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옥 - Jeon Ok (Chun Ok) (全 玉)


Three songs were to found on this compilation of Chun Ok or Jean-Ok.


We hear a Japanese sounding early trot song with high soprano, accompanied by piano chords, some violin and clarinet/trombone and some resonating metal chords (some sort of gong ?) effect instrument.


The second track shows more emotionality in singing, and an accompaniment by acoustic guitar and violin. It is a rather Japanese sounding early trot, with some orchestral responses with banjo.


The last early trot song isn’t exceptional, but it’s instrumental intro shows introductions one by one by different instruments : clarinet lead with violin, guitar strums, and banjo arpeggios.


Listed songs on CDs:


유성기로듣던 불멸의 명가수 남인수

Nam In Soo 1907 / 1910-1969 / 1924, 1941 (SYNCD-140) vol 18

10 실연의 노래 / A song of broken heart (COLUMBIA 40489)

11 첫사랑 / first love (COLUMBIA 40517)

12 울음의 벗 / A crying friend (COLUMBIA 40528)

“A song of broken heart” shows beautiful piano and crying violin led music in Japanese flavored melancholic style. The voice at certain moments is slightly broken in intonation at some points which still suits the song perfectly well, as intended. “First Love” has a slow waltz rhythm, is arranged with a foundation of guitar. Also this is within a safe zone and range of expression, hiding eventual limitations in voice. It has small chamber arrangements adding more colour and filling the atmosphere well. Last track is accompanied by banjo-like lead arrangements with strummed guitar. The song is again almost similar, but the arrangements nicely compensate.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Meteor Singers (1925~1945) [Disc 2]


실연(失戀)의 노래 / A Song of Broken Hearts (1934)


My favorite song definitely is this one with a very subtle, almost brushed finger piano melody and with the violin tuning in.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Meteor Singers (1925~1945) [Disc 3]

3 피지 못한 꿈 / Unblemished dreams (1935)

This track is lighter, almost jazz-like, and the song presented more nightingale-like and slightly more entertaining like cabaret. It's fine to hear such songs with her voice too.

(Movie 1957) ; O.S.T - 항구의 일야 (지구 스페셜 콜렉션 Vol.1) - 전옥 /

(Jigu Special coll. vol.1 Harbour Nights)

1991-01-10 Jigu (JCDS-0149) CD / 1991-01-10Jigu (JLS-1200031) LP

1972 (추정) 미도파, 지구레코드공사 (LM-120031) original LP. 원작 : 왕평,전옥.

I did not know what to expect, but this album was supposed to be a soundtrack of a sort. In reality it acts like a radio soundtrack with dialogues mixed here and there with background sound fragments (with organ, or with rather experimental sounding field recordings of harper-like sounds), and song fragments in trot style. Quickly the female actor starts to be engaged into a monologue mixed with sobbing and lots of crying, and varied vibrations in her voice. This is alternated by story telling and other filmic fragments with dialogues with which the story enfolds. At some stage birds in the background are mixed in. When the story develops towards the end the situation becomes clear in the crying which is becoming so sincerely expressed you cannot but feel what it is about. This dramatic end stage confirmed and concluded with a small organ tune and rhythm.


The movie itself has been lost, and I am not sure if movies at the time were really that filmic. This 37 minute soundtrack however proves it was certainly a kind of audio spectacle hat enfolded.


The story of the movie is as follows: "A man (from Lee Chul Station), anchored at a port and spend one day making love with Jeonok (at Tansim Station), the cabaret environment at the port. But afterwards she received no more news from him, the tired exhausted mind visits Lee Chul. But then she finds out he has already married another woman and is living happily, feeling the futility of this one night love, returns once more to his port.


-----------------------------------------------------------------

BIOGRAPHIES:


From the Korean articles I could make up she was an actress and singer born in 1911. She went to Seoul to prove her luck and thoroughly found her way up into the music stages, then the movie scene. Her first success in 1928 song gave her the nickname "Queen of Tragedy" or "Queen of Tears" she said. If I translated this well, her songs sold over 10 milion copies. In 1969 she died of the effects of thrombosis. One of the songs propagated the idea of free choices in love which surprisingly, as in the Jazz era in USA, wasn’t too unusual to express in the early 1930's, the “Song of demonstration" (composer gimjunyoung, 1934). Another song is “Fiji dreams”, a song about the anxiety of adolescence, because it could cause conflict with colonial modernity.


The movie 항구의 일야 "harbor ilya" was a movie that could make all people cry. Its story was located near a harbour, where there lived a man who cannot reach or fulfil the needs to be allowed to reach the girl he loves. The girl is played by jeonok (全 玉). If I understood the rough translations well, her monologue that ends in tears lasted 7 minutes but could not be recorded in one take for a record, so four pieces came out, in 1935, 1936, 1937 until they were brought together on one album in 1939, a record which came to sell 700,000 copies. The highlight always remained Jeonok who was here considered to be the "Queen of Tears." The movie currently seems to be lost.


The 37 minute soundtrack has been released on CD (see above).

-----------------------------------------------------------------


"Jeon-ok (全 玉, April 2, 1911 to October 22, 1969) is an actor and singer of Korea. Her real name is Jeon Deok-rye (全 德 禮), who is mainly a tragic heroine and is called "Queen of Tears" because of the appealing acting that causes tears. Actress Kang Hyo-sil was Jeon-ok's daughter, Choi Mu-ryong was her son-in-law, and actor Choi Min-soo is her grandson."


-----------------------------------------------------------------

ManiaDB: 눈물의 여왕 전옥의 본명은 전덕례로 16세 소녀시절 오빠 전두옥에게 떼를 쓰다시피하여 배우의 꿈을 안고 고향 함흥에서 서울로 오게 되었다. 오빠 전두옥은 만능운동가로 나운규의 무성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 자주 출연하였다. 전옥이라는 예명은 오빠 전두옥의 끝이름 글자에서 지어졌다. 1927년 단성사에서 상연된 무성영화 에서 임운학 상대역인 여주인공으로 첫데뷔한 전옥은 11월에는 나운규가 감독한 에서 나운규, 김연실, 이금용 일류 인기배우와 출연하면서 연이어 나운규 감독의 에 출연하였다. 낙원을 찾는 무리(1926) 1920년대의 무성영화 제작은 일년에 몇편 정도 밖에 제작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옥의 활동 무대는 극장무대가 중심이 되었다. 토월회에서 를 공

-----------------------------------------------------------------

Jeon-ok, came to Seoul from her hometown of Hamheung with the dream of becoming an actress. Brother Chun Doo-ok is an all-rounder and frequently appeared as a stuntman in Na Un Kyu's silent films. The name Jeon-ok was named after the brother's last name. Jeon-ok first made her debut as a female lead in the silent film premiered at Danseongsa in 1927. "The Herd of Paradise" (1926) Since silent productions in the 1920s only released a few copies a year, Jeonok's activities became centered around the theater stage.


-----------------------------------------------------------------

마도로스인 남성우(이철 역)은 어느 항구에 정박하여 하루를 지내는 동안 항구에 위치한 캬바레 여급인 전옥(탄심 역)과 사랑을 나누며 장래를 약속한다. 그러나 이후 그는 소식이 없었고, 기다림에 지친 탄심은 이철을 찾아간다. 그러나 그는 이미 다른 여자와 결혼해 행복하게 살고 있었고, 하룻밤 풋사랑의 허무함을 느낀 탄심은 자신이 여급으로 지내던 항구로 다시 발길을 돌린다.

전옥(全玉)이라면 먼저 “눈물의 여왕”이 떠오른다. 레코드로 또는 무대에서 관객들과 눈물로 만나 왔기 때문이지만 또 그의 삶도 눈물로 이어오다가 58세의 짧은 삶을 마쳤다. 1911년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난 전옥 (본명 全德禮)는 오빠 전두옥을 따라 어린시절 서울로 상경 토월회(土月會)에 들어갔다. 토월회는 조선조 말 박정양 대감 아들 박승희(朴희勝)가 만든 연극단체로 연극도 하고 영화도 했으며 연극이 방송극이던 시절 복혜숙, 김연실, 김선초 등과 함께 자연스레 방송극에도 출연하게 되었다. 전덕례는 토월회 무대에 서면서 전옥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오빠 전두옥에서 "두"자를 뺀 것이다.

전옥이 16살 어린 시절 영화의 중요한 역을 담당하면서 사람들의 마음을 끌었다. 무대에서 연기를 하며 노래를 부르면 관객들은 눈물을 흘리며 박수를 쳤다. 그러던 전옥의 노래가 음반으로 되어 나오고 1930년대 초 황성의 옛터 작사가로 유명한 왕평과 함께 출연한 「항구의 일야」가 음반으로 제작되어 나오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장안의 화재가 되었다. 목소리나 소문으로만 들은 사람들은 그의 연극무대를 찾았다. 영화나 연극을 선전하면서 전옥을 앞세웠다. 「눈물 없이는 볼 수없는」이라는 수식어를 붙혀 관객을 끌어들였다. 사람들은 그 연극도 연극이러니 와 전옥의 모습을 보러 찾아들었고 같이 눈물을 흘리며 박수를 치다가 연극이 끝날 때면 아쉬움을 금치 못했다.

1928년 동료 연예인 강홍식과 결혼해 같이 노래도 부르고 연극도 하며 행복한 나날을 보냈다. 1935년 월간 <삼천리>지에서 실시한 가수 인기투표에서 두 사람 모두 남녀 부문에서 각각 4위에 오를 만큼 노래도 인기를 끌었다. 강효실, 강효선, 강효제 삼남매를 낳은 부부는 그 무렵 이혼했다. 아들 딸들은 전 남편을 따라 북한으로 갔지만 딸 강효실은 6.25 때 평양에 간 국군 선무공작대원이 되어 국군을 따라 서울로 올라와 그리던 모녀가 만났다. 그리고 1950년 대부터 영화배우로 활약한 유명한 강효실이 바로 전옥의 딸이다.

남한에서 활동하며 최일과 재혼한 전옥은 남편과 함께 1954년 백조가극단을 만들고 또 백조영화사를 창설해서 1957년 늘 전옥에 붙어 다니던 「항구의 일야」를 영화로 제작하면서 주연을 맡았다. 그 상대역은 최무룡이고 그 최무룡이 곧이어 강효실과 결혼하면서 전옥의 사위가 된다. 전옥은 1958년에도 「눈 내리는 밤」「목포의 눈물」을 제작하면서 주연을 맡았다. [출처: 춘하추동방송]

-----------------------------------------------------------------

Translation with help of Google Translate:


Madoros, a man (from Lee Chul Station), anchored at a port and spend one day making love with Jeonok (at Tansim Station), the cabaret class at the port. But afterwards she received no more news, and the tired exhausted mind visits Lee Chul. But then she finds out he has already married another woman and is living happily, and Tansim, who feels the futility of this one night love, returns to his port.


In the case of Jeon-ok, the term “Queen of Tears” comes to mind first. Although she met with audiences on tears as a record or on stage, her life also led to tears, ending her short life at 58 years.


Born in Hamheung, Hamgyeong-do in 1911, Jeon-ok (real name Jeon-deok) went to Seoul with her brother Jeon-duk as a child and entered the Sangwol Towolhoe. Towolhoe was a theater group created by Park Jung-yang's son Park Seung-hee (朴 희감)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She played theater and appeared in movies. She has also appeared in broadcast dramas with Bok Hye-sook, Kim Yeon-sil, and Kim Sun-cho. Jeon Deok-rye used the stage name Jeon-ok while standing on the Towolhoe stage. It was subtracting "two" characters from her brother's imagination.


Jeon-ok drew people's hearts when she was 16 years ol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ilm. The audience acted vividly on the performances of the movie and sang and shed tears and clapped. When the song of Jeon-ok came out as a record, and "Sunday Night", which appeared in the early 1930s with Wangpyeong, which was famous for writing of "the old ruins of Hwangseong", was produced as a record it became a fire of Jangan. Those who heard only by voice or rumor found the live stage. The records in advance were also promoting a movie or theater. It attracted the audience with the qualifier ` I can't see without tears'' People visited the theater to see what it was like, and they cried with tears together, and they felt sorry for it when the play was over.


In 1928, she married her fellow celebrity Kang Hong-sik and spent happy days singing and playing together. In the 1935 monthly popular song voting in Samchully magazine, both songs were so popular that they were ranked fourth in both sexes. The couple who gave birth to Kang Hyo-sil, Kang Hyo-sun and Kang Hyo-je's, three siblings, they divorced around that time. Her sons and daughters went to North Korea with their ex-husband, but their daughter Kang Hyo-sil became a member of the ROK military senior missionary who went to Pyongyang at 6.25. Kang Hyo-sil, an actress who has been active as such since the 1950s, is her daughter.


Jeon-ok remarried with Choi in South Korea, starred with her husband in 1954, creating a swan theater company, and establishing a swan film company, and filming "Day of the Harbor," which was always attached to Jeon-ok in 1957. The other role is Choi Mu-ryong and Choi Mu-ryong soon marries Kang Hyo-sil and becomes the son-in-law of Jeon-ok. Jeonok starred in 1958, producing Snowing Night and Tears of Mokpo.


[Source: Four Seasons Broadcasting]

-----------------------------------------------------------------


957년 10월, 그야말로 손수건 없이는 볼 수 없는, 특히 ‘고무신’ 관객이라면 결코 아니 볼 수 없는 영화 한 편이 개봉했다. 그 이름도 유명한 <항구의 일야(一夜)>(여기서 필요한 건 ‘두둥!’ 하는 효과음). 어느 항구의 뒷골목을 배경으로, 감히 누구를 사랑할 입장이 못 되는 거리의 여자와 누구라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스펙’ 좋고 잘나가는 남자의 짧은 인연, 그리고 이루지 못할 수밖에 없는 눈물의 사랑이 스크린 위에 펼쳐졌다. 거리의 여인 탄심 역을 맡은 배우는 46세의 전옥(全玉). 탄심이 모든 것을 다 준 남자 이철 역을 맡은 배우는 혈기 방장한 29세의 최무룡(崔茂龍). 나이 차가 막내이모와 조카 사이 정도로 보면 딱이다 싶은 두 사람이 영화에서 연인으로 등장한 것은 아무래도 화제일 수밖에 없었지 싶다. 영화에서 연인이던 두 사람이 실제로는 이미 장모와 사위 사이였고, 영화가 개봉하고 나서 5년 뒤에는 사위의 바람으로 피차 편하지 않은 심경으로 법정에서 만나기까지 한 사실이 물론 더 화제였지만. 영화 <항구의 일야>는 제작자 임화수(林和秀)의 기대를 충족시킬 만큼 흥행에 성공적이지는 않았으나, 1950년대 중후반 당시 한국 대중문화계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실례라는 점에서는 분명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악극의 급격한 퇴조는 주요 악극 레퍼토리의 영화화로 이어졌는데, 전옥이 1955년까지 이끌었던 백조(白鳥)가극단의 간판작이 바로 <항구의 일야>였으니, 악극 영화화의 전형적인 사례가 되기에 실로 충분한 것이다. 그런데 영화 <항구의 일야> 앞에 악극 <항구의 일야>가 있었던 것으로 그 전설적인 신파 비극의 역사가 끝인 것은 또 아니다. <항구의 일야>는 원래 영화 개봉보다 20여 년이나 이른 1933년에 극 음반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탄심 역은 그때도 물론 전옥이었고, 이철 역은 <항구의 일야> 원작자이기도 한 왕평(王平)이 맡았다. 눈물 콧물 있는 대로 다 뽑아내는 전옥의 유장한 독백이 일품이었던 극 <항구의 일야>는 SP음반에 수록되었던 탓에 녹음 시간이 7분도 채 되지 않았다. 비극적 감상에 흠뻑 빠져들기에는 다소 짧은 시간에 아쉬움을 느낀 팬들의 요구가 빗발쳤기 때문인지, 전옥과 왕평은 이후 <항구의 일야>를 줄줄이 시리즈로 계속 발표한다. 1935년에는 제2탄 <항구의 일야> ‘추억편’이, 1936년에는 제3탄 <항구의 일야> ‘최종편’이, 1937년에는 제4탄 <항구의 일야> ‘후일담’이 나왔고, 1939년에는 네 편을 한데 묶어 앨범으로 제작한 전집이 발매되기도 했다. 전집 발매 직전인 1938년에 나온 잡지 기사를 보면, <항구의 일야> 시리즈 네 편의 전체 음반 판매량이 조선 최고인 70만 장을 기록하고 있다는 내용도 있다. 딱 잘라 반 쳐서 35만 장이라 해도 실로 ‘허걱’ 소리 절로 나오는 수치가 아닐 수 없다. 1930년대 극 음반(SP음반), 1940년대 이후 악극, 1950년대 영화로 이어진 <항구의 일야>의 변신은 1964년에 LP판 극 음반으로까지 이어졌다. 1939년에 발매된 전집 내용을 다시 다듬어낸 37분짜리 LP판 <항구의 일야>에서도 탄심은 역시 전옥의 몫이었고, 상대역 이철은 성우로 활동하고 있던 남성우(南聖祐)가 연기했다. 1933년부터 변함없이 불린 <항구의 일야> 주제가는 아직 <동백 아가씨>로 뜨기 전이던 가수 이미자(李美子)가 불렀다. 이 음반은 LP음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던 1991년에 다시 한 번 재발매되기도 했으니, 주인공 탄심의 질긴 명줄은 배우 전옥(1969년 타계)보다 훨씬 길었던 셈이다. 이야기 하나가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며 대중을 매료시키는 예는 <항구의 일야>말고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나아가 그러한 활용 방식이 이른바 ‘OSMU’로 전에 없이 각광을 받고 있기도 하다. 소설이 드라마가 되고, 드라마가 만화가 되고, 만화가 영화가 되고, 영화가 뮤지컬이 되는 경우는 두 손으로 꼽기에도 부족하다. 하지만 줄잡아도 30여 년, 늘리면 60년 가까이에 달하는 <항구의 일야>가 밟아온 그 오랜 세월에는 다른 어떤 히트작도 쉽게 넘볼 수 없는 어떤 힘이 깃들어 있다. 그랬기에 끊임없이 제기된 ‘저질 신파’ 시비에도 세대를 뛰어넘는 <항구의 일야>가 존재할 수 있었다. 그 힘의 원천, 거기에는 또 반평생 이상 탄심을 연기했던 ‘눈물의 여왕’ 전옥이 있었다. 왕평에서 최무룡으로, 최무룡에서 남성우로, 그 사이사이에 또 수많은 이철이 바뀌고 다시 바뀌는 동안에도 탄심은 언제나 전옥의 몫이었다. 전옥의 나이가 몇이든 상대 배우의 나이가 몇이든, 울고 싶은 관객에게 그런 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전옥 아닌 탄심이 아예 없지는 않았겠지만, 대중의 뇌리에는 전옥이 곧 탄심이었고, 탄심이 곧 전옥이었다. 영화 <항구의 일야>는 현재 필름이 소실돼 볼 길이 없는 상황인데, 아무래도 40대 중반 여배우가 20대 후반 상대 배우(인 동시에 사위)를 상대로 비련의 여인을 연기하는 모습이 그렇게 매끄럽지만은 않았을 듯하다. 그래도 연기라는 것에는 또 그런 면이 있지 않은가. 반드시 주연을 맡아야만, 반드시 자기 실제 나이와 맞는 역을 맡아야만 좋은 연기나 기억에 남는 연기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세간에 화제가 된 ‘티베트 궁녀’의 저 ‘미친 존재감’만 보아도 그렇지 않은가. 그러나 그 존재감도 눈물의 여왕 전옥이 탄심의 독백으로 뿜어낸 ‘미친 카리스마’ 앞에서는 명함도 내밀기 어렵지 싶다.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3&mcate=M1004&nNewsNumb=2013117192 :

1950년대 대구에는 제법 이름 있는 극장들이 있었습니다. 당시 10대 미만의 소년이었던 나는 아버지를 따라서 극장 구경을 더러 다녔습니다. 참으로 오래된 극장인 만경관(萬頃館)도 갔었고, 대구극장에도 갔었습니다. 아버지가 즐겨 찾던 극장의 프로그램은 주로 비극을 테마로 하는 영화였습니다. 그때만 하더라도 영화 제작 기법이나 기술이 발전된 시기가 아니어서 대개 권선징악이나 벽사진경과 관련된 판에 박힌 줄거리가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살아가는 것이 워낙 힘겹고 고단하던 시절이라 비극을 보는 경험은 자신의 가슴 속에 쌓인 한과 슬픔을 털어내는 여과와 조절의 시간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비극영화를 상연하는 극장 앞은 인산인해로 넘쳐났습니다. <목포의 눈물>, <눈 나리는 밤> 등이 그 대표적인 작품들로 기억됩니다. 흑백으로 만들어진 이 비극 테마 영화의 대부분에서 단골 배역을 도맡았던 한 배우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전옥(全玉)입니다.

▲ 배우와 가수를 겸했던 전옥

영화배우 전옥은 1911년 함흥에서 태어났습니다. 본명은 전덕례(全德禮)이지요. 함흥 영생중학교 2학년 때 가세가 기울자 집에서 그녀를 시집보내려 했습니다. 하지만 배우가 되고 싶어 극단을 기웃거렸던 그는 부모를 설득해 오빠 전두옥(全斗玉)과 함께 서울로 내려갔습니다. 전옥은 복혜숙과 석금성이 스타로 있던 토월회 문을 두드려 그곳에서 잔심부름을 하며 배우의 꿈을 키웠습니다. 당시 16세의 전옥은 사슴 같은 눈에 콧날이 오뚝하여 이목구비가 뚜렷한 용모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나이는 어렸지만 토월회(土月會) 무대에 섰고 <낙원을 찾는 무리들>(황운 연출·1927)에서 주연을 맡은 경험도 있었습니다. <잘 있거라>에 출연한 그는 돈에 팔려 부호에 시집가는 황순녀 역을 능숙하게 잘 해냈습니다. 예명을 전옥으로 쓰게 된 것은 오빠의 이름 전두옥을 이용했기 때문입니다. 전옥은 곧 신일선을 대신해 나운규 프로덕션의 대표 여배우가 되었고, 연이어 <옥녀> (1928), <사랑을 찾아서>(1928)에서 주연을 맡으며 스타의 길을 걷게 됩니다. 사람에겐 누구나 성공의 기회가 꼭 한번은 찾아오게 마련입니다. 전옥에게도 드디어 그러한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1925년 토월회 창립 2주년 기념공연으로 작품 <여직공 정옥>이 광무대에서 상연되던 어느 날 그 연극에서 주인공으로 연기하던 석금성이 관객이 던진 사과에 배를 맞았습니다. 임신 중이던 석금성은 졸도했고 그녀를 대신하여 전옥이 무대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전옥은 토월회 무대에서 착실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습니다. 이후 극단이 해산하게 되면서 영화 일을 하고 있는 오빠를 따라 무대를 떠나 영화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맨 처음에는 나운규와의 인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28년 17세의 전옥은 오빠의 전문학교 시절 친구이자 가수, 배우로 활동하고 있던 강홍식과 결혼하게 됩니다. 그녀는 남편 강홍식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국인 경성방송국에서 노래를 생방송했고 방송극에도 출연했습니다. 1929년에는 다시 문을 연 토월회의 무대에 섰으나 이내 토월회가 문을 닫자 지두환이 세운 조선연극사의 무대에 섰습니다. 그녀는 눈물을 뚝뚝 흘리게 만드는 독백으로 유명했으며 비극의 여인 역을 잘 해 '비극의 여왕', '눈물의 여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습니다. 1930년대 전옥은 남편 강홍식과 함께 많은 음반을 발표했습니다. 이때 발매된 그녀의 음반은 남편 강홍식과 함께 발표한 여러 노래들과 <항구의 일야(一夜)>로 대표되는, 자신이 출연한 인정비극을 레코드에 담은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이 중 1934년 남편 강홍식이 발표한 <처녀총각>은 10만장이라는 엄청난 양이 팔렸습니다. 큰돈을 번 강홍식은 한 일본여자와 바람이 나서 가정을 떠났고 해방 후 월북했습니다. 그녀는 라미라가극단에서 나운규의 <아리랑>을 다시 각색한 <아리랑>(1943)을 비롯해 많은 가극을 공연했습니다. 가극에 출연하면서 그녀는 다시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했습니다. 1940년대 일제가 철저히 통제했던 영화계는 친일적인 시국영화만 만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복지만리>(1941), <망루의 결사대>(1943), <병정님>(1944)이 당시 그녀가 출연했던 군국영화입니다. 해방 후 전옥은 전국순회공연을 하던 남해위문대를 백조가극단(白鳥歌劇團)으로 개칭하여 악극을 공연했습니다. 당시 백조가극단의 공연은 1부에 전옥이 나오는 인정비극 <항구의 일야>가 공연됐고, 2부에는 버라이어티쇼로 고복수, 황금심 같은 유명 가수들의 무대로 구성되었습니다. 수많은 악극단이 명멸했던 그 당시, 전옥의 백조가극단은 모든 면에서 최고의 위치에 있었으며 공연은 전쟁 중에도 계속되었습니다. 이즈음 전옥은 극단의 살림을 맡던 일본 유학출신 최일(崔一)과 재혼했습니다. 50년대 중반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전옥은 다시 영화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자신이 출연한 인정비극 <항구의 일야>(1957), <눈 나리는 밤>(1958), <목포의 눈물>(1958) 등을 영화로 만듭니다. 60년대 이후 전옥은 무대와 다른 모습으로 영화에 출연했습니다. 소년시절 제가 대구극장에서 보았던 것이 바로 <눈 나리는 밤>이었지요. 1969년 10월 전옥은 고혈압과 뇌혈전 폐쇄증이 일어나 58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습니다. 그의 자녀들은 남과 북의 영화계를 대표하는 스타가 되었습니다. 영화배우 최민수의 모친인 배우 강효실과 북한의 대표적인 배우 강효선이 그의 딸입니다. 가수로서의 전옥은 영화의 선전효과를 높이기 위해 주제가나 관련되는 곡들을 직접 부른 경우가 많습니다. <실연의 노래>(범오 작사, 김준영 작곡, 천지방웅 편곡, 1934)는 1930년대 초반 당시 유행하던 풍조 중의 하나인 자유연애 사상을 한껏 고취시켜 주었습니다.

말 못할 이 사정을 뉘게 말하며 안타까운 이 가슴 뉘게 보이나 넘어가는 저 달도 원망스러워 몸부림 이 한밤을 눈물로 새네 풀 언덕 마주앉아 부르던 노래 어스름한 달 아래 속살거린다 잊어야 할 눈물의 기억이던가 한 때의 한나절에 낮꿈이런가 상처진 옛 기억을 잊으려 하나 잠 못 자는 밤만이 깊어가누나 귀뚜라미 울음이 문틈에 드니 창포밭 옛 노래가 다시 그립다 -<실연의 노래> 전문 전옥이 부른 노래의 창법은 가슴 속에 깊이 가라앉은 슬픔을 다시 불러일으켜서 그것을 과장하지 않고, 스스로 조절하고 정리하여 심정적 안정을 느끼게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점은 전옥이 출연했던 영화에서 시도된 방법과도 일치됩니다. 위에 인용한 실연의 노래만 하더라도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상적 삶에서의 로맨스를 중심 테마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그 실연이라는 테마를 좌절과 비탄으로 빠지지 않게 하고, 저급한 센티멘탈리즘으로 떨어지는 것도 거부합니다. 역시 전옥이 부른 노래 <피지 못한 꿈>도 청년기 특유의 애잔한 심정을 잘 담아낸 노래입니다. 특히 2절 가사는 ‘네온사인 불 밑이라 피지 못한 꿈 피지 못한 꿈’이란 대목을 통해 식민지적 근대와 갈등과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 청년기의 내적 고뇌를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범오(凡吾) 유도순(劉道順)이 작사하고 외국곡에 의탁하여 취입했던 노래 가을에 보는 달은 한숨, 서러움, 쌀쌀함 따위의 내면 풍경을 전옥 특유의 낭랑하고도 슬픔의 페이소스로 충만된 음색과 창법을 통해 1930년대 초반 젊은이들의 심정을 울렸던 것입니다. 원조 ‘눈물의 여왕’ 이경설이 세상을 떠나고 뒤를 이어받아서 제2대 ‘눈물의 여왕’이라는 전옥의 별명답게 전옥이 불렀던 노래들은 거의 대부분 슬픔, 괴로움, 고달픔, 실연, 그리움, 상처 따위와 관련된 주제들이 많습니다. <울음의 벗>(이하윤 작사, 전기현 작곡)이란 가요작품이 지닌 총체성은 제목에서 풍기는 느낌만으로도 전옥이 대중문화 쪽에서 지향하는 방향성을 고스란히 암시하게 해줍니다.

▲ '울음의 벗'노래 가사지

아, 나는 서러운 몸 폐허 위에서 떠오르는 옛 생각에 아 오늘도 우네 아, 나는 꿈을 따라 헤매이는 몸 상한 가삼 부여안고 아 이 밤을 새네 아 나는 외로운 몸 치밀어 오는 향수일내 한숨 지며 아 오늘도 우네 아 나는 울음의 벗 젊은 가삼에 눈물의 비 받으면서 아 이 밤을 새네 -<울음의 벗> 전문 전옥이 남기고 있는 상당수의 가요 작품들은 시인 유도순이 노랫말을 만든 곡들입니다. 작곡가로는 김준영(金駿永)과 호흡을 잘 맞추었습니다. 작사가, 작곡가 두 사람은 전옥의 감성과 표현능력을 잘 이해하여 그 효과에 잘 부합되는 작품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아리따운 처녀의 고운 자태를 묘사한 <첫사랑>(범오 작사, 김준영 작곡)과 <수양버들>(유도순 작사, 전기현 작곡, 1936)의 가사에서 마치 혜원 신윤복이 그린 한 폭의 한국화를 보는 듯한 전통적 감각과 색조가 느껴지는 어휘구사도 돋보입니다. 이를 전옥의 창법이 잘 소화시켜 내고 있는 것입니다. 전옥의 가수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살려낸 최고의 걸작은 역시 악극 대본으로 구성한 <항구의 일야>가 아닌가 합니다. 이 작품의 여주인공으로는 사랑에 깊은 배신을 겪고 삶의 좌절로 이어지는 고통에 빠진 ‘탄심(彈心)’이란 인물입니다. 이 배역을 전옥이 맡아서 크나큰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세상이 덧없으니 믿을 곳 없어 마음속 감춘 정을 그 누가 아랴 그 누가 아랴 -<항구의 일야> 삽입곡 탄심의 연인이었던 상대역으로는 이철이란 인물이 설정되었고, 탄심의 친구로 영숙과 의형제를 맺었던 박민이란 인물이 좌절 속에 빠진 탄심을 위기에서 구출해줍니다. 이 악극의 삽입곡을 원래 남일연이 취입했었는데, 해방 후 이미자에 의해 재취입되어 LP음반으로 발매된 적이 있습니다. 이 음반을 통해서 듣는 전옥의 대사는 온갖 산전수전과 세상의 풍파를 다 겪은 노배우의 관록과 역량을 물씬 느끼게 하는 효과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전옥 이외의 배역으로는 성우인 남성우, 천선녀, 김영준 등이 맡았습니다.

by 이준희(대중음악비평가) | 2010-11-18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6&nNewsNumb=2013117192&nidx=7193

이동순교수의 가요 이야기

식민지의 한과 슬픔을 걸러준 가수 전옥

칼럼 하단에 전옥의 노래를 올려 놓았으니 직접 들어보세요.

글 | 이동순 영남대 국문과 교수

2013-11-01 18:27

1950년대 대구에는 제법 이름 있는 극장들이 있었습니다. 당시 10대 미만의 소년이었던 나는 아버지를 따라서 극장 구경을 더러 다녔습니다. 참으로 오래된 극장인 만경관(萬頃館)도 갔었고, 대구극장에도 갔었습니다. 아버지가 즐겨 찾던 극장의 프로그램은 주로 비극을 테마로 하는 영화였습니다. 그때만 하더라도 영화 제작 기법이나 기술이 발전된 시기가 아니어서 대개 권선징악이나 벽사진경과 관련된 판에 박힌 줄거리가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살아가는 것이 워낙 힘겹고 고단하던 시절이라 비극을 보는 경험은 자신의 가슴 속에 쌓인 한과 슬픔을 털어내는 여과와 조절의 시간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비극영화를 상연하는 극장 앞은 인산인해로 넘쳐났습니다. <목포의 눈물>, <눈 나리는 밤> 등이 그 대표적인 작품들로 기억됩니다. 흑백으로 만들어진 이 비극 테마 영화의 대부분에서 단골 배역을 도맡았던 한 배우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전옥(全玉)입니다.

▲ 배우와 가수를 겸했던 전옥

영화배우 전옥은 1911년 함흥에서 태어났습니다. 본명은 전덕례(全德禮)이지요. 함흥 영생중학교 2학년 때 가세가 기울자 집에서 그녀를 시집보내려 했습니다. 하지만 배우가 되고 싶어 극단을 기웃거렸던 그는 부모를 설득해 오빠 전두옥(全斗玉)과 함께 서울로 내려갔습니다. 전옥은 복혜숙과 석금성이 스타로 있던 토월회 문을 두드려 그곳에서 잔심부름을 하며 배우의 꿈을 키웠습니다.

당시 16세의 전옥은 사슴 같은 눈에 콧날이 오뚝하여 이목구비가 뚜렷한 용모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나이는 어렸지만 토월회(土月會) 무대에 섰고 <낙원을 찾는 무리들>(황운 연출·1927)에서 주연을 맡은 경험도 있었습니다. <잘 있거라>에 출연한 그는 돈에 팔려 부호에 시집가는 황순녀 역을 능숙하게 잘 해냈습니다. 예명을 전옥으로 쓰게 된 것은 오빠의 이름 전두옥을 이용했기 때문입니다.

전옥은 곧 신일선을 대신해 나운규 프로덕션의 대표 여배우가 되었고, 연이어 <옥녀> (1928), <사랑을 찾아서>(1928)에서 주연을 맡으며 스타의 길을 걷게 됩니다. 사람에겐 누구나 성공의 기회가 꼭 한번은 찾아오게 마련입니다. 전옥에게도 드디어 그러한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1925년 토월회 창립 2주년 기념공연으로 작품 <여직공 정옥>이 광무대에서 상연되던 어느 날 그 연극에서 주인공으로 연기하던 석금성이 관객이 던진 사과에 배를 맞았습니다. 임신 중이던 석금성은 졸도했고 그녀를 대신하여 전옥이 무대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전옥은 토월회 무대에서 착실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습니다. 이후 극단이 해산하게 되면서 영화 일을 하고 있는 오빠를 따라 무대를 떠나 영화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맨 처음에는 나운규와의 인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28년 17세의 전옥은 오빠의 전문학교 시절 친구이자 가수, 배우로 활동하고 있던 강홍식과 결혼하게 됩니다.

그녀는 남편 강홍식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국인 경성방송국에서 노래를 생방송했고 방송극에도 출연했습니다. 1929년에는 다시 문을 연 토월회의 무대에 섰으나 이내 토월회가 문을 닫자 지두환이 세운 조선연극사의 무대에 섰습니다. 그녀는 눈물을 뚝뚝 흘리게 만드는 독백으로 유명했으며 비극의 여인 역을 잘 해 '비극의 여왕', '눈물의 여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습니다.

1930년대 전옥은 남편 강홍식과 함께 많은 음반을 발표했습니다. 이때 발매된 그녀의 음반은 남편 강홍식과 함께 발표한 여러 노래들과 <항구의 일야(一夜)>로 대표되는, 자신이 출연한 인정비극을 레코드에 담은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이 중 1934년 남편 강홍식이 발표한 <처녀총각>은 10만장이라는 엄청난 양이 팔렸습니다. 큰돈을 번 강홍식은 한 일본여자와 바람이 나서 가정을 떠났고 해방 후 월북했습니다.

그녀는 라미라가극단에서 나운규의 <아리랑>을 다시 각색한 <아리랑>(1943)을 비롯해 많은 가극을 공연했습니다. 가극에 출연하면서 그녀는 다시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했습니다. 1940년대 일제가 철저히 통제했던 영화계는 친일적인 시국영화만 만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복지만리>(1941), <망루의 결사대>(1943), <병정님>(1944)이 당시 그녀가 출연했던 군국영화입니다.

해방 후 전옥은 전국순회공연을 하던 남해위문대를 백조가극단(白鳥歌劇團)으로 개칭하여 악극을 공연했습니다. 당시 백조가극단의 공연은 1부에 전옥이 나오는 인정비극 <항구의 일야>가 공연됐고, 2부에는 버라이어티쇼로 고복수, 황금심 같은 유명 가수들의 무대로 구성되었습니다. 수많은 악극단이 명멸했던 그 당시, 전옥의 백조가극단은 모든 면에서 최고의 위치에 있었으며 공연은 전쟁 중에도 계속되었습니다.

이즈음 전옥은 극단의 살림을 맡던 일본 유학출신 최일(崔一)과 재혼했습니다. 50년대 중반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전옥은 다시 영화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자신이 출연한 인정비극 <항구의 일야>(1957), <눈 나리는 밤>(1958), <목포의 눈물>(1958) 등을 영화로 만듭니다. 60년대 이후 전옥은 무대와 다른 모습으로 영화에 출연했습니다. 소년시절 제가 대구극장에서 보았던 것이 바로 <눈 나리는 밤>이었지요.

1969년 10월 전옥은 고혈압과 뇌혈전 폐쇄증이 일어나 58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습니다. 그의 자녀들은 남과 북의 영화계를 대표하는 스타가 되었습니다. 영화배우 최민수의 모친인 배우 강효실과 북한의 대표적인 배우 강효선이 그의 딸입니다.

가수로서의 전옥은 영화의 선전효과를 높이기 위해 주제가나 관련되는 곡들을 직접 부른 경우가 많습니다. <실연의 노래>(범오 작사, 김준영 작곡, 천지방웅 편곡, 1934)는 1930년대 초반 당시 유행하던 풍조 중의 하나인 자유연애 사상을 한껏 고취시켜 주었습니다.

말 못할 이 사정을 뉘게 말하며

안타까운 이 가슴 뉘게 보이나

넘어가는 저 달도 원망스러워

몸부림 이 한밤을 눈물로 새네

풀 언덕 마주앉아 부르던 노래

어스름한 달 아래 속살거린다

잊어야 할 눈물의 기억이던가

한 때의 한나절에 낮꿈이런가

상처진 옛 기억을 잊으려 하나

잠 못 자는 밤만이 깊어가누나

귀뚜라미 울음이 문틈에 드니

창포밭 옛 노래가 다시 그립다

-<실연의 노래> 전문

전옥이 부른 노래의 창법은 가슴 속에 깊이 가라앉은 슬픔을 다시 불러일으켜서 그것을 과장하지 않고, 스스로 조절하고 정리하여 심정적 안정을 느끼게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점은 전옥이 출연했던 영화에서 시도된 방법과도 일치됩니다. 위에 인용한 실연의 노래만 하더라도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상적 삶에서의 로맨스를 중심 테마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그 실연이라는 테마를 좌절과 비탄으로 빠지지 않게 하고, 저급한 센티멘탈리즘으로 떨어지는 것도 거부합니다.

역시 전옥이 부른 노래 <피지 못한 꿈>도 청년기 특유의 애잔한 심정을 잘 담아낸 노래입니다. 특히 2절 가사는 ‘네온사인 불 밑이라 피지 못한 꿈 피지 못한 꿈’이란 대목을 통해 식민지적 근대와 갈등과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 청년기의 내적 고뇌를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범오(凡吾) 유도순(劉道順)이 작사하고 외국곡에 의탁하여 취입했던 노래 가을에 보는 달은 한숨, 서러움, 쌀쌀함 따위의 내면 풍경을 전옥 특유의 낭랑하고도 슬픔의 페이소스로 충만된 음색과 창법을 통해 1930년대 초반 젊은이들의 심정을 울렸던 것입니다.

원조 ‘눈물의 여왕’ 이경설이 세상을 떠나고 뒤를 이어받아서 제2대 ‘눈물의 여왕’이라는 전옥의 별명답게 전옥이 불렀던 노래들은 거의 대부분 슬픔, 괴로움, 고달픔, 실연, 그리움, 상처 따위와 관련된 주제들이 많습니다. <울음의 벗>(이하윤 작사, 전기현 작곡)이란 가요작품이 지닌 총체성은 제목에서 풍기는 느낌만으로도 전옥이 대중문화 쪽에서 지향하는 방향성을 고스란히 암시하게 해줍니다.

▲ '울음의 벗'노래 가사지

아, 나는 서러운 몸 폐허 위에서

떠오르는 옛 생각에 아 오늘도 우네

아, 나는 꿈을 따라 헤매이는 몸

상한 가삼 부여안고 아 이 밤을 새네

아 나는 외로운 몸 치밀어 오는

향수일내 한숨 지며 아 오늘도 우네

아 나는 울음의 벗 젊은 가삼에

눈물의 비 받으면서 아 이 밤을 새네

-<울음의 벗> 전문

전옥이 남기고 있는 상당수의 가요 작품들은 시인 유도순이 노랫말을 만든 곡들입니다. 작곡가로는 김준영(金駿永)과 호흡을 잘 맞추었습니다. 작사가, 작곡가 두 사람은 전옥의 감성과 표현능력을 잘 이해하여 그 효과에 잘 부합되는 작품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아리따운 처녀의 고운 자태를 묘사한 <첫사랑>(범오 작사, 김준영 작곡)과 <수양버들>(유도순 작사, 전기현 작곡, 1936)의 가사에서 마치 혜원 신윤복이 그린 한 폭의 한국화를 보는 듯한 전통적 감각과 색조가 느껴지는 어휘구사도 돋보입니다. 이를 전옥의 창법이 잘 소화시켜 내고 있는 것입니다.

전옥의 가수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살려낸 최고의 걸작은 역시 악극 대본으로 구성한 <항구의 일야>가 아닌가 합니다. 이 작품의 여주인공으로는 사랑에 깊은 배신을 겪고 삶의 좌절로 이어지는 고통에 빠진 ‘탄심(彈心)’이란 인물입니다. 이 배역을 전옥이 맡아서 크나큰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세상이 덧없으니 믿을 곳 없어

마음속 감춘 정을 그 누가 아랴 그 누가 아랴

-<항구의 일야> 삽입곡

탄심의 연인이었던 상대역으로는 이철이란 인물이 설정되었고, 탄심의 친구로 영숙과 의형제를 맺었던 박민이란 인물이 좌절 속에 빠진 탄심을 위기에서 구출해줍니다. 이 악극의 삽입곡을 원래 남일연이 취입했었는데, 해방 후 이미자에 의해 재취입되어 LP음반으로 발매된 적이 있습니다. 이 음반을 통해서 듣는 전옥의 대사는 온갖 산전수전과 세상의 풍파를 다 겪은 노배우의 관록과 역량을 물씬 느끼게 하는 효과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전옥 이외의 배역으로는 성우인 남성우, 천선녀, 김영준 등이 맡았습니다.

좋아요 1 sns 공유하기

칼럼니스트 사진

이동순 영남대 국문과 교수

-----------------------------------------------------------------

Translation with help of Google Translate (with some mistakes still in it):

The singer Jeon Ok who expressed the sorrow of the colony.

by Lee, Dong-Soon Professor, Yeungnam University, 2013-11-01


In Daegu in the 1950s, there were quite famous theaters. As a boy under my teen, I followed my father to the theater. I went to Mangyeonggwan, which is a really old theater, and I went to Daegu Theater. My father's favorite show was a tragedy-themed movie. At that time, filmmaking techniques and techniques were not advanced, and most of the routines related to winding jingles and wall photography were almost always embedded.


However, living was such a difficult and hard time, and the experience of tragedy was a time of filtration and control to shake off the sorrows and sorrows accumulated in one's heart. For this reason, the front of the theater where tragedy movies were staged was flooded with people. "Mokpo's Tears" and "Snowy Night" are remembered for their representative works. There was an actor who played a regular role in most of this tragedy-themed film in black and white, which was Jeon-Ok...


Actress Jeon-ok was born in Hamhung in 1911. Her real name is Jeondeokrye (全 德 禮). In the second year of Hamheung Young Saeng Middle School, her father tried to marry her at home. However, mocked to the troupe and destined to become an actor, she persuaded her parents that she would go down to Seoul with her brother Jeon Doo-ok. Jeonok knocked on the door of Towolhoe where Bok Hye-sook and Suk Geum-sung were the stars, and he greeted the dream there.


At the time, the 16-year-old Jeonju had a distinctive appearance because her deer eyes. Although she was young, she was on the stage of Towolhoe and had a lead role in "The Flock of Paradise" (Director Hwang Woon, 1927). She also appeared in "The Goodbye", and he was adept at playing the role of Hwang Sun-na, who was sold for money and married out. The reason for writing the title is because she used her brother's name Chun Doo-ok.


Jeon-ok soon became the leading actress of Na Un Kyu Productions on behalf of Shin Il-sun, followed by starring roles in "Jade Girl" (1928) and "Finding Love" (1928). Everyone has a chance to succeed. The opportunity finally came to Jeon-ok. In 1925, Suk Geum Sung, who played the protagonist in the play, was greeted by an apology from the audience. Geumseong, who was pregnant, had fainted and Jeon-ok replaced her on stage for her.


Jeonok was steadily taking a seat on the Towolhoe stage. After the troupe disbanded, she left the stage with her brother, who was working on a movie. At first she started with Na Un Kyu. In 1928, 17-year-old Jeon-ok was married to Kang Hong-sik, a friend, singer and actor who was active during his brother's college.


With her husband, Kang Hong-sik, she lived and sang in drama, at Kyungsung, Korea's first station. In 1929, he was on the stage of the reopening Towol meeting, but soon after the Towol meeting closed, she was on the stage of the Korean theater set by Ji Doo-hwan. She was known for her monologues that caused her to shed tears, and she was also well known for her role as a tragic woman, which nicknamed her the "Tragedy Queen" and "Queen of Tears."


In the 1930s, Jeon released many records with her husband, Kang Hong-sik. Most of her releases were recorded with her husband Kang Hong-sik. Many songs showed her recognizable tragedy, represented by the port's Ilya (一夜). Of these styled songs, "the virgin bachelor" released by her husband, Kang Hong-sik in 1934, sold 100,000 copies. After earning a lot of money, Kang Hong-sik left home with a Japanese woman and left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She performed many acts at the Ramira Theater, including "Arirang" (1943), which re-adapted Na Un-kyu's "Arirang". Appearing in the play, she began to appear in the film again. In the 1940's, the film industry, which was tightly controlled by Japanese imperialism, had no choice but to make pro-national films. "Bokmanji-ri" (1941), "Watchtower's Lodge" (1943), and "Soldier" (1944) are her military films.


After the liberation, Jeon-ok renamed her group Namhae Wimmun ..(??) which performed a national tour, as a swan opera troupe and performed a play with them. At that time, the performance of the swan drama troupe was the first episode of the tragedy <Hall of the Sea> with chook-jeon i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was a variety show featuring the stages of famous singers such as Go Bok-soo and Keum Sim. At the time when many troupes were extinguished, Jeonok Swan Theater Company was in the best position in all respects and the performance continued during the war.


Around this time Jeon remarried with Choi Il, who was a foreign student. As movies became popular in the mid-50s, Jeon turned to film again. Films include "The Tragedy of the Harbor" (1957), "The Night of Snow" (1958), and "The Tears of Mokpo" (1958). Since the 1960s, Jeon-ok appeared in movie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stage. As a boy, myself I saw at Daegu Theater the movie of <Snowy Night>.


In October 1969, Jeon died of 58 years of age due to hypertension and cerebrovascular obstruction. Her children have become stars of the film world, both in South and North. Actor Kang Hyo-sil, the mother of movie star Choi Min-soo, and Kang Hyo-sun, the representative actor of North Korea, are her daughters.


As a singer, Jeon-ok often sings theme songs and related songs directly to increase the propaganda effect of the film. "Song of Real Life" (composed by Bum Oh, composed by Kim Joon-young, Arranged by Cheon Fat-woong, 1934) inspired the idea of ​​free love, one of the trends of the early 1930s.


-<Song of Broken Heart>

I tell you this unspeakable situation

I feel sorry for this heart

I'm resentful of that moon passing by

I struggle with this night with tears

Singing about the watchful Hills

I whisper under the dusk

Is it a memory of tears to forget

One day at a time

Are you trying to forget your old memories?

Only during the night I can't sleep

A Cricket is singing at the doorstep

I miss the old song of iris fields

(Bum Oh Song / Kim Joonyoung Composition) (1934.02) Colombia 40489

Side a "Virgin bachelor" / Kang Hongsik / Side b "Song of Broken Heart"

The method of song sung by Jeon Jeok has the effect of bringing back the sorrow that settled deep in the heart so that it does not exaggerate it and adjusts and organizes itself to feel emotional stability. This is in line with the method attempted in the film in which Jeon appeared. The song of the above-mentioned broken heart only deals with the romance in everyday life that anyone can have. At the same time, the theme of the broken heart does not fall into frustration and grief, and refuses to fall into low sentimentalism.


Jeon's song "Inevitable Dreams" is also such a song that expresses the heartfelt feelings of youth. In particular, verse 2 is remarkable in that it accepts the internal agony of adolescents who are causing conflict with colonial modernity and conflict through the passage of 'Neon dream that cannot be bloomed because of the neon sign alone.' The song written by Bum-Oh Indo-Soon which relied on foreign songs "The moon in autumn" is filled with paesos of unique and sad sorrows that show the inner landscape of sighs, sorrows and chills. In the early 1930's, the young people's feelings were echoed through the method and the method of creation.


The original 'Queen of Tears' Lee Kyung-seul passed away and inherited the nicknames of Jeonok, as the second 'Queen of Tears', with almost all of her themes related to sadness, suffering, hardship, broken heart, longing and hurt. The lot. The totality of the song 'A Friend of Weeping' (composed by Ha-Yoon Lee, composed by Jeon-Hyun Lee) alludes to the direction that Jeon-Ju aims for in the direction of popular culture just by the feeling in the title.

Lyrics for 'Friends of Crying' Song

-<Friend of crying>

Oh, I'm on a sad body ruin track

when an old thought comes to my mind

Ah, I'm wandering along a dream state

staying up all night

Ah I'm feeling lonely when

sighing over nostalgic days

Ah I am a crying friend

Oh, I will stay this night under the rain of tears


Many of the songs that Jeon has left are songs written by poet Yudo-soon. As a composer, I matched my breath with Kim Joon-young. The composers and the writers both understood the emotions and expressive abilities of all build-ups and made works that matched the effects. In the lyrics of 'First Love' (composed by Bum-O, Kim Joon-young) and <Weeping Willow> (composed by Yoo Do-sun, composed by Jeon Hyun-hyun, 1936) they are depicting the beautiful shape of a beautiful virgin. The vocabulary can also be seen hue. This is well understood by "the window of Jeonok".


The best masterpiece that made the most of the character of Jeon-ok's singer is "the Port of the Night". The heroine of this work is a character named “Tansim” who suffered deep betrayal of love and suffered from a life's frustration. Jeonok took on this role and that had a great effect.


There is no place to believe because the world is fleeting

Who knows who cares deep inside the heart?

<< port of the day> insertion song


Lee Chul, who was a lover of tansim (??), was set as a character, and Park Min, who had a brother-in-law with Young-sook as a friend of Tansim, rescues its feeling of frustration. Nam Il-yeon's contribution was originally inserted into the song, but it was re-introduced by Imiza after the liberation and then released on LP. Through this album, Jeon-ok's dialogue can enjoy the effect that makes me feel the record and ability of the old actor who has passed through all kinds of prenatal and worldly winds. The casts other than Jeonok were male voice actors, Chun Sun-nyeo and Kim Young-joon.


Lee, Dong-Soon Professor, Yeungnam University


-----------------------------------------------------------------

-----------------------------------------------------------------

Translated with help of Google Translate with mistakes) (mostly only new things were left in)

The Queen of Tears"

Written by Lee Geun-tae

...

In April 1933, she played <The Melody of Jazz> <Jeong Yeom-saeng> <My Leave With You> in the Polidor Records. After the release of the song 'The Port of the Night', which was played by dramatists Wangpyeong and Jeonok, she became very popular.


Good night (1927): The theme song of the port's work was sung by singer-songwriter Kim Yong-hwan. Even in January 1939, the Recordings of the Port of the Harbor appeared, which swept across the country.

There is no place to believe in,

because the world is fleeting

Who is he really?

Have you forgotten this forgetfulness

Should I hold him or cry

I'm crying this lonely night

Even the sky, starlight, draw towards my hometown

At Victor Records, several songs were released in September, including <Winning Year> and <Han Sesang>. In 1934, her husband Kang Hong-sik and Columbia Records singers continued to release the album in January, starting with <Great Nim>, <Island Night>, and <Song of Broken Heart>.


In 1932, Jeon-ok Kang Hong-sik had a daughter-in-law Kang Hyo-sil, who had made it a remarkable family. Inspired, Kang Hong-sik has always had more time to go outside than being next to Jeon-ok as a theater actor and theater producer.


"This sad heart looks so wide

I'm resentful of that moon passing by

I struggle with this tearful night"

She was a woman of tears who lived in a sad state, just like in the lyrics of <Song of Broken Heart>, which she sang on Columbia Records in 1934.


His first daughter, Kang Hyo-sil (Talent Choi Min-soo's mother), divorced during the Korean War, divorced Choi Mu-ryong in 1963, and Jeon-ok, the queen of tears, continued as a real woman of tears until her death in 1969.


In 1951, a young lady came to Seoul dressed in a hanbok at the 1st Division of the Army's 1st Division, which entered Pyongyang. The Sun Mu Technical College was an entertainment group composed of actors and singers, and the 1st Army Division included Lee Jong-cheol (a comedy actor), Choi Nam-yong (early singer), Song Dal-hyup (OK record exclusive singer), and Kim Hee-gap (a comedy actor).


The maiden of Hanbok was Kang Hyo-sil and was sent to Seoul from Seonmu Technical Center to meet her mother Jeonok. In the 1960s, she inherited her parents' qualifications and was recognized as a theater actor in the National Theater. In the drama center, she also appeared in Chi Chi-jin's director, Small, Choonhyangjeon with her mother.


Choi Il, who remarried with Jeon Ok, was a coach of the Pyongyang Football Team at the 1933 Gyeongpyeong Soccer Contest (Gyeongseong, Pyongyang Soccer Competition). He is currently alive.


From the liberation of August 15 until the early 1960s, Jeon-ok became popular with the enthusiasm of acting on the stage. The crowd gathered to see the acting of the whole record rather than watching the contents of the play.


Jeon-ok's acting features are inherently expressive in the monodrama of Korean women's life and joy. The mourning cry of mourning screams swept the seats and seemed to be attracted by magic.


In the 1950s theater theater district, the phrase "a stage that can not be seen without tears" and "Please prepare a handkerchief" was an essential phrase for Jeonok's performance.


The relative roles of Jeon-ok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Kang Hong-sik, Kim Yong-hwan and Jang Dong-hee. The relative roles after the 8.15 liberation were Shin Young-gyun, Yellow Sea, Choi Bong, and Choi Mu-ryong.


She founded Swan Film History in 1957 and produced The Day of the Port, starring Choi Mu-ryong and Jeon-ok. Readability. Choi Bong produced the tears of Mokpo


In 1960, she appeared with Kim Seung-ho, Heo Jang-gang, and the Yellow Sea, producing the film Beyond the Hills and director Kim Soo-yong, Abandoned Angel.


In 1958, she won the first Korean Performing Arts Award. In 1965, she produced the LP's "Day of the Night". The actors were male actors, Chun Sun-nyeo, actor Kim Young-joon, and Won Hee-ok.


Actor Jeon-ok decorated the stage with a tragic protagonist performance on a theater stage rather than making a footstep as a singer.


In 1998,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Samsung Film Service, she performed the play "The Queen of Tears" at the Seoul Arts Center and toured the nation's major cities. In 1953, the performances of Jeon-ok's swan troupe were featured in the script, Lee Yun-taek, the actress Lee Hye-young, and Yeon-hee's 20 shortlists, Shingu and Bae Sam-ryong.


항구의 무명초(1954) / Announcement of "Cotton plant in port" (1954)

'Port of the Night'

1. The sound of the water is flowing

Willow leaves quietly fall

I took a willow leaf and put it in my mouth

I can sense the tune you draw

Willow leaves show my heart geography

This year's commitment is in vain

In the willow weeping branches

I want you to hang this heart upon.

Will you float upon the willow leaf?

I will be buried with it and be sent away

I first met with you and then broke up

I am not forgetting the foster willow.

Original work: Wangpyeong, Jeonok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