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희갑과 미스틱무드 오케스트라 Kim Hee-Gap & Misticque Orchestra



Radio show comments on this release: "This is great instrumental psych, with exotic rhythms, great electric guitar and organ. Almost impossible to leave out any track. Third and last track have an additional sax improvisation. Builds up to very jazzy/swinging psych with crazy heights, freaking out. Very good rhythm section ! Highly recommended !"

These instrumentals tracks are jammed psych/ jazz/ rock interpretations of Shin Yung Hyun songs. A must-have.


Kim Hee Gap Go Go Sound Vol.1 KLS-20 10 Jun 1971 Universal

A1커피한잔 / Cup of Coffee

A2떠나야할 그사람 / Who Should Leave it

A3빗속에 여인 / Woman in the Rain

B1님아 / Nim

B2봄비 / Spring rain

Alto Saxophone 강승용 Kang Seung Yong

Bass Guitar 경윤 Kyung Yoon

Bongos 전병찬 Jeon Byung Chan

Congas 유복성 Yu Bog Seong

Drums 김인성 Kim In Sung

Electric Organ 박남수

Guitar 김희갑 Kim Hui Gab

not reissued yet

PS. Some tracks are switched (A2 - A3 and 봄비 which is to be heard on side B) possibly due to a miscommunication between musicians and record company.


기타(김희갑)/드럼(김인성)/콩가(유복성)/올갠(박남수)/ 봉고(전병찬)/베이스(경윤)/엘토(강승용)


1971 / 유니버어살 사실 김희갑이라는 이름은 수많은 히트곡을 생산했던 작곡가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그는 그 이전에 미 8군 에이원 쇼(A1 Show)의 악단장과 기타리스트로 활동하며 키 보이스, 히 파이브, 트리퍼스 등 초창기 한국 록 밴드들의 활동에 작곡과 음반 프로듀서로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던 인물이다.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에 소위 ‘김희갑 악단’의 이름으로 발표한 음반들을 통해 들려준 그의 기타 연주는 동시대 활동했던 신중현, 이인성과 같은 기타리스트와 비교할 때 비브라토를 최대한 억제하고 해머링과 풀링, 혹은 슬라이드로 정갈한 멜로디를 이끌어 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고 있지만, 언제까지나 그 기본이 클래식 기타에 있기 때문이다. 또 여타 기타리스트들이 발표한 연주음반들과 달리 기타의 솔로 연주보다는 악기 전체의 조화를 중시하는 ‘악단장’으로서의 역량도 두드러진다. 1971년에 공개된 이 음반 역시 같은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작들과는 확실하게 다른 구석이 있다. 우선 밴드를 구성하고 있는 멤버들이 다른 음반에 참여했던 김희갑 악단 구성원이 아니다. 기타 김희갑, 드럼 김인성, 콩가 유복성, 올갠 박남수, 봉고 전병찬, 베이스 기타 경윤, 앨토 색소폰 강승용으로 새롭게 조직된 프로젝트. 일단 드럼과 콩가, 그리고 봉고로 구성된 타악기군이 눈에 띈다. 또 이전에 김희갑 악단이 발표한 음반의 레퍼토리였던 기존 트로트 히트곡이나 김희갑 자신이 작곡한 곡을 수록한 게 아니라 신중현의 대표적인 히트곡을 담고 있다는 차별성도 존재한다. 필을 중요시하는 신중현의 연주와 정교하고 치밀하게 계산된 연주를 하는 김희갑의 스타일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그리고 김희갑은 이러한 차이를 좁혀가는 대신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부각시키며 흥미로운 해석을 감행했다. 우선 기타리스트 김희갑은 전체적으로 애들립과 같은 즉흥성을 철저히 배제시켰으며, 악단장으로서의 김희갑은 밴드를 구성하고 있는 악기들이 내는 한 음 한 음의 소리를 마치 수학 문제를 풀 듯 계획적으로 치밀하게 배열했다. 기타 사운드는 차갑고 냉철하지만 세 명으로 구성된 타악기군은 원시적이고 뜨겁다. 기타는 물론 타악기를 제외한 모든 악기는 솔로 파트를 병행해 맡으며 자유롭고 역동적인 생명을 부여한다. 때문에 이 음반은 즉흥적이고 사이키델릭하다. 물론 그 사이키델릭의 의미가 약에 취해 놀아나는 듯 보이는 기존 곡들과는 다르다. 즉흥성 역시도 어디까지나 철저하게 계획된 악보 아래에 있지만 청자들은 반복되는 타악파트의 중독성 강한 리듬에 쉽사리 무력화되고 중심을 잃는다. 셔플과 국악의 굿거리장단이 공존하는 독특한 편곡을 들을 수 있는 <커피 한 잔>과 <빗속의 여인>은 기존 신중현의 원곡에 익숙한 사람이라도 반드시 들어봐야 할 문제작이며, <떠나야할 그 사람>의 중반부에는 좀처럼 듣기 어려운 김희갑의 기타 애들립이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빗속의 여인>는 1970년대 초 국내 록 밴드에게 있어서 산타나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편곡을 가진 곡으로, 타악기군의 중독성 강한 연타는 비슷한 시기에 키 브라더스가 발표한 「고고 춤을 춥시다」처럼 산타나의 <Jingo> 리듬파트를 그대로 옮겨왔다. 와우 이펙트를 사용한 김희갑의 기타가 후방 배치된 <봄비>는 기타 이외의 악기가 멜로디를 리드하는 이색적인 트랙. 출중한 연주기량을 가진 연주인들과 함께 한 프로젝트 형식의 밴드였지만 록 밴드 지향적인 김희갑의 의도가 오롯이 담긴 음반으로, 신중현 자신의 음반은 물론 신중현의 곡을 연주한 다른 연주음반들 가운데서도 단연 손가락에 꼽을만한 호연의 기록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러한 김희갑의 의도 혹은 외도는 오직 이 한 장의 음반밖엔 없다. 그리고 그러한 의도마저도 지금까지 재조명 받지 못하고 재발매되지 못한 채 계속해서 잊혀지고 있다. 글 송명하 (20120125) 월간 핫트랙스 매거진(http://info.hottracks.co.kr/company/main)에 기고한 글입니다.

출처: https://conermusic.tistory.com/213 [CONERMUSIC]


"The name Kim Hee-gap has a strong image as a composer who produced numerous hits. However, he was previously a band leader and guitarist for the Eighth Army's A1 Show, who had a great influence as a songwriter and record producer on the activities of early Korean rock bands such as Key Boys, Hi Five (He5), and Trippers.

His guitar performances, recorded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in the name of the so-called Kim Hee-gap Band, suppressed vibrato as much as possible compared to contemporary guitarists such as Shin Ji-hyun and Lee In-sung.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leads a neat melody to the slide. He played electric guitar, but the basics were always written with classical guitar. Also, unlike other guitarists' performances, the band's ability as a "master" emphasizes the harmony of the entire instrument rather than the solo performance of the guitar. This album, released in 1971, can be seen in the same context. But there are certainly different corners than the previous ones.


First of all, the members of the band are not members of the Kim Hee-gap band who participated in other records. Other projects include Kim Hee-gap, Drum Kim In-sung, Conga Yu Bok-sung, Olgan Park Nam-su, Bongo Jeon Byeong-chan, Bass Guitar Kyung-yun, and Alto Saxophone Kang Seung-yong.


First, a percussion group consisting of drums, conga and bongos was noticeable. In addition, there is a distinction that it does not include existing trot hits or songs written by Kim Hee-gap himself, which were previously repertoires of the album released by Kim Hee-gap orchestra.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Kim's style of playing with Shin-hyun who counts Phil and playing precisely and precisely calculated music. And instead of narrowing these differences, Kim Hee-gap made an interesting interpretation by highlighting his strengths as much as possible. First, the guitarist Kim Hee-gap thoroughly eliminated the improvisation like the Adlip, and Kim Hee-gap as the band leader deliberately arranged the sound of one note from the instruments that make up the band as if solving a mathematical problem.


The guitar sound is cold and cool, but the three-member percussion group is primitive and hot. All instruments, including guitars and percussion instruments, play solo parts in parallel, giving them free and dynamic life.


Because of this, the record is improvised and psychedelic. Of course, the meaning of the psychedelic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ongs that seem to be drunk. Improvisation, too, is far below the well-planned score, but listeners are easily neutralized and distracted by the addictive rhythm of repeated percussion parts.


A cup of coffee and a woman in the rain, where you can hear the unique arrangement of the shuffle and gugak gutdan co-ordination, is a problem that must be heard even by those who are familiar with the original song of Shin Jung-hyun.


Kim Hee-gap's guitar add-on is hard to hear. In particular, The Woman in the Rain is an arrangement that shows how much Santana was influential in the Korean rock band in the early 1970s.


The percussive addictive battering was released by Key Brothers at the same time. Like Santana's <Jingo> rhythm part. Kim Hee-gap's guitar using the wow effect is arranged in the back, <Spring Rain> is an unusual track where instruments other than the guitar lead the melody.


It was a project-type band with musicians with outstanding performances, but the rock band-oriented Kim Hee-gap's intentions were recorded on the fingertips. It is a record of good acclaim. Unfortunately, the intention or affair of Kim Hee-gap is only one record. And even those intentions have been forgotten so far without being re-illuminated and re-released."


Written by Song Myung-ha


--------------------------------

BIOGRAPHY:


1936년 3월9일 평양에서 태어난 김희갑은 의사였던 아버지를 따라 1·4 후퇴 때 월남한 뒤 대구에서 성장했다. 당시 한창 이름을 날리던 엄 토미 악단이 대구에 내려와서 했던 ‘쇼’가 그의 꿈을 키워준 공연이었다. 고(故) 엄 토미는 일본에서 클라리넷과 바이올린을 공부하는 등 대중음악계에서는 보기 드문 인텔리였고, 그의 악단에 함께 있던 손석우(1922~)는 쇼의 사회도 보고 연주도 하는 팔방미인이었다. 기타를 연주하면서 작곡도 했던 손석우가 김희갑의 모델이었다. 손석우는 <우리 애인은 올드 미스> <노란 샤쓰의 사나이> <이별의 종착역> <청실홍실> 등 주옥같은 곡의 작곡가이자 ‘서양음악’의 어법을 한국 가요에 도입한 선구자다.

김희갑이 ‘직업’으로 기타를 연주한 것은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다. 대구에 서너개 있던 나이트클럽에서 기타를 연주했다. 짧은 머리를 가리기 위해 모자를 썼다는 이야기, 고물상에서 중고 기타를 사다가 아교로 붙이고 고무줄로 묶었다는 이야기, 전화선을 뜯어서 기타줄로 사용했다는 이야기, 전기기타의 픽업을 만들어보려고 전화기를 뜯어내서 수화기는 앰프에 꽂고 송화기는 ‘비로드’ 천을 감아서 기타 뒤판에 대고 묶었다는 이야기 등은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의 이야기로 전해내려온다.

Born in Pyongyang on March 9, 1936, Kim Hee-gap grew up in Daegu after his retirement from the 1 and 4 retreat following his father, a doctor. The show, which was carried out at the time when the Umm Tommy band came down to Daegu, made his dreams come true. Koh Um Tommy was rare in the pop music world, studying clarinet and violin in Japan, and Son Seok-woo (1922 ~), who was in his orchestra, was an all-rounder who saw and played the show. Son Seok-woo, who composed and played the guitar, was Kim Hee-gap's model. Son Seok-woo is a composer of gems such as Old Miss, Man of Yellow Chats, End of Parting, and Blue Room, and a pioneer of introducing Western music to Korean music.


Kim Hee-gap played guitar as a 'job' since his sophomore year. I played guitar in a night club that was three or four in Daegu. Talking about wearing a hat to cover up short hair, buying used guitars from antique shops, glued them together with rubber bands, tearing off the phone lines and using them as guitar strings, and tearing off the phone to make pickups for electric guitars. The story of the days tell of tiger cigarettes that were attached to the amplifier, and the transmitter was wrapped with 'Broad' cloth and tied to the back of the guitar.


이 무렵 한 선배의 소개로 김희갑은 ‘미 8군 무대’에 진출한다. 당시 음악인들이 유일하게 생계를 해결할 수 있었던 곳인 이곳에서 그는 록 쇼와 에이원(A1) 쇼의 기타 연주인이자 마스터(악단장)로 활동한다. 3~4개월마다 오디션을 보아서 잔류 여부를 결정하는 미 8군 무대에서 A1 쇼는 2년간 최고 등급(이른바 더블A)을 받을 정도로 인기를 누렸고, 윤복희·김성옥·송영란·윤항기 등의 가수가 여기를 거쳐갔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A1 쇼가 기타리스트가 악단장을 맡은 쇼였다는 점이다. 그 점에서 그는 이인성·이인표 같은 기타리스트와 더불어 한국에 록음악이 만들어지는 데 중요한 산파 역할을 했다.

1963년께(추정) 미 8군을 그만두고 5인조로 ‘김희갑 악단’을 만들어서 ‘일반 무대’로 진출해(당시는 국내 무대를 ‘일반 무대’라고 불렀다) 경동호텔 나이트클럽에서 연주인 생활을 계속한다. 이른바 고급스러운 나이트클럽에서 ‘경음악을 연주하는 캄보 밴드’가 되었다. 그보다 나이가 많은 이봉조·김인배·여대영·송민영·최석재 등의 악단과 더불어 최고급 악단이었다. 이런 생활은 마치 천직처럼 1985년까지 계속되었다.


At this time, Kim Hee-gap advanced to the "Eighth Army Stage" after the introduction by a senior. Here, where musicians could only make a living, he is a guitar player and master of the rock show and A1 show (A-One Show). On the stage of the eighth US Army, which auditions every three to four months to decide whether to remain, the A1 show was so popular that it received the highest rating (so-called double A) for two years. More importantly, the A1 show was led by the guitarist. In that regard, he played important roles in making rock music in Korea, along with guitarists like Lee In-sung and Lee In-pyo.


In 1963, he left the eighth US Army, created a group of five-member Kim Hee-gap and proceeded to the general stage (at the time the domestic stage was called the general stage). In a so-called luxurious nightclub, he became a “Cambo Band who plays light music.” It was the highest quality band along with the older bands such as Lee Bong Jo, Kim In Bae, Dae Young Yeong, Song Min Young, and Choi Seok Jae. This life continued as far as 1985 until 1985.


박춘석과 김영광의 부탁으로 남진의 데뷔곡 <울려고 내가 왔나>가 수록된 음반에 편곡과 연주를 맡으면서 스튜디오에 발을 들여놓았다. 그 직후 “유행가 작곡하고 싶은 마음은 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태원의 <사랑아 내 사랑아>, 김상희의 <진정 난 몰랐네>, 최정자의 <모래 위를 맨발로> 등이 수록된 음반을 ‘김희갑 작편곡집’ 혹은 ‘김희갑 작품집’으로 만들었고, 이 음반이 히트하는 바람에 작곡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수많은 레코딩 세션에 참여해서 많은 음반들에 기타 연주를 남겼다.

그 가운데는 가수의 노래를 반주한 것에 머물지 않는 음반들도 있었다. 남진의 노래를 녹음하던 때 모였던 트럼펫 여대영, 색소폰 박호일 등 최고의 연주인 7명이 ‘가요’와 ‘민요’의 레퍼토리를 편곡해서 연주한 <톱 힛트 경음악 퍼레이드 3집>(오아시스 OL 12531, 1967년께)은 당시 한국 연주인들의 수준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외국곡을 중심으로 기타 솔로 연주를 부각시킨 <김희갑 악단 1집: 감미로운 땐씽 경음악>(오아시스 OL 12539, 1967년께)은 클래식 기타에 바탕을 둔 그의 탄탄한 기초를 느낄 수 있다.

1969년께 김희갑은 이른바 ‘마장동 스튜디오’에서 젊은 음악인들의 음반에도 관여하기 시작한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그가 ‘작편곡’을 담당한 음반은 키 보이스, 히 화이브, 트리퍼스 등의 ‘그룹 사운드’들, 임희숙이나 김추자 같은 ‘솔’ 가수들, 송창식·윤형주·김세환 등 ‘포크’ 가수들을 망라한다. 이 시기에 작곡된 <바닷가의 추억> <메아리> <정 주고 내가 우네> <상아의 노래> <그럴 수가 있나요> 같은 그의 작품은 오랜 수명을 누리고 있다. 또한 이 시기에 김인성(드럼), 유복성(퍼커션) 등과 함께 7인조로 녹음한 <김희갑 Go Go Sound vol.1>(킹/유니버어살, KLS-20, 1971년)은 사이키델릭하고 ‘헤비’한 즉흥 잼 연주를 들려주면서 그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마치 산타나의 음악을 듣는 듯한 이 음반의 레퍼토리는 예상 외로 <커피 한 잔> <봄비> 당시 신중현이 작곡한 곡들이다.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그는 대중음악계를 떠나 영화음악에 매달렸다. 그러고는 1982년 한국 음반업계의 전설 ‘킹박’을 다시 만나 한울타리라는 그룹을 만들어 최진희를 스타로 키운 뒤 1985년께 무대에서 연주하는 일은 그만두었다. 그 뒤 지구레코드에 전속되어 안정된 상태에서 조용필과 이선희에게 롱런을 보장하는 곡을 써주었다. 이 곡들은 작곡도 작곡이지만 그의 동반자인 양인자의 작사가 빛을 발한 작품이기도 하다. <미스틱 무드>라는 이름의 연주곡 음반들을 시리즈로 발표한 것도 이 무렵이다.

꽁지머리에 청바지 입고 노익장 과시

그 뒤 김희갑은 ‘음악 인생의 마무리’라고 생각하는 뮤지컬 작업에 매달리고 있다. <명성황후>의 음악을 맡았고 지난해 말 막을 올린 <몽유도원도>의 음악도 그의 손끝에서 나왔다. 그는 “앞으로 두세 작품을 더 만들면 되지 않을까 한다”는 말로 정열을 과시했다. 고희(古稀)가 가까워오는 나이에도 꽁지머리를 하고 청바지를 즐겨 입는 그의 모습에 어울리는 발언이다. 굴곡 없이 무난하게 성공의 길을 걸어왔고 그래서 노년의 모습도 유복해 보이지만, 그건 항상 젊은 마음으로 음악에 대한 집념을 불태웠던, 과거가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신현준 | 대중음악평론가

글 출처 : 한겨레 21 2003년 07월 17일 제468호 |


At the request of Park Chun-seok and Kim Young-gwang, he made arrangements and performances on the album containing Namjin's debut song, "I Am Here To Cry." Shortly afterwards, “I didn't want to write a song, but what happened?” Records containing Taewon's <Love, My Love,> Kim Sang-hee's <I Really Didn't Know>, and Choi Jung-ja's <Sand Bare on the Sand>. It was made into 'Him Kap Kim's collection of works', and the album hit the songwriter's path. Since then 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recording sessions and has left guitars to many records.


Some of them did not stay with accompaniment of the singer's song. The top chop instrumental music parade Vol. 3 (Oasis OL 12531, 1967) was composed by seven of the best performers who gathered while recording Nam Jin's song, including the female trumpet Dae Young and Saxophone Park Hoil. It shows that the level of Korean performers was significant.


In addition, Kim Hee-gap's 1st album: Sweet Times Instrumental Music (Oasis OL 12539, 1967), which highlights the solo performance of guitars based on foreign songs, can feel his solid foundation based on classical guitar.


By 1969, Kim Hee-gap began to engage in the recording of young musicians in the so-called 'Majang-dong Studio'.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he was in charge of 'composition' for 'group sounds' such as key voices, hives, and trippers, 'sol' singers such as Lim Hee-sook and Kim Chu-ja, song Chang-sik, Yoon Hyung-joo, and Kim Se-hwan. It covers 'fork' singers. His works, such as <Memories of the Beach>, <Echoes>, <Jung Gi and I>, <Ivory Song> and <Can I Do>, were written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Kim Hee-gap (Go Go Sound vol.1) (King / Universal Sal, KLS-20, 1971) recorded with Kim In-sung (drums) and Yu Bok-sung (percussion) was a psychedelic and 'heavy' He plays another improvisation jam and shows his other side. The album's repertoire is as if listening to Santana's music.


From the mid-1970s to the early 1980s, he left the popular music scene and hung on film music. Then in 1982, he met the legend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King Park’ again and formed a group called “Hanul Tul”, raising Choi Jin-hee as a star and quit playing on stage in 1985. After that, he wrote a song that guarantees a long run to Cho Yong-pil and Lee Sun-hee. These songs are also composed, but it is also the work of his companion, Yang-ja.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we released a series of songs called Mystic Mood.


Showing off the old man wearing jeans on the head...


Since then, Kim Hee-gap has been working on musicals that he considers to be the “final of music life.” The music of <Queen Empress> was released at the end of last year. He showed enthusiasm with the words, "Will I make two or three more works in the future?" It is a remark that goes well with the appearance of Ko-hee wearing jeans and wearing jeans even at the near age. I have walked the path of success without any inflection, and I look so wealthy in old age, but the thought that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past, which always burned my obsession with music with a young heart.


by Hyun Jun Shin | Popular music critic



김희갑이 만든 곡들은 언제나 우리 주변에 있었다. 지금도 있다. 1980년대라는 시대 조용필의 <킬리만자로의 표범>과 <그 겨울의 찻집>, 이선희의 <알고 싶어요>, 최진희의 <그대는 나의 인생>과 <사랑의 미로>, 양희은의 <하얀 목련>, 김국환의 <타타타>, 임주리의 <립스틱 짙게 바르고> 등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의 표준을 확립한 노래다. 이런 노래들 일부를 ‘뽕 발라드’라고 싫어하는 소수의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런 사람들도 저 노래들이 한두 번만 들어도 입에 착착 감긴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양인자 작사·김희갑 작곡’은 1980년대 히트곡이 되기 위한 하나의 브랜드였다. 사회의 어떤 분야든, ‘산정 높이 올라가’려는 사람들의 욕망들로 들끓던, 그렇지만 그런 욕망들 사이로 좌절과 포기의 한숨이 새어 나오던 시대 양인자의 섬세한 감수성이 담긴 글에 입힌 김희갑의 서정적이면서도 강렬한 멜로디는 대중적 공감의 폭과 깊이 모두를 극대화했다.

앞서 ‘뽕 발라드’라는 표현은 작가에 대한 불경의 언어가 결코 아니다. ‘뽕’이 현대 한국을 살아온 사람이 떨쳐 버릴 수 없는 속(俗)의 정서라면 말이다. 그렇지만 김희갑은 그 ‘속’의 세계에 빠져서 허우적거리지 않는다. 그의 곡들은 대중의 정서 속으로 진입한 뒤 압착과 분리를 거쳐서 고갱이를 추출하는 특별한 과정을 거친 것 같다. 그 절정은 이동원이 부른 <향수>겠지만, 단지 이 곡이 특별한 예외는 아니다.

그 점에서 1970년대 이전 시기 그의 작품들이 화사하고 모던한 ‘팝’ 계열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키보이스의 <바닷가의 추억>, 박건의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이승재의 <눈동자>, 이용복의 <달맞이꽃>, 이은하의 <봄비> 등은 ‘작곡가가 누군지는 몰라도 선율은 선명히 기억하는’ 몇몇 예들이다. 송창식의 <상아의 노래>나 임희숙의 <진정 난 몰랐네> 등이 영원한 고전처럼 남아 있다는 것은 사족에 지나지 않는다. 김추자의 <그럴 수가 있나요>에서 혜은이의 <열정>에 이르기까지 록 음악의 영향이 명백한 작품들을 남긴 사실, 그리고 키보이스, 히파이브, 트리퍼스 등 1세대 록 밴드(그룹 사운드)의 음반들의 ‘작편곡가’(요즘 말로 프로듀서) 역할을 수행한 사실 등은 여기서 간단히 말하고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대중가요 작곡가이기 이전에 기타리스트, 악단장, 영화음악가, 뮤지컬 작곡가인 그의 경력을 쓰기에는 지면이 모자란다. 단지, 오래된 음반을 모으는 사람이라면, ‘감미로운 땐씽 경음악’, ‘김희갑 Go Go Sound vol.1’, ‘미스틱 무드 오케스트라’ 등의 이름이 붙은 연주곡 음반을 듣고 놀라지 말라고 당부하고 싶다. 사실 저런 ‘경음악’(연주곡) 만큼 ‘한국 팝의 역사’를 잘 보여주는 텍스트도 없을 것이다.

그와 비슷한 세대, 심지어 더 젊은 세대가 화려한 시대를 보내고 무대 뒤로 퇴장한 뒤로도 그는 오래 동안 건재했다. 재능과 성실을 모두 갖추고 무수한 작품을 남긴 그가 한국 대중음악의 공로를 논할 때 왜 첫 번째로 언급되지 않고 서너 번째로 언급되는지가 의문일 뿐이다. 이제서야 그에게 공로상이 돌아가는 것은 오히려 비례가 아닐까?

선정위원 신현준


Automated translation with some mistakes still in:


"Kim Hee-gap's songs were always around us. Even now. The era of the 1980s Cho Yong-pil's "Leopard in Kilimanjaro" and the "Winter Teahouse", of Lee Sun-hee's "I Want to Know", Choi Jin-hee's "You're My Life" and "The Maze of Love", Yang Hee-eun's "White Magnolia", Kim Kuk-hwan's "Tatata" and Lim Joo-ri's "Lipstick Thick Paint" are the tracks that have set the standard for songs from radio. There are a few people who don't like some of these songs known as "Bongon Ballad," but they can't deny that they just get stuck in their mouths once or twice.


'Yo In-ja and Kim Hee-gap' were a brand that tended to give a hit song in the 1980s. Kim Hee-gap's lyrical and intense melody, written in the delicate sensibilities of both men and women, was filled with the desires of those who wanted to 'go up the mountain', but the sighs of frustration and abandonment flowed through those desires. Maximized both the breadth and depth of public empathy.


Earlier, the expression given of a “pond ballad” was never a word of disrespect for the artist. If the 'pong' is a sentiment that the person who has lived in modern Korea cannot shake off. However, Kim Hee-gap doesn't get bogged down in the world of his 'inner' expression. His songs seem to have gone through a special process of extracting the old meat through compression and separation after entering the public emotion. Its peak is "Perfume" by Lee Dong-won, but this song is no special exception.


In that sense, it is no coincidence that his works before the 1970s gave bright and modern “pop” lines. Key Voice's <Seasonal memories>, Park Gun's <I forgot his name>, Lee Seung-jae's <Eyes>, Lee Yong-bok's <Evening Primrose>, Lee Eun-ha's <Spring Rain>, etc. are just some examples. Song Chang-sik's "Song of Ivory" and Lim Hee-sook's "True I Don't Know Really" remain as an eternal classics. From Kim Choo-ja's <Can You Do It> to Hye Eun-yi's <Passion>, the fact that it left behind an influence of rock music is obvious, and the works of first-generation rock bands (group sound) such as Keyboys, hip-fives = He5, Trippers, etc. The fact that he played the role of 'Arranger' (producer in recent words) is not something to be briefly mentioned here.


Prior to being a pop and composer, he lacked space to write a career as a guitarist, band leader, film musician, and musical composer. However, if you're collecting old records, I'd like to ask you not to be surprised to hear the recordings with names such as ‘Sweet When Light Music,’ ‘Kim Hee-gap Go Go Sound vol.1’, and ‘Mystic Mood Orchestra’. In fact, there will be no text that shows the history of Korean pop as well as that of 'light music'.


Even after a similar age, even a younger generation, went on stage and left behind the scenes, he was alive and well. It is only a question of why he is mentioned first and foremost when discussing the merits of Korean popular music, with all his talents and sincerity and leaving countless works. Wouldn't it be proportionate to him now to receive a merit?"


Shin Hyun-jo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