 교수

매일신문

-----------------------------------------------------------------

Google Translation:

Who is the first trendy singer in Korean song? Chae Gyu-yeop (蔡 奎 燁) is the one who emerges as a clear answer to this question. Chae Gyu-yeop released two songs in 1930, when the status of the music scene was gradually shaped in the background of the gloomy times of colonisation. It is the 'Wanderer's song' (written by Chae Gyu-yeop) and 'Let's sing spring song' (composed by Seo-mi Mi-ry and Kim Young-hwan) released by Columbia Records. With this record, Chae Gyu-yeop provided a strong image as the first professional singer for the colonial public who had a thirst for singing. If you look closely at the label of this album, you'll see the singer's name preceded by the song. Why? That's because there wa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popular songs and vocal music.


Chae Gyu-yeop was born in Hamheung in 1906 and attended Wonsan Middle School. I went to Japan in 1927 and studied music. At this time, Chae Yeop was on the stage as a baritone. Since then, she has been a full-time singer and has appeared as an interlude singer in theater troupes and bridal seats.


The strong accent of Hamgyong is felt in a stubborn image. The height was relatively small. I went to study in Japan, which everyone was envious of, studied as a music school teacher, and sang well. And Chae-Yeop seems to have a special quality as a showman. But he never talked about stories related to his birth. This is probably due to his personal inferiority complex.


At that time, the Korean people were unable to say what they wanted to do under colonialism, and they lived without measures, with painful and choking feelings in their hearts. In this case, Chae Gyu-yeop's 'Let's Sing Spring Song' contained the excitement and ambiguity of the spring coming to the stolen river.


Come back to Dongsan, let's go back to the mountain and blossom. Sing this spring when the birds are weeping.


In addition, Chae has published more than 80 works including representative songs such as 'Seoul Song', 'Wharf of the Tears' and 'Okkuki Ocheon Kiro'. The song `` Seoul Song '' written by sung by the best writer of the time (composed by Myung-am Cho and An-il) compels you to feel proud of the eternal national history, the pain and the agony you face.


Ⅰ) Bells infiltrate Hanyangseong's ancient ruins / Songs in the heart of strangers flow / Silent streams of the Han River / Words of Seoul will flow for ten million years


II) A snowy road runs five thousand kilos, a blue-eyed mule / a canary that creeps without a person in the sky of foreign countries / a man crying and grinds around Peccika / forgetful right? Forgetful right?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Yeungnam University, Daily newspaper

-----------------------------------------------------------------

Google Translation:

1930s savory pop song announcement…

The main character of the first four titles of Korea's first career singer, singer-songwriter, academic professor, and plagiarism/cover singer.

Choi Kyu-Sung Critic oopldh@naver.com

Records have appeared in Korea for over 100 years.


In 1895, missionary and doctor Allen took the performances of 10 Korean voices to the World Expo in Chicago, USA. One of the party's records recorded by Gyeonggi Myung-bak Park Choon-jae is said to be the first record in Korea. Until the 1910s, domestic records were produced by Americans.


Since then, it was mainly made in Japan. The earliest phonograph company, Nimbo-no-heung, which released the Hopeist, drew a taeguk on the label. It is probably because Japanese colors are seeping into popular music at that time.


Who is the first singer-songwriter written and composed by Koreans? In any genre, there are many debates and hypotheses in the initial debate, but the answer is surprisingly clear.


The main character is Chae Kyu-yeop, a vocal singer who studies old music songs as Lee Gu-dong.


Lee Jung-sook, who published the notation of Sasa, published in August 1926, Yoon Sim-deok of 'Rejoice in Revival', and April 2005, which was the first creative popular song notarized. There are some singers who released popular songs before Chae Kyu-yeop, such as Bok Hye-sook, who took jazz songs such as "Jongno March."


However, it is not easy to define Yun Shim-duk, a singer who is not known as a singer on the domestic stage, and Bok Hye-sook, who has a clear record of actors and actresses. It is no wonder that Chae Kyu-yeop, who released many popular songs in the 1930s, was formulated as the first professional pop singer.


Chae Kyu-yeop is an important musician who was given the first title laurel in four categories in the history of popular music. He was the first singer-songwriter, the first academic singer, and the first to be plagiarized in Korea.


In 1927, he studied music for a year at the Central Music School of Tokyo, Japan. He was a baritone singer who held a solo concert after returning home. After that, he started to work as a singer and appeared as an interlude singer at the Towolhoe and brittle seats.


The strong accent Hamgyeong is also a small body with a dialect and stubborn appearance. The story of his birth is not told very much. Born in Hamheung, Hamgyeong-do, he is not accurate enough to have a staggered beginning in the year 1905, 1906, 1907, and 1911.


Marked in 1906, he is also a veiled veil of his school days.


There is a theory that vocal studies were first learned by a German teacher in middle school. Since 1949 his work has been erased from the public. In 1997, in Pyongyang's book `` Following the Songs of the Passion of the Passion, '' the record that he was a soldier in Hamheung in his hometown in 1949 confirmed that he was North Korea.


It was a coincidence that he had a formal record. When Columbia Records in Japan celebrate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or's office, he became a music teacher at Geunhwa Girls' School.


His debut album, Colombian album number 40087, was released in March 1930. The two songs are ‘The Wanderer's Song’ and ‘Let's Sing the Spring Song’. What is interesting is the song of the wanderer. He is the first singer-songwriter original song that he wrote, composed and sang.


In fact, few people have actually watched Chae Gyu-yeop's original sp album, which contains the "Wanderer's Song," which contains his affection for his hometown. I also encountered only the reproduced cd sound source, and also obtained a record of the picture. As such, his debut sp is a rare record not easily accessible.


At the time, the album label sung by the singer was 'vocalist'. Why did you do it? This is because pop songs and vocal music were the earliest generation of popular music. The release of the original album that he wrote and sang on his own at that time is truly marvelous.

-----------------------------------------------------------------

(1절)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푸른 하늘 밝은 달 아래 곰곰히 생각하니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 다시 꿈같다

(2절)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담소화락에 엄벙덤벙 주색잡기에 침몰하랴

세상만사를 잊었으면 희망이 족할까

2009년 새해가 밝았다. 묵은해를 뒤로 하고 희망의 신년을 맞은 것이다. 매년 그랬듯 우리는 새해도 잘 풀리길 저마다 기원하며 ‘희망가’를 부른다. 건강, 돈, 명예, 벼슬, 가족행복 등 소망하는 건 대부분 비슷하다. 새해는 첫출발, 희망, 꿈과도 통한다.

그래서 대중가요 <희망가>는 새해에 맞은 노래다. 4분의 3박자 왈츠 풍으로 부르기가 쉽다. 노랫말엔 ‘희망’이란 말이 여러 번 나와 연초분위기와 맞아떨어진다. 희망이 담긴 노랫말이 의미를 더해준다.

게다가 2006년 11월 문화재청이 근대문화재 보존관리를 위한 대국민홍보차원서 벌였던 ‘근대문화 1호 찾기’ 캠페인 때 부각, 눈길을 끈 대중가요이기도 하다.

첫 대중가요…외국곡에 가사 붙여

<희망가>는 노래를 부른 가수와 관련된 재미난 사연들이 많다. 국내 최초 레코드취입가수가 불렀다는 점과 일제강점기 때 백성들이 자연스럽게 불렀던 외국 곡을 번안해 탄생된 노래란 점이 특이하다.

우리 노래로 알고 있는 건 곡조와 노랫말이 한국인 정서에 맞게 바뀌어 불린 까닭이다. 흐름이 대체로 부드럽고 멜로디가 쉽다. 1919년 3·1만세운동 물결이 지나간 뒤인 1923년 무렵부터 대중 속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민족염원이 물거품으로 돌아간 뒤 대중들 마음은 좌절과 허탈감에 빠졌다. 소위 문화정치를 내세운 일본의 통치방식이 다소 누그러져 조선사회가 활기를 띄는 듯 했지만 민중들 일상은 그렇잖았다. 이런 시대상황에서 애조 띤 노래(창가)가 유행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이 노래를 ‘희망가’라 불렀다. 일제강점기 억압에 시달린 민초들의 바람이 <희망가>란 노래를 낳은 셈이다. 모진 겨울바람에 시달리며 봄을 기다리는 꽃봉오리 같은 백성들 소망의 외침이 <희망가>로 나타났다.

아쉽게도 <희망가>의 바탕이 된 외국 곡을 번안한 사람과 편곡자 역시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토마스 가튼의 <夢の外>가 원곡으로 가요계에 알려져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 대중가요로는 1925년 발매된 ‘조선소리판’에 실린 노래를 드는 사람들이 많다.

도월색의 <시들은 방초>, 김산월의 <장한몽>과 1926년 윤심덕이 불러 히트한 <사의 찬미> 등으로 알고 있으나 사실은 <희망가>가 이보다 훨씬 전에 나왔다.

1922년에 나온 노래집엔 <청년경계가>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 이어 전국적 유행에 힘입어 일축(일본축음기상회)에서 음반으로도 발매됐다. 음반이 처음 나왔을 땐 다시 제목이 바뀌어 <이 풍진 세월>로 나왔다. 명확하진 않으나 1925년 전에 나온 노래가 틀림없다. 음반으로 취입된 우리나라 유행가 중 가장 오랜 작품으로 기록된다. 문화재청의 대중가요 1호 찾기 목록에 오른 것도 이 때문이다.

문화재청 ‘1호 찾기’로 부각돼

<희망가>는 83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불리고 있다. 김종서, 시나위, 최영철, 장사익, 한 대수 등 후배가수들이 리메이커 해서 취입했고 전국 노래방에도 반주가 깔려있어 이 노래를 찾아 부르는 이들이 적잖다.

특히 1980년 언론인들이 이 노래를 자주 불렀던 적이 있다. ‘전두환 정권’의 언론통폐합 방침 속에 그해 가을 새마을연수원에 강제 입소해 5공 새 정부의 이념교육을 받았던 언론인들이 신아일보, TBC(동양방송), DBS(동아방송) 등 언론사가 문 닫는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강의실에서 이 노래를 합창했다. 한국경제신문 정경부 기자였던 본인도 그 현장에서 선배들과 <희망가>를 목청 높여 불렀던 기억이 난다.

<희망가>의 작사가, 작곡가는 누구인지 모르지만 1925년 우리나라 최초의 레코드취입가수 채규엽(蔡奎燁)이 불러 히트한 것만은 사실이다. 채규엽은 일본서 음악공부를 한 사람으로 <봄노래> <방랑자의 노래> 등을 불러 인기가 높았다. 그는 국내 직업가수 1호이자 최초의 포크가수다.

일본 와세다대학 만돌린부에서 활동했던 한국유학생이 채규엽의 노래반주를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돌린부 학생들은 만돌린은 물론 통기타도 연주하곤 했다. 통기타반주가 위주이고 아코디언이 간주부분에서 받쳐준다.

그 때의 기타 줄은 섬유로 만들어져 언뜻 들으면 소리가 이상하지만 당시로선 최고로 좋은 악기 줄이었다. 가느다란 실을 여러 개 엮어 꼬아 만든 줄로 되풀이해 들을수록 담백하고 듣기도 좋다는 느낌을 준다.

1907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채규엽은 신명학교를 졸업, 일본 동양음악학교에서 정식 가수수업을 받은 우리나라 최초의 유행가가수다. 1930년 콜롬비아레코드사의 전속가수가 돼 <봄노래 부르자>를 출반했다. 이어 <명사십리> <시들은 청춘> 등 히트곡들을 남기기도 했다. 일본 최고 인기작곡가 고가마사오(古賀政男)의 히트곡 <사케와 나미타까 타메이키까(酒淚溜息)>를 번안한 <술은 눈물이냐 한숨이냐>를 우리말로 취입, 대단한 인기를 끌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땐 한국 대중음악계 최고가수로 꼽혔다. 잡지사(삼천리)의 인기가수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을 정도다.

채규엽, 친일활동하다 월북

호스티스의 염세자살을 주제로 한 <봉자의 노래>를 널리 유행시켰으나 1939년 이후 행방을 감췄다. 8·15광복 뒤 다시 연예계에 나타나 활동했던 그는 1947년 연예단체를 운영했으나 사업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일제 말 적극적인 친일활동과 해방 후 월북으로 우리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사람이 돼버렸다.

채규엽은 가수 전영록의 고모부다. 별세한 배우 황해 씨(전영록 부친)의 여동생과 결혼, 딸을 하나 뒀다.

‘어른이 부른 동요’라 할 수 있는 <외양간 송아지>를 취입, 국내에 처음 포크음악을 선보였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www.sobiq.com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

-----------------------------------------------------------------

Google Translation :


1) What is your hope after having encountered this rich world?

Would there be enough hope if I enjoyed its riches and stories?

Thinking under the bright moon of the blue sky

The world is like a dream once again during spring time

(2) What is your hope after having met this rich world?

Would there be enough hope if I enjoyed its riches and stories?

Will you sink into the chatters?

Would there be hope if I forgot about just everything?


2009 is a bright new year. It is the New Year of Hope after the old year. As every year, we wish each other to be well and call ‘Hope. ' Health, money, honor, shackles, and family happiness are mostly similar. New Year also connects with first start, hope and dream.

So popular song <Hope> is a song for the new year. It's easy to call it a three-quarter time waltz. At the end of the song, the word ``hope'' comes out several times, which matches the atmosphere of the beginning of the year. Words of hope add meaning.

In addition, it is also a popular pop song in November 2006 whe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ducted the “Finding Modern Culture No. 1” campaign, which was held as a public relations campaign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modern cultural assets.


The first pop song… with lyrics added to a foreign song.


<Hope> has many interesting stories related to the singer who sang. It is unusual in that it was the first record-singing singer in Korea, and it was a song that was created by revising a foreign song that the people naturally s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at we know as a song is because the tune and the song were changed to suit Korean emotion. The flow is usually soft and easy to melody. It spread rapidly in the public around 1923, after the wave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fter the national aspiration returned to the bubble, the hearts of the public fell into frustration and deprivation. The so-called Japanese government's mode of governance, which had so-called cultural politics, had softened a little, but the Korean society seemed to liven up, but the people's daily life was still hard. In this time of age, a favorite song (opener) began to become popular, and people called it a song of hope. The winds of folk grasses under oppress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ave birth to the song Hope. " The hope of the people are like buds waiting for spring, suffering from high winter breezes, appearing as Hope.


Unfortunately, the person and arranger who wrote the foreign song that underpinned Hope is also unknown. However, Thomas Garten's <夢 の 外> is only known in the music industry as the original song.

Many Korean pop songs listen to songs on the Chosun Soundboard, released in 1925.

Dowol-color's poems are known as Bangcho, Kim San-wol's Jang Han-mong, and Yoon Shim-deok's hits in 1926.


The songbook, published in 1922, has the title <Youth Boundaries>. Following the national trend, it was also released as a record at Japan Univ. When the album first came out, the title changed again to <The Rubella Year>. It's not clear, but it must have been a song before 1925. It is recorded as the longest work of Korean fashion artists blown into records. This is why it is listed o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list of popular songs.


Highligh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nd No. 1’


Hope is still being called after 83 years. Junior singers such as Kim Jong-seo, Shinawi, Choi Young-cheol, Jang Sa-ik and Han Dae-soo interpreted remakes.


In 1980, journalists sang this song often. In the fall of the Chun Doo-hwan regime, the journalists who were forced to enter the Saemaul Training Institute in the fall and received the ideological education of the new five-government government were informed that the media such as Shin-A Ilbo, TBC (Dongyang Broadcasting) and DBS (Dong-A Broadcasting) were closing. I heard this song and choir this song in the classroom. I am a journalist from Kyung Kyong-bu from the Korea Economic Daily.


I don't know who the writer of <Hope> is, but it is true that in 1925, Korea's first record-taking singer Chae Gyu-yeop (蔡 奎 燁) called and hit. Chae Gyu-yeop was a person who studied music in Japan. He sang spring songs and wanderer songs. He is the first domestic professional singer and the first folk singer.


It is known that a Korean student who worked at the Mandolin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in Japan performed the song accompaniment of Chae Kyu-yeop.

Mandolin students used to play not only mandolin but also acoustic guitars. Acoustic guitar accompaniment is mainly supported by accordion.

At that time, the guitar strings were made of fiber and sounded strange at first glance, but it was the best instrument string at the time. Repeatedly twisted strings of thin threads give the impression that it is lighter and easier to hear.


Born in Wonsan, Hamgyongnam-do in 1907, Chae Gyu-yeop is a graduate of Shinmyung School and received the formal singer class at the Japanese Oriental Music School. In 1930, he became a singer of Columbia Records, and released Spring Song. He also wrote hits such as <Myeongsae-ri> and <Psalms Youth>. It was a big hit by the Japanese song ` Sake is a tear or a sigh?'', Which is a hit song by Saga and Namitaka Tamekika, the most popular songwriter of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e was considered the best singer i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It ranks first in the popular singer's vote of the magazine (Samchully).


Chae Gyu-yeop, pro-Japanese activities


He popularized "The Song of the Bones", the theme of the pessimistic suicide of a Hostess, but he has disappeared since 1939. After returning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after the liberation of August 15, he ran an entertainment group in 1947, but suffered from a sluggish business. In particular, after active pro-Japanese activities and liberation from the end of Japan, North Korea became to take this person away from our attention.


Chae Kyu-yeop is the uncle of singer Jeon Young-rok. He married a young actor Hwang Hae (father Jeon Young-rok) and left a daughter.


He introduced folk music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injecting <외양간 송아지>, which is called 'Agitation sang by an adult.'


This news clipping is taken from http://www.sobiq.com.


-----------------------------------------------------------------



우리나라 최초의 아이돌, 채규엽의 두 얼굴’

한국가요사에서 최초의 유행가수는 누구일까요?

이런 궁금증에 대한 분명한 해답으로 떠오르는 사람이 바로 채규엽입니다.

식민지라는 우울한 시대사를 배경으로 가요계의 위상이 점차 구체적 형상을 이루어 가던 1930년, 채규엽은 두 곡의 노래를 발표했습니다. 콜럼비아레코드사에서 발매한 <유랑인의 노래>(채규엽 작사, 작곡)와 <봄노래 부르자>(김서정 작사, 작곡)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한 장의 음반으로 채규엽은 노래에 대한 갈증을 갖고 있던 식민지 대중들에게 최초 직업가수로서의 강렬한 이미지를 심어주었습니다. 이 음반의 라벨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수의 이름 앞에 ‘성악가’란 표시가 붙어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당시 대중가요와 성악의 구분이 아직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입니다.

채규엽은 1906년 함흥 출생으로 원산중학을 다녔는데 재학시절 독일인 교사에게 음악을 배웠습니다. 1927년 일본으로 건너가 음악을 공부하고 1년 뒤에 돌아와 귀국독창회를 열었습니다. 이때 채규엽은 바리톤으로 무대에 섰습니다. 그로부터 본격적 가수로 활동을 시작하여 극단 토월회와 취성좌의 공연에서 막간가수로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강한 억양의 함경도 사투리에 완강한 이미지로 느껴지는 용모. 신장은 비교적 작은 편이었습니다. 누구나 부러워하던 일본 유학을 다녀왔고, 음악학교 교사의 경력을 가졌으며, 가창력 또한 뛰어나 많은 사람들에게 찬탄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채규엽에게는 무엇보다도 흥행사로서의 남다른 자질이 있었던 듯합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출생담과 관련된 이야기를 결코 화제로 삼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차마 말하기 힘든 개인사적 열등감 때문으로 짐작이 됩니다.

당시 조선 민중들은 식민치하에서 하고 싶은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날이며 날마다 괴롭고 숨 막히는 심정을 가슴속에 안은 채 대책 없이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이럴 때 채규엽이 불렀던 <봄노래 부르자>(서수미례 작사, 김영환 작곡)는 빼앗긴 강산에 봄이 오는 것을 꿈에 가만히 그려보는 설렘과 아련함을 담고 있었습니다. 가늘고 잔잔한 미성으로 듣는 이의 가슴을 촉촉이 적셔주는 여운 효과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인기가 워낙 높아가자 이 곡은 곧 수상한 곡으로 낙인찍혔고 발매금지가 되었습니다.

명사십리(장재성작사,죽강신행작곡,채규엽노래)

채규엽음반광고(조광1936)

오너라 동무야 강산에 다시 때 돌아 꽃은 피고 새우는 이봄을 노래하자 강산에 동모들아 모도 다 몰려라 춤을 추며 봄노래 부르자

-<봄노래 부르자> 1절

이 밖에도 채규엽은 <서울노래>, <눈물의 부두>, <북국 오천키로> 등의 대표곡을 비롯하여 80여곡이 넘는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당대 최고의 작사가가 노랫말을 쓴 <서울노래>(조명암 작사, 안일파 작곡)는 지금 읽어도 유구한 민족사에 대한 자부심과 그것이 직면하고 있는 고통, 번민이 잔잔하게 깔려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눈물의 부두>(조명암 작사, 김준영 작곡)도 채규엽의 노래를 통하여 매우 특별한 반응으로 대중들의 심금을 크게 울렸던 명곡입니다. 이 곡을 반복해서 듣노라면 한국인의 민족정서와 그 고유성이 떠올리게 하는 묘한 반응으로 가슴은 젖어듭니다. 그

것은 슬픔과 애절함의 빛깔로 우리를 사무치게 합니다.

ⅰ)한양성 옛 터에 종소리 스며들어 나그네 가슴에도 노래가 서립니다.

한강물 푸른 줄기 말없이 흘러가네 천만 년 두고 흐를 서울의 꿈이런가 밤거리 서울거리 네온이 아름답네 가로수 푸른 잎에 노래도 아리랑

꽃 피는 한양성 잎 트는 서울거리 앞 남산 피는 구름 서울의 넋이런가

-<서울노래> 전문

ⅱ)비에 젖은 해당화 붉은 마음에 맑은 모래 십리 벌 추억은 이네

한 옛날에 가신 님 행여 오실까 비 나리는 부두에 기다립니다

저녁 바다 갈매기 꿈같은 울음 뱃사공의 노래에 눈물집니다

-<눈물의 부두> 전문

ⅲ)눈길은 오천 킬로 청노새는 달린다 이국의 하늘가엔 임자도 없이 흐드겨 우는 칸데라 페치카 둘러싸고 울고 갈린 사람아 잊어야 옳으냐 잊어야 옳으냐 꿈도 슬픈 타국 길

채쭉에 문허지는 눈보라가 섧구려 연지빛 황혼속에 지향도 없이 울면서 도는 청노새 심장도 타고 남은 속절없다 첫사랑 잊어야 옳으냐 잊어야 옳으냐 달도 운다 타국길

잔들어 나눈 사랑 지평선은 구슬퍼 거리가 가까웠다 모스도와야 기타야스가 좋구나 달뜨는 쎈도라루 펄럭이는 옷자락 잊어야 옳으냐 잊어야 옳으냐 별도 떤다 타국 길

-<북국 오천키로> 전문

ⅲ)은 <북국 오천키로>(박영호 작사, 이재호 작곡)의 노랫말입니다. 조상 대대로 살아오던 집과 논밭을 잃어버린 식민지 백성들을 대거 만주 벌판으로 내몰기 위하여 일제는 이른바 농업이민이란 명분을 내세웠습니다. 얼마나 많은 이 땅의 백성들이 손등으로 눈물을 닦으며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갔었던 것일까요? 그 수는 당시 자료를 통해 보더라도 무려 200만 명이 넘었다는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사실상 등을 떠밀려 고향에서 쫓겨 갔던 것입니다. 일제말로 접어들수록 유랑민의 숫자는 늘어만 갔습니다. <북국 오천키로>란 노래는 이런 슬픈 사연을 고스란히 함축하고 있습니다.

눈보라 휘몰아치는 고통의 길은 당시 식민지 백성들의 험난한 여정을 암시하게 해줍니다.

낯선 땅 거친 바람 속에서 꺼질 듯 꺼질 듯 아슬아슬한 모습으로 서 있는 칸데라 등불은 고달픈 유랑민의 행색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과연 어디로 가야 할 것인지, 누가 그들을 반겨 맞아줄 것인지… 과연 그들의 앞날은 가사의 한 대목처럼 ‘꿈도 슬픈 타국 길’이었던 것입니다.

이런 노래를 채규엽이 불렀던 것입니다. 대중들은 <북국 오천키로>를 너무도 처연하게 불렀던 가수를 마음속으로 사모하고 존경심마저 품었습니다. 남인수, 백년설, 이인권 등의 후배가수들도 그들이 가수가 되기 전 채규엽의 인기곡을 교본으로 연습했다는 사실을 회고한 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채규엽은 한국가요사 여명기의 확실한 대표가수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앞서서 우리는 가수 채규엽의 두 얼굴 중 선한 마스크에 대해서만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다음 행적이 문제입니다. 채규엽은 대중들의 높은 지지와 사랑을 받으면 받을수록 이상하게도 일그러진 인격으로 변모해갔습니다. 그 과정을 과연 무엇으로 설명해 낼 수 있을까요? 자신에게 엄청난 성원을 보내준 대중들에게 애정 어린 보답을 하는 것이 진정한 예술인의 모습일 아닐까요? 그러나 채규엽의 경우 사뭇 광기가 서린 우쭐거림과 자기도취, 자기과시로 변질되어 갔습니다.

1935년 매일신보에서 실시한 인기투표에서 단연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가요계의 왕좌에 올랐으나 인간 채규엽의 처세는 점차 교만하고 방자한 꼴로 바뀌었습니다. 식민지 종주국인 일본의 권위에 지나치게 의탁하여 자신의 이권과 지위를 더욱 살찌우는 추한 삶을 살아갔던 것입니다. 유창한 일본어 구사 능력은 그의 이러한 삶에 한층 친일적 관록을 보태었습니다.

일제말 창씨개명이 실시되기 이전에 채규엽은 이미 하세가와 이치로(長谷川一郞), 혹은, 사에키란 일본 이름으로 음반을 취입하였습니다. 심지어는 일본의 전통음악인 나니와부시(낭화절, 浪花節)를 맹렬히 연습하여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일본 의탁은 점차 병적인 징후로 드러났습니다. 일본군 장교복장으로 공석에 나타나서 좌중을 놀라게 한 적이 있었고, 또 당시 막강한 친일단체이던 대정익찬회 소속의 명함을 돌리며 자신을 뽐내기도 했습니다. 일제말에는 기어이 일본군 비행기 헌납 모금운동의 선두에서 활동했습니다. 이 무렵 채규엽이 일본 귀족의 딸과 결혼한다는 소식이 보도되자 언론에서는 내선일체의 훌륭한 본보기라는 칭송이 쏟아졌습니다.

채규엽이 남긴 음반들을 살펴보면 일본 엔카풍 노래가 유난히 많다는 사실에 우리는 새삼 놀라게 됩니다. 유명 일본인 작사가, 작곡가들이 채규엽의 발매 음반에 솔선해서 작품을 제공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런 과정들이 단순히 채규엽의 친일적 변모로만 읽어내기에는 어딘지 모르게 부족함이 느껴집니다. 일본 엔카를 통하여 일본문화를 식민지 땅에 강제 이식시키려던 식민통치자들의 정략적 기도는 매우 치밀하고 용의주도했습니다. 채규엽은 혹시 그러한 식민지 문화정책의 희생물로서 선택된 것이 아니었을까요? 이런 내막도 모르고 줄곧 우쭐거리며 환상에 도취되었던 채규엽은 가련한 종이인형에 불과했던 것입니다.

채규엽이 취입한 <술은 눈물일까 한숨이랄까> <님 자최 찾아서> 따위의 노래들은 모두 일본인 작사가와 작곡가에 의해 만들어진 전형적 일본 엔카를 그대로 한국어 버전으로 옮긴 것에 다름 아닙니다. <술은 눈물일까 한숨이랄까>(다카하시 타로 작사, 고가 마사오 작곡)란 노래는 일본의 인기가수였던 후지야마 이치로(藤山一郞)가 불러서 히트했던 곡입니다. 그런데 이 노래가 채규엽에 의해서 그대로 직수입 되어 식민지 땅으로 날개 돋친 듯 공급되었던 것입니다.

술이야 눈물일까 한숨이런가 이 마음의 답답을 버릴 곳장이

오래인 그 옛적에 그 사람으로 밤이면은 꿈에서 간절했어라

이 술은 눈물이냐 긴 한숨이냐 구슬프다 사랑의 버릴 곳이여

기억도 사라진 듯 그이로 하여 못 잊겠단 마음을 어찌면 좋을까

-<술은 눈물일까 한숨이랄까> 전문

이 노래의 가사와 곡조를 유심히 들어보면 듣는 이의 마음을 비탄과 허무, 좌절 속으로 침몰시켜버리는 기묘한 중심의 해체, 혹은 파괴 작용을 느끼게 됩니다. 자기 앞에 놓인 생의 난관을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오로지 술에 의탁하여 눈물과 한숨으로 일관하는 비겁한 패배주의자의 어설픈 모습만이 나타나 있을 뿐입니다. 식민지 백성들이 혹시라도 가질 수 있는 체제와 현실에 대한 불만을 그들은 두려워했던 것입니다. 이런 엔카를 통해서라도 힘의 분산과 약화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했을지도 모릅니다.

드디어 채규엽은 식민지적 광기에 오히려 편승하여 대중들의 실망과 분노를 자아냅니다.

채규엽의 방만한 여성편력과 사기행각이 신문에 자주 보도되자 가수의 명예는 완전히 땅에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반성을 모르는 그의 방자함과 교만함은 극에 달하여 후배가수들의 가슴에 심한 상처를 주었습니다. 후배들의 연습곡을 귀 기울여 듣다가 자기 마음에 들면 마구 빼앗아 자기 곡으로 만들었습니다.

해방 이후 채규엽은 한동안 가요계의 표면에서 사라져 간 곳을 알 수 없었습니다. 그는 충남 논산의 시골 마을에서 정미소를 운영하면서 숨어 살았습니다. 이것은 식민지 시절, 일제와 야합했던 친일파를 척결 응징하는 반민특위의 집요한 추적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었을 지도 모릅니다. 이후 흥행사로 서울에 모습을 드러내었지만 방만한 운영과 사기행각으로 말미암아 기어이 구속 수감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채규엽의 정신적 파산에 대해서도 가요계의 의리는 뜻밖에도 관대했습니다. 후배가수 남인수, 백년설, 최남용 등이 중심이 되어 공연을 열고 무료 출연으로 채규엽 돕기 운동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채규엽은 끝내 후배들 앞에서 모범적 선배로서의 자세를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끝을 모르는 세속적 욕망과 현실 사이에서 자주 내적 갈등과 충돌을 겪게 되자 불만족으로 인한 채규엽의 고통은 심한 탈모로 나타났습니다. 이 대머리를 채규엽은 몹시 수치스러워했습니다. 무대에 오를 때마다 숯가루를 물에 개어서 이마에 발랐습니다. 그런 상태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얼굴에는 온통 땀과 함께 흘러내린 숯가루로 이상한 용모가 되곤 했습니다.

한국가요사에서 최초의 직업가수였던 채규엽. 분단은 그의 기회주의적 처신을 기어이 파멸의 길로 빠뜨리고 말았습니다. 1949년 채규엽은 어린 딸과 가족을 서울에 버려둔 채 홀로 삼팔선을 넘어 북으로 갔습니다. 당시 북조선문예총 음악동맹위원장 직함을 갖고 있던 작곡가 이면상과 가수 이규남이 옛 친구였기 때문입니다. 정치적 거물이 된 옛 친구에게 어떤 기대를 가진 계산된 월북이었을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의 황폐한 삶과 행적이 과연 북에서도 통했을지는 의문입니다. 채규엽은 바로 그해 말, 함흥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Google translation:

Korea's first idol, Chae Gyu-yeop's two faces. '

Who is the first trendy singer in Korean song history?


Chae Kyu-yeop is the one who emerges as a clear answer to this question.


Chae Gyu-yeop released two songs in 1930, when the status of the music scene was gradually shaped in the background of the gloomy times of colonies. That's the song <Wanderer's Song> (written by Chae Gyu-yeop) and <Let's Sing Spring Song> (written by Kim Seo-jung) by Columbia Records. With this album, Chae Gyu-yeop provided a strong image as the first professional singer to the colonial public who had a thirst for singing. If you look closely at the label of this album, you'll see the singer's name in front of it. Why? That's because there wa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popular songs and vocal music.


Chae Gyu-yeop was born in Hamheung in 1906 and attended Wonsan Middle School. In 1927, he went to Japan to study music and came back a year later to hold a return home. At this time, Chae Yeop was on the stage as a baritone. Since then, she has been a full-time singer and has appeared as an interlude singer in theater troupes and bridal seats.


The strong accent of Hamgyong is felt in combination with a stubborn image. His height was relatively small. He went to study in Japan, which everyone was envious of, studied as a music school teacher, and sang well. And Chae-Yeop seems to have a special quality as a showman. But he never talked about stories related to his birth. This is presumably due to the personal inferiority complex.


At that time, the Korean people were unable to say what they wanted to do under colonialism, and they lived without measures, with painful and choking feelings in their hearts. In this case, Chae Gyu-yeop's <Let's Sing Spring Song> (composed by Seo-mi Mi-rye, composed by Kim Young-hwan) contained the excitement and ambiguity that springs to the lost mountain. The thin, gentle aesthetic had a soothing effect on the listener's chest. As the popularity grew, the song was soon branded as a suspicious song and banned.


Myeongsasimni

Chae Kyu Leaf Music Ad (Joewang 1936)

Come back, you're back in the mountains.

Shrimp sing this spring

Get together, let's dance and sing in the spring

<Let's sing spring song> v. 1

(Composition of Jang Jae-sung, Jokgang New Composition, Chae Kyu-Yop Song)


In addition, Chae has published more than 80 works including representative songs such as Seoul Song, Twilight Pier, and Northern Kingdom Ocheon Kiro. The song sung by Seoul's best lyricist (Long-am Cho, written by Ahn Il-pa) makes us feel proud of the eternal national history, the pains that it faces, and the agony.


<Wharf of Tears> (composed by Myung-am Cho and Joon-young Kim) was also a masterpiece that rang the hearts of the public with a very special response through Chae Gyu-yeop's song. If you listen to this song over and over, your heart will get wet with a strange reaction that reminds you of Korean national sentiment and its uniqueness. That keeps us in the color of sorrow and sorrow.


Seoul Song

Ⅰ) A bell soaks into the ruins of Hanyangseong

Songs are creeping on the stranger's chest.

Han river water flows silently

Is Seoul's dream to flow for ten million years?

Night street Seoul street neon is beautiful

Arirang song on avenue with green leaves

Seoul street with blooming Hanyangsung leaves

Clouds in front of Namsan are the souls of Seoul

Wharf of Tear

Ii) in the red heart that is wet with rain

It's clear sand dumb bee memories

Once upon a time

Rain lilies wait on the pier

Evening sea gull dreamy crying

Tears in the voyeur's song

North Kingdom Five thousand Kiro

눈) The snow road runs five thousand kilos blue mule

Candela, a place where no one can see the sky

The one who cried and shredded Peggy

Is it right to forget or is it right to forget

Even dreams of sad foreign countries

The blisters on the blue sky are blizzard

Blue mule wanders without azimuth in light dusk

My heart is burnt, my first love

Is it right to forget or is it right to forget

The moon is also crying.

The love horizon, broken down, is a bead

The street was close.

Fluttering Fender Doraru Fluttering Hem

Is it right to forget or is it right to forget

Separate country

Ⅲ) is a song of the Northern Kingdom Ocheon Kiro (written by Park Young-ho and composed by Lee Jae-ho). In order to drive the colonial people who had lost their ancestors' homes and rice fields into large fields in Manchuria,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called agricultural immigration. How many people of this land had crossed the Tumen and Yalu rivers, wiping their tears with the back of their hands? The numbers can easily be seen from the data at that time, exceeding 2 million people. They were actually driven from their homes by pushing their backs. As we entered the end of Japan, the number of nomads only increased. The song "North Kingdom Five thousand Kiro" implies this sad story.


The blizzard of painful paths suggests the arduous journey of the colonial people at that time.


A strange land, Candela's lantern, standing as though it's going to be extinguished in the rough winds, reveals the hardship of the nomadic people. Where should we go and who will greet them? Indeed, their future was, like a passage in the lyrics, a dream is a sad foreign country.


Chae Gyu-yeop sang this song. The public longed for and respected the singer who sang <North Korea Five thousand Kiro> so desperately. Junior singers such as Nam In-soo, Baek Nyon-seol and Lee In-kwon also recalled that they practiced Chae Gyu-yeop's popular songs as a textbook before they became singers. In this way, Chae Kyu-yeop was able to establish himself as a representative singer of the Korean music drama, Dawn. Earlier, we talked about the good mask of the two faces of singer Chae Kyu-yeop.


But the next act is the problem. Chae Kyu-yeop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trangely distorted personality with the support and love of the public. How can you explain the process? Isn't it true artists to give affectionately to the masses who have given us tremendous support? However, in the case of Chae Kyu-yeop, the madness has been altered by groaning, narcissism and self-examination.


In 1935, he became the throne of the world of music so far as to be ranked first in the popular voting held by Maeil Shinbo. However, the situation of human Chae Kyu-yeop gradually became proud and selfish. He was overly dependent on the authority of Japan, a colonial slave, and lived an ugly life that furthered his interests and status. Fluent Japanese proficiency added to his life.


Before the name-changing of the Japanese-born Chang-yeop, Chae Kyu-yeop had already acquired records under the Japanese name Hasegawa Ichiro or Saeki. He even practiced and presented Japanese traditional music Naniwabushi. His Japanese commission gradually turned out to be a pathological sign. He appeared in vacancies as a Japanese military officer and surprised him in his vacancy. He also boasted himself by turning his business card from Daejeongikban, a powerful pro-Japanese organization. At the end of Japan, Gear was at the forefront of the campaign to raise Japanese planes. At this time, when news of Chae Gyu-yeop's marriage to a Japanese aristocrat's daughter was reported, the press praised him as an excellent example of the entire station.


Looking at the records left by Chae Kyu-yeop, we are surprised to find that there are so many Japanese Enka-style songs. The famous Japanese writer wrote the composers on the release album of Chae Kyu-yeop. In some ways, I feel that these processes are not enough to simply read Chae Yeop's pro-uniform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prayers of colonial rulers who tried to force Japanese culture into colonial land through Japanese enka were very detailed and deliberate. Could Chae Yeop be the victim of such a colonial cultural policy? Chae Kyu-yeop, who was squeaked and fantasized without knowing this inside story, was nothing but a poor paper doll.


Chae Kyu-yeop's <Sake is Tears or Sighs> <Seek for Yourself> All the songs like the Japanese version of Enka by the Japanese lyricist and composer have been translated into Korean. The song "Sake is Tears or Sighs" (composed by Taha Takahashi, composed by Masao Koga) is a hit song by Ichiro Fujiyama, a popular Japanese singer. By the way, this song was imported directly by Chae Kyu-yeop and supplied as if it were flying into the colonial land.

Is alcohol a tear or a sigh?

Is it alcohol or tears or sighs?

The master who throws away the answer of this heart

Once upon a time as that person

At night I was eager in my dreams

Is this alcohol a tear or a long sigh?

It's bead, place of love

As if the memory disappeared

What should I do?

Listen carefully to the lyrics and tunes of this song and you'll feel a strange center of dissolution or destruction that sinks the listener's heart into grief, vanity, and frustration. Only the flimsy appearance of the cowardly defeatist, who cannot solve the difficulties of life before himself with his own power, but rely on alcohol and consistent with tears and sighs. They were afraid of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system and reality that the colonial people could possibly have. It may be expected that even through such an encapsulation, the dispersion and weakening of power can be achieved.


Finally, Chae Kyu-yeop rather piggybacks in colonial madness, causing the public's disappointment and anger. Chae Gyu-yeop's lame women's loyalty and frauds were frequently reported in newspapers.


-----------------------------------------------------------------




희망가’는 묻는다[이대현의 문화로 만나는 세상]이대현 | 승인 2017.02.13 11:54댓글0icon 트위터icon 페이스북icon 카카오톡

<희망가>는 묻는다.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고. 흙먼지 휘날리는 어지러운 세상, 티끌처럼 허망한 인생.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푸른 하늘 밝은 달 아래 곰곰이 생각하니,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다시 꿈같구나.’

우리나라 첫 대중가요는 이렇게 일장춘몽인 인생과 혼탁한 세상에 대한 자조적이고 애잔한 타령이다.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인 1923년쯤부터 사람들이 부르기 시작했고, 가수이자 배우인 전영록의 고모부로 국내 최초 음반취입 가수인 채규엽이 불러 크게 유행시킨 노래 <희망가>.

일제강점기에 ‘희망가’를 부른 채규엽과 희망가 가사. 2017년 해돋이를 즐기는 관광객들. ©문화콘텐츠닷컴/동해시

어디서 왔는지 아무도 모른다. 미국의 찬송가 <우리가 집으로 돌아올 때>란 말도 있고, 1910년 1월 배가 뒤집혀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잃은 12명의 여중생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그 여학교 교사가 가사를 짓고 학생들이 불러 당시 일본에서 널리 유행했다는 진혼곡 <새하얀 후지산 기슭>에서 가져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누가 가사를 붙이고, 편곡을 했는지 알 수 없지만 당시 음울하고 체념적인 시대정서, 불교적 인생관을 바탕으로 이 노래가 <탕자자탄가> <청년경계가> 등 여러 제목으로 불리면서 지금도 마치 ‘구전가요’ 같은 느낌으로 이어지는 것을 보면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는 것만은 분명하다. 1970년대에는 이문구가 첫 구절 ‘이 풍진 세상을’을 소설 제목으로 졸부의 시대착오적 탐욕을 풍자하기도 한 <희망가>는 ‘역설’이다. 삶의 희망을 묻고는 그것이 성공과 쾌락이 아니라 체념과 망각이라고 말한다. 어쩌면 허무와 비움이야말로 3.1운동의 실패로 꿈이 좌절된 동포들에게 위로와 위안의 ‘희망’인지 모른다.

철학적이면서도 함축적인 사자성어, 공감각적인 언어들로 추측컨대 노랫말을 쓴 이는 시인이나 당대 지식인이었을 것이다. 그도 암울한 세상과 고달픈 삶, 나라 잃은 설움에 좌절하고 허탈했을 것이다. 그래서 희망 잃은 세상에서의 부귀영화, 담소화락, 주색잡기도 한낱 ‘봄날의 꿈’같다고 생각한 것은 아닐까. 힘들고 지친 나머지 ‘세상만사를 잊었으면 희망이 족할까’라고 자조한 것은 아닐까.

때론 유행가도 한 시대의 풍미로 끝나지 않고, 사람들에 의해 오랜 세월을 이어가기도 한다. 세상사가 늘 새로운 것만은 아니며, 시대와 장소를 바꿔 되풀이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는 100여년 전의 일본 카마쿠라 여학생들 비극과 그들을 위한 노래 <희망가>를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유행가는 시대에 따라, 부르는 사람과 듣는 사람에 따라 새로운 의미로 다가간다.

언론사의 한 선배는 ‘노래도 늙는구나’라고 했다. 삶에서 우러난 노래는 다른 사람들의 삶까지 담고, 세월과 함께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젊은 시절에는 듣지도 부르지도 않던 노래, 유치하고 고리타분해 보이던 가사도 어느 때부터인가는 인연과 의미가 되고, 가슴 속 깊이 들어와 위안이 된다. 다소 퇴폐적이면 어떻고, 궁상스러우면 어떠랴. 노래 하나로 내가 위로받고, 누군가 위로해 줄 수 있다면.

이선희가 2014년 JTBC 히든싱어에 출연해 희망가를 부르고 있다. (위) 나훈아는 2003년 발매한 대한민국 가요 대전집에서 희망가를 불렀다. ©JTBC, 네이버음악

100년 가까운 세월을 산 <희망가>를 다시 떠올린 것은 몇 년 전이었다. 왜 수많은 노래 중에서 <희망가> 였는지 정확히 알 길은 없다. 새로운 삶 앞에 이전과는 전혀 다른 ‘희망’을 갈구하면서 세상만사가 춘몽 같고, 부귀영화가 부질없다는 노랫말이 떠올랐는지도 모른다. 마음이 편안했다. 아쉬움, 억울함, 우울함도 녹아내렸다.

가수마다 달랐다. 나훈아의 울림이 깊은 노래는 애잔한 느낌, 허공을 향해 소리치듯 하는 장사익의 노래는 해탈의 느낌이었다. 이선희가 어느 TV프로그램에 나와 부른 명상적 <희망가>는 마음을 쓰다듬어 주었다. 가끔 작은 목소리로 직접 부르면 초로의 삶에 진정으로 바라는 희망이 무엇인지 어렴풋하게나마 떠오른다. 노래의 힘이다.

이렇게 낡고 늙은 유행가도 누구에게는 ‘희망’이다. <희망가>가 허무나 포기, 절망이 아니라 ‘위안’과 ‘힐링’이다. 부질없는 욕심을 비우고, 온갖 번뇌를 버리고 감사와 평안으로 나아가게 한다. 삶이 어느 때보다 팍팍한 요즘에는 드라마와 영화도 이따금 <희망가>를 부르면서 우리에게 희망은 악착같이 집착하고 누림으로써 채울 수도 있지만, 스스로 낮추고 버림으로써 채울 수 있다고 말한다.

궁금하다. 자신만의 탐욕과 집착에 빠져 세상을 어지럽히고, 국정을 농단하고, 국민들을 절망과 허탈에 빠뜨린 사람들, 그 잘못으로 하루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졌거나 떨어지고 있는 사람들은 어떤 희망가를 부르는지. <희망가>는 말한다. 꿈이라고. 남김없이 비우라고. [논객닷컴=이대현]

이대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전 한국일보 문화부장·논설위원

저서 <소설 속 영화, 영화 속 소설>, <영화로 소통하기, 영화처럼 글쓰기> 外 다수

On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2 [compilation] (1997) can be found 13. 서울 노래 - 채규엽

On 유성기로듣던 풍자해학송 [compilation] (1994) can be found 3. 꼴불견 주제가 - 채규엽

soon to be review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