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애리수 / Lee Aerisoo / Lee Alisu / Arisu


A few tracks can be found on

V.A.: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1925~1945) vol 1

* 12 메리의 노래 / Mary's song (1931)

13 고요한 장안(長安) / Tranquil Chang'an (1932)

14 메리의 노래 / Mary's Song (1931)

Tracks with * I consider essential listens or classics, or tracks to check out for sure. It are tracks that makes them also very suitable for western radioshow airplay. Tracks that are only underlined can be considered fine tracks you might better check out as well, but I am not sure how essential they are.

These tracks were described on my radioshow as being like slow waltzes with brass / strings, played by a small combo, some of which have very nice melodies, others with more bizarre voices.


"Mary's Song" is almost like an old western classical song with an eastern touch and a half jazz waltz half classical chamber accompaniment. It has a grotesque 30s cabaret music voice.


유성기로 듣던 불멸의 명가수 : 막간 가수들 Interlude singers (vol 21)

5 실연(失戀) / Demonstration (COLUMBIA 40223)

14 베니스의 노래 / Song of Venice (COLUMBIA 40162)

15 황성(荒城)의 적(跡) / Enemy of Hwangseong (VICTOR 1169)

The first listed Columbia singles are a strange new original form of music of a brass with some strings combo, a really fine combination of classical chamber music like Schubert mixed with local brass band directing towards a new jazz form with high hymn like soprano voice that almost is classical inspired. The “Song Of Venice” almost has something of Austrian folklore music mixed with the classical and early jazz cabaret elements, in a classical setting, like a new kind of invented fusion of styles. “Enemy of Hwangseong” is more in the more Japanese-sounding enka-like inspired song style, with what sounds like improvised combo arrangements (I hear also some glockenspiel, violin and double bass).

Personally I like the singer’s voice.

Extra tracks I have heard worth to remember and to check out:

* 까페의 노래 / Song of the Cafe (1919)

* 방랑가 / Wanderers (1931)

순정 / pure (1933)

The first song is a very entertaining and melodic-rhythmical cabaret-like song. A classic track if you ask me. Also the second track has a lullaby-like effect, and is rather cabaret-like as well. "Pure" is Japanese arid Trot-styled.


Most tracks I heard were pretty damaged sound recordings which didn't do much justice to get a good listen.

-------------------------------------------------------

BIOGRAPHIES:

1910-2009 ; debute 1931

From what I understand from the rough translation of 2 sources is that Lee Aerisoo is her stage name (while her real name is Lee Eum-Yeon).


She was born in a very poor family and started as an actor from very young age. While playing a leading role in folk theater, it made her grew into a famous actress. At that time actors were not considered as real artists, but because she was such a natural talent, they made her record a first song in 1931. Her second record from 1932 made her famous.


With this song, 'Ruins redundancy', at age 18, she made her debut as a Korean composer and lyricist. This "Serenade of Korea" 'showed an early anti-Japanese sentiment. It sold 50,000 copies.


From that moment on she continues her career as a professional singer. After marriage and a first child she tried to commit suicide twice, by poison and by cutting her wrist in a park, but survived twice, and retired from show business. Never the less, she made to almost 100 years old, passing while being in a nursery home.


----------------------------------------------------------------------------------------

이애리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애리수 본명이음전

출생1910년 경기도 개성 사망2009년 분야연극,대중가요 대표작황성의 적 대표작

〈황성의 적〉(荒城의 跡)1932년

이애리수(李愛利秀, 1910년 ~ 2009년 3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의 연극배우 겸 가수이다.

생애[편집]

경기도 개성 출신으로 본명은 이음전(李音全)이다. 한때 본명이 이보전(李普全)으로 알려졌으나 잘못된 것이다.[1] '애리수'라는 예명은 서양 이름 '앨리스'를 음차한 것이라 이애리스라고 표기되기도 했다.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9세 때부터 배우로 활동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외삼촌이 연극배우라 순회 극단에 들어가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애리수는 신극좌, 민중극단, 취성좌 등에서 아역 배우로 활동하면서 점차 유명한 여배우로 성장했고, 조선연극사, 연극시장 등 흥행극단에서 주연을 맡게 되었다.

이 시기는 대중가요 시장이 성숙하지 않아 배우가 가수를 겸하던 때였다. 인기 배우였던 이애리수도 막간 가수로 활동하다가 자연스럽게 음반을 취입하였다. 1931년에 콜럼비아레코드에서 부른 〈메리의 노래〉, 〈라인강〉, 〈부활〉 등 번안곡이 정식 데뷔곡이다.

1932년에 빅타레코드로 옮긴 뒤 발표한 전수린 작곡의 〈황성의 적〉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여 대중가요사에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이애리수의 고향인 개성의 만월대를 소재로 삼아 나라 잃은 슬픔을 그린 이 노래는 1920년대에 만들어져 이애리수가 연극 공연 중 막간에 부르면서 크게 유행하였고, 이때 정식으로 발매된 것이었다. 이 노래는 〈황성옛터〉로 제목이 변경되어 오랫동안 불리고 있다.

이애리수는 전문 가수가 아니었기 때문에 진성의 소박한 가창법으로 노래하였고, 193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전문 여가수들이 등장하면서 인기가 수그러들었다. 이 무렵 두 번이나 음독자살 소동을 벌인 끝에 결혼과 출산을 거치며 연예계에서 완전히 은퇴하였다.

은퇴한 뒤 소식이 끊어지며 한 때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오다가 2008년 일산의 한 요양원에서 생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2][3] 2009년 3월 31일 100세에 단 1년만을 남겨두고 노환으로 별세했다.[4]

참고자료[편집]

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2006년 12월 15일).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서울: 소도. 265~266쪽쪽. ISBN 9788990626264.

각주[편집]

이동 ↑ 정홍택 (2008년 11월 4일). “'80년 은둔' 女가수, 그동안 세상과 소통 안한 이유는…”. 한국일보.

이동 ↑ 이동순 (2007년 6월 14일). “[이동순의 가요이야기 .8] 막간가수, 이애리수”. 영남일보. 2008년 7월 11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이동 ↑ 정홍택 (2008년 10월 28일). “80년간 과거 숨기고 산 '전설의 女가수'”. 한국일보.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이동 ↑ 이은정 (2009년 4월 1일). “'황성옛터' 가수 이애리수 씨 별세”. 연합뉴스.

---------------------------------------------------------------------------------------------------


황성옛터’ 부른 가수 이애리수 생존 확인

“가수 발설 안된다” 조건으로 결혼 슬하 2남 7녀… 白壽 앞두고 건강

이애리수, '황성옛터' 부른 전설의 여가수 화제 [연예] '황성옛터' 이애리수, 약 80년간 비밀속에 숨어지낸 이유는?

예진수기자 jinye@munhwa.com

▲ 지난 21일 경기 일산의 한 요양원에서 휠체어에 앉아 있는 이애리수 여사. 배정환 한국보도사진가협회 회원 제공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라/ 아~가엽다 이내 몸은 그 무엇 찾으려고/끝없는 꿈의 거리를 헤매어 왔노라.’

‘황성옛터’는 한국인이 작사·작곡한 최초의 대중가요다. 망국(亡國)의 한을 표현한 ‘조선의 세레나데’이자 ‘항일가요 1호’로 꼽힌다.

일제 강점기 민족의 심금을 울렸던 노래 ‘황성옛터’를 부른 가수 이애리수(98) 여사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절정의 인기를 누리던 중 결혼과 함께 모습을 감췄던 이 여사는 경기 고양시 일산구 백석마을의 한 요양원 아파트에서 평온한 노년을 보내고 있다.

최근 이애리수 여사를 만난 정홍택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이사장은 “거동이 불편해 휠체어에 앉아 있었다. ‘백수(白壽)’에 가까운 나이지만 ‘어디 편찮으신 데는 없느냐’는 물음에 ‘괜찮다’고 또렷하게 답을 할 정도였다”고 밝혔다.

이 요양원 직원들도 “대화를 원활하게 할 정도는 아니지만 하루 세끼 죽을 깨끗이 비울 정도로 정정하다”고 전했다. 이애리수 여사의 본명은 이음전(李音全). 개성 출신의 막간가수였던 그는 18세 때인 1928년 전수린씨가 작곡하고 왕평씨가 가사를 쓴 ‘황성옛터’를 불러 일약 ‘국민가수’가 됐다. 1928년 가을 단성사 무대에 등장한 이 여사는 이 노래 후반부를 부르다 나라 잃은 설움에 복받쳐 울음을 참지 못했고, 노래는 중단됐다. 그가 목이 멘 상태로 노래를 계속하자 객석은 눈물바다가 됐다. 1932년 빅타레코드사에서 발매한 ‘황성옛터’ 음반은 무려 5만장이 팔렸다. 이 노래로 스타가 된 이애리수 여사는 22세 때 연희전문학교 재학생 배동필와과 열애를 했다. 정홍택 이사장은 “배씨 부친이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하자 이들은 파고다공원(탑골공원)에서 면도칼로 손목을 긋고 동반자살을 시도했다”며 “결국 배씨 가족들은 이 여사가 가수임을 절대로 얘기하지 않고 결혼식도 올리지 않는 조건으로 부부의 연을 허락했다. 이후 이 여사는 2남 7녀를 낳고 평범하게 살아왔다”고 밝혔다. 예진수기자 jinye@munhwa.com 기사 게재 일자 2008-10-28

---------------------------------------------------------------------------------------------------

---------------------------------------------------------------------------------------------------

일제 강점기 민족의 심금을 울렸던 노래 ‘황성옛터’를 부른 가수 이애리수(98) 여사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절정의 인기를 누리던 중 결혼과 함께 모습을 감췄던 이 여사는 경기 고양시 일산구 백석마을의 한 요양원 아파트에서 평온한 노년을 보내고 있다.

최근 이애리수 여사를 만난 정홍택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이사장은 “거동이 불편해 휠체어에 앉아 있었다. ‘백수(白壽)’에 가까운 나이지만 ‘어디 편찮으신 데는 없느냐’는 물음에 ‘괜찮다’고 또렷하게 답을 할 정도였다”고 밝혔다.

이 요양원 직원들도 “대화를 원활하게 할 정도는 아니지만 하루 세끼 죽을 깨끗이 비울 정도로 정정하다”고 전했다.

이애리수 여사의 본명은 이음전(李音全). 개성 출신의 막간가수였던 그는 18세 때인 1928년 전수린씨가 작곡하고 왕평씨가 가사를 쓴 ‘황성옛터’를 불러 일약 ‘국민가수’가 됐다. 1928년 가을 단성사 무대에 등장한 이 여사는 이 노래 후반부를 부르다 나라 잃은 설움에 복받쳐 울음을 참지 못했고, 노래는 중단됐다. 그가 목이 멘 상태로 노래를 계속하자 객석은 눈물바다가 됐다. 1932년 빅타레코드사에서 발매한 ‘황성옛터’ 음반은 무려 5만장이 팔렸다. 이 노래로 스타가 된 이애리수 여사는 22세 때 연희전문학교 재학생 배동필와과 열애를 했다.

정홍택 이사장은 “배씨 부친이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하자 이들은 파고다공원(탑골공원)에서 면도칼로 손목을 긋고 동반자살을 시도했다”며 “결국 배씨 가족들은 이 여사가 가수임을 절대로 얘기하지 않고 결혼식도 올리지 않는 조건으로 부부의 연을 허락했다. 이후 이 여사는 2남 7녀를 낳고 평범하게 살아왔다”고 밝혔다.

---------------------------------------------------------------------------------------------------

Google Translation with mistakes :

"Lee Ari-su, the legendary singer who sang 'The Hwangseong Ancient Ruins'


[Entertainment] 'European ruins' Lee Arisu, why have you been hiding in the secret for about 80 years? Staff Reporter jinye@munhwa.com


The singer, Lee Soo-soo (98), who sang the song “The Hwangseong Ancient Site”, who sang the heart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found to be alive.


While enjoying the peak of popularity, Ms. Lee, who disappeared after her marriage, spends her old age in a nursing home apartment in Baekseok Village, Ilsan-gu, Goyang-si, Gyeonggi-do.


Chung Hong-taek, chairman of the Korea Federation of Copyright Associations, recently met with Mrs. Lee Ari-soo. "I'm close to '백수 (白 壽)', but 'Where are you uncomfortable?' Was the answer, 'It's okay.'


The nursing home staff also said, "It's not enough to make the conversation smooth, but it's correct enough to empty it three times a day."


Mrs. Lee Arisu's real name is Lee Eumjeon (李 音 全). As an interlude singer from Kaesong, he became a national singer in 1928, when he was composed by Jeon Soo-rin in 1928 and Wang Pyeong-sung wrote the lyrics. Appearing on the stage of Danseongsa in the fall of 1928, she sang in the second half of the song and couldn't stand crying because she lost her country. As he continued to sing while thirsty, the auditorium became a sea of ​​tears. 50,000 albums were sold in 1932 by Vikta Records. Lee Soo-soo, who became a star for this song, was passionate with Bae Dong-pil, a student at Yonhee College at the age of 22.


Chairman Chung Hong-taek said, “When Bae's father opposed the marriage of the two, they attempted suicide by shaving their wrists with a razor in Pagoda Park (Tapgol Park). The couple allowed the kites on condition that they did not raise. Since then, she has had two sons and seven daughters."


황성옛터 /이애리수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못이뤄

구슬픈 벌레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나

아 가엽다 이내 몸은 그 무엇 찾으려

끝없는 꿈의 거리를 헤메여 있노라

나는 가리다 끌이 없이 이 발길 닿는 곳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정처가 없이도

아 괴로운 이심사를 가슴속 깊이 묻어놓고

이 몸은 흘러서 가노니 옛터야 잘 있거라

Google Translation:

'Hwangseong Ruins'

It's night on the ruins of the castle

Speaking of the cannons in the ruins,

Oh, lonely strangers you can't sleep alone

I'm silent with tears with the sound of a bug

The castle is destroyed and it's deserted

I tell you how the world is useless

Oh my body is searching

I'm wandering through the endless streets of dreams.

I am not going to hide

Across the mountains, across the water

Oh, I will bury the painful ideology deep inside my heart

This body flows, and with it it's good old days.

느린 3박자의 리듬에 단음계로 작곡된 한국 최초의 가요곡.

1932년 최초의 취입레코드 라벨에 인쇄되었던 곡명은 <황성의 적(跡)>이었다.

영천출신의 시인 왕평(王平)이 노랫말을 짓고, 개성출신의 작곡가

전수린(全壽麟)이 곡을 붙이고, 배우가수 이애리수(李愛利秀)가 애잔하게 부른

황성옛터’는 지금도 사랑받는‘민족가요’이다.

전수린이 1928년 고향 송도(松都)에서 고려의 옛 궁터를 보고

역사의 무상함을 느껴 즉흥적으로 작곡하였다.

전수린의 첫 작품으로 신파극단 취성좌(聚聖座)의 서울 단성사(團成社) 공연 때

여배우 이애리수가 막간무대에 등장하여 이 노래를 불러 크게 유행하였다.

서울 단성사에서 이애리수가 이 노래를 부르자 관중들은 열광했고,

노래는 순식간에 장안에 퍼져나갔다. 日警은 “중지하라!”악을 썼지만,

32년도‘황성옛터’는 레코드에 담겨 전국적으로 불티나게 팔렸다.

Google Translation:

"Korea's first song was composed on a single note with a slow three-time rhythm. The title of the song was printed firstly by record label The Red Planet in 1932.


King Pyeong, a poet from Yeongcheon, was involved and a songwriter from Kaesong, Jeon Soo-rin. Atress Lee Ae-soo mournfully sang it. "Hwangseong Ancient Site" is a national song that is still loved.


The lyric writer Jeon Soo-rin saw the ancient palace of Koryo in her native town of Songdo in 1928. She felt improvised by its history and wrote it on the fly. Jeon Soo-rin's first presentation was during the performance of Danseongsa, where Seoul Actress Lee Arisu appeared on the interlude stage and sang this song.


The crowd was excited when Lee Arisu sang this song at Danseongsa Temple in Seoul, The song quickly spread around.日 警 wrote "Stop it!" In 1932, 'Hwangseong Ancient Site' was sold on a record-breaking number nationwide."

이애리수(이음전)氏는 1930년 22세의 나이로황성 옛터를 불렀다.당시 유행하든 연극의 막간을 이용해 불렀든 노래가 관객의 입과입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어 알려지면서 당시로서는 유행가나 대중가요라는 개념도 없을때에 관객의 심금을 울려준 노래로 레코드로 출판되면서 단번에 5만장이라는 획기적인 레코드 판매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고 한다. 이노래는 고려의 옛 황성 개성의 추락한 모습에서 스여졌다지만 당시 일제하의 우리국민들의 마음을 울리는 계기가 되어 금지곡이 되기도했으나 경향을 막론하고 엄청난 속도 퍼저 나가 온국민의 애창곡이 되기도 했으며 애리수는 일약스타가 되었다. 하지만 이애리수는 그후1930년대 중반 돌연 이세상에서 사라지고 말았다.안타깝게도 우리는 그를 잃고 지금 까지 살아왔으며 그의 노래만 애창해 왔다. 그런데 2008년 하순 어느기자에 의해그의 거처가 알려졌다.그의후손에의해 경기도 어느 요양원에서 지내는 모습이 신문을 통해 알려졌는데.그렇게도 곱든 그의모습은 이제 많은 나이탓으로 많이 변해있었다. 그리고 금년 봄 향년99세로 이제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의 노래는 영원히 후세에 전해질 것입니다.

Lee Ari-Soo (Sung-Eui Jeon) sang about the old ruins at the age of 22 in 1930. It spreaded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the mouth and mouth of the audience. At the time, there was no concept of a popular song or pop song. It is said to have been a record-breaking song that set a record record sales of 50,000 copies at once. This song was soaked into the fall of Goryeo's Kaesong's old castle, but at the time, it was an opportunity to echo the hearts of Koreans under Japanese rule. It was a banned song, but regardless of trends, it spread out at great speed and became a favorite song of the whole country. However, Lee Arisu suddenly disappeared from this world in the mid-1930's, unfortunately we lost her and she has lived and loved only via her songs. By the end of 2008, however, her residence became known by a journalist. Newspapers told us that she was living in a nursing home in Gyeonggi-do. It changed a lot. It is said that she passed away at the age of 99 this spring. But her song will be passed on forever.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02366

'황성옛터' 뒤로하고 사랑 찾아 떠난 여인

최초의 '한류스타' 이애리수, 그의 98년 삶은 드라마였다

08.10.29 10:48l최종 업데이트 08.10.29 10:48l이준희

▲ 1931년 노래책에 실린 이애리수의 사진

조선이 망한 1910년에 태어나,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에 극단 신극좌(김도산 조직)에서 무대 인생을 시작하고, 1932년에 한국 대중가요 사상 불후의 작품으로 꼽히는 <황성의 적(황성 옛터)>을 발표한 뒤, 1935년 두 번째 자살 미수 사건을 끝으로 대중의 기억에서 점차 사라져 버린 여인. 그 이애리수(본명 이음전)가 98세 고령으로 경기도 일산에 생존해 있다는 놀라운 기사가 10월 28일에 나왔다.

1960년 12월 잡지 기사에 평범한 가정주부로 지낸다는 짤막한 근황이 소개된 이후 공식적으로 확인된 소식이 없었기에, 그가 이미 세상을 떠났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이 요즘은 거의 당연시되고 있던 참이었다. 기사를 처음 접한 뒤 느낀 놀라움, 반가움, 당혹스러움은 그래서 더욱 클 수밖에 없었다.

그야말로 죽은 줄 알았던 이가 살아 돌아온 격 아닌가.

최초의 '한류' 이애리수, 살아있었다니...

개성 소녀 이음전이 아홉 살 어린 나이에 극단에 들어가게 된 데에는 한국 희극배우의 원조 격인 외삼촌 전경희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1921년 김도산이 세상을 떠난 뒤에는 윤백남이 1922년에 조직한 민중극단으로 옮겼고, 이어 다시 김소랑이 이끄는 취성좌에 입단하면서 이음전, 아니 이애리수는 본격적인 배우 겸 가수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배우로서 이애리수는 <부활>의 주인공 카추샤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고, 가수로서 이애리수는 막간의 꾀꼬리로 인기를 독차지했다. 1929년에는 막간에 나와 노래를 부르기로 한 이애리수가 출연하지 않자 연극보다 막간에 관심을 보이며 관람하러 온 관중들이 거세게 항의하는 바람에 공연이 중단되고 경찰이 출동하는 일대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1929년 말에 취성좌가 해산하자 이애리수는 1930년에 신설 극단 조선연극사로 옮겼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한동안 연극에는 제대로 출연하지 못했다고 한다. 무대에서 인정받은 노래 실력으로 첫 음반을 녹음한 것은 바로 그 무렵이었다.

1930년 12월 말에 콜럼비아레코드에서 발매된 <메리의 노래>와 <라인강>은 이애리수의 이름으로 나온 첫 음반이었다. 콜럼비아레코드에서 발매된 음반이 한창 팔리고 있던 1931년 이른 봄, 콜럼비아레코드의 경쟁사인 빅타레코드에서 음반 기획을 담당하고 있던 이기세는 사석에서 직접 이애리수의 노래를 들어 본 뒤 그 성공 가능성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기세의 주선으로 바로 빅타레코드에서도 녹음을 한 이애리수가 그 해 여름에 첫 작품으로 발표한 곡들이 <오동나무><강남제비><방랑가> 등이었다.

그렇게 노래를 부르는 한편 1931년 7월에 극단 연극시장에 가입하고, 1932년 3월에 극단 태양극장(태양극단이라고도 한다)으로 옮기는 등 배우로서도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으나, 이애리수의 인기는 배우보다는 가수로서 더 높이 치솟고 있었다. 1931년 가을 이후 빅타레코드에서만 음반을 발표한 이애리수의 명성을 결정적으로 만든 곡이 바로 1932년 3월 말에 발매된 <황성의 적>, 즉 <황성 옛터>이다.

<황성의 적> 외에도 1932년에 <고요한 장안>, <에라 좋구나>, <군밤타령> 등 히트곡을 연달아 발표한 이애리수는 식민지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주목을 받는 가수가 되었다. 1932년부터 1933년까지 일본에서 '李アリス(리아리스)'라는 이름으로 <あだなさけ(원망스러운 정)>, <月のゆくえ(달의 행방)>, <去りし夢(스러진 꿈)> 등을 발표했는데, 당대 일본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작사가였던 사이조 야소가 <고요한 장안> 곡조에 새로 가사를 쓴 <あだなさけ>는 일본에서도 상당한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 최초의 '한류'로도 평가할 수 있는 일이다.

<꽃각시 설움> 이후 사라진 이애리수

조선 연극계와 대중가요계를 모두 석권하고 일본 대중가요계에도 진출해 절정의 인기를 누리고 있던 1932년 가을, 이애리수에게 운명적인 남자가 나타났다. 이미 첫 번째 사랑에 좌절한 바 있는 이애리수가 심지어 목숨까지 버리려고 했을 만큼 모든 것을 건 남자 배동필은, 그러나 법적으로 이미 아내가 있는 몸이었다. 그리고 이루어지기 어려운 사랑에 빠져든 두 사람이 선택한 길은 동반자살 시도였다.

1933년 새해 벽두에 뜨거운 화제가 되었던 두 사람의 자살 미수 사건은 다행히 부부로 인정을 받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이후 이애리수는 연예 활동을 정리하고 평범한 아내와 어머니로 새로운 삶을 살기 시작했다. 1934년 4월 무렵 발매된 <꽃각시 설움> 이후 그가 녹음한 음반은 더 이상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곡절 많은 삶을 살았던 이애리수가 그대로 순탄하고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것은 불행하게도 그의 운명이 허락하지 않았던 듯하다. 이애리수의 이름이 언론에서 사라진 지 1년쯤 뒤인 1935년 5월, 두 번째 자살 시도로 그의 이름은 다시금 충격적으로 지면에 등장하게 되었다. 두 번째 자살을 시도한 이유는 그토록 믿었던 남편과 겪은 불화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미 사실상 은퇴를 한 상황이었음에도 1935년 10월에 발표된 가수 인기투표에서 여자가수 부문 7위로 선정된 것을 끝으로, 이애리수는 연예계와 완전히 단절된 삶을 살았다. 간헐적으로 그의 소식을 전하는 단편적인 기사가 나오기는 했지만, 그에 관한 이야기는 점점 '카더라' 하는 전설이 되어 갔다.

왜곡된 채 기억되는 <황성의 적>

이애리수의 존재가 전설 속에 희미해져 가는 것과 동시에 그의 대표작 <황성의 적> 또한 긍정적으로 보자면 전설로, 부정적으로 보자면 왜곡으로 덧칠되어 갔다. <황성의 적>에 가해진 덧칠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그 발표 연대와 금지에 관한 사연, 그리고 음반 판매량에 대한 것이다.

---------------------------------------------------------

Google Translation: The woman who left behind 'Hwang Sung Ruins' in search of lov. Lee Hall-soo, his first Korean star, was his drama in 1998, Last Update 08.10.29


Lee Ari-su's 1931 Songbook


Born in 1910 after the fall of Joseon, he started his stage life at the extreme New Left (Kim Do-san organization) in 1919, when the March 1st Movement broke out, and in 1932 he was considered the most enduring work of Korean pop songs. After her announcement, she disappeared from public memory after her second suicide attempt in 1935. An amazing article appeared on October 28 that the Lee Ari-su (real name Lee Eumjeon) survived in Ilsan, Gyeonggi-do, at the age of 98.


Since there was no officially confirmed news since the brief introduction of ordinary housewives in a December 1960 magazine article, the vague conjecture that he had already passed away was almost taken for granted. After I first encountered the article, I was surprised, welcomed, and embarrassed, so I had to be bigger.


Isn't it true that the man who thought he died is back?


The first 'Korean wave' Lee Ari Su, was alive ...


It was said that the influence of Maternal Uncle Jeon, Jee-hee, who was the originator of a Korean comedy actor, was greatly influenced when the Kaesong girl Lee Eumjeon entered the theater at the age of nine. After Kim Do-san's death in 1921, he moved to the People's Theater organized by Yun Baek-nam in 1922. After joining the bridal seat led by Kim So-Rang, Lee Eum-jeon and Ae-Lee Lee began to gain attention as a full-fledged actor and singer.


As an actor, Lee Ari-su performed impressively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resurrection, Katsusha, and as a singer Lee Ari-su was popular with his interlude quirks. In 1929, when Lee Ari-soo, who decided to come out and sang a song, did not appear, the concert was interrupted by a crowd of people who showed interest in the interlude rather than the play and protested.


At the end of 1929, when the brittleness was dismissed, Lee Ae-soo moved to a new theater company in 1930, but due to this and other reasons, he did not appear in the play for a while. It was about that time that I recorded my first album with my recognized singing skills on stage.


Mary's Song and the Rhein River, released by Columbia Records at the end of December 1930, were the first albums to be released under Lee's name. In the early spring of 1931, when albums were released in Columbia Records, Lee Ki-se, who was in charge of music planning at Columbia Records' competitor, Victoria Record, was convinced of his success after listening to Lee Arisu's song. Lee Lee-soo, who was also recorded at Bigta Record by Lee Ki-se, released her first works in the summer, including Paulownia, Gangnam Swallow, and Wanderer.


While singing, she continued her activities as an actor, joining the theater theater market in July 1931 and moving to a theater theater in March 1932 (also called a solar theater). As it was soaring higher. After the fall of 1931, the song that made the debut of Lee Ari-soo's fame, which was released only on Victa Records, is <Spirit's Enemy,> <Sung Ruins>, released in late March 1932.


In addition to <The enemy of Hwangseong>, Lee Ae-soo, who released hit songs such as <Silent Changan>, <I'm Good at Era>, and <Gunbambatyeong> in 1932, became a singer not only in colonial Joseon but also in Japan. From 1932 to 1933 in Japan under the name `` Alias ​​'', `` Apocalypse Still Life '', `` Moon's Whereabouts '', and `` Dead Dreams '' Saijo Yaso, one of Japan's leading poets and lyricists, wrote the new lyrics to the tranquil Changan tune, and it was said that he received a considerable response in Japan. It can be evaluated as the first 'Korean Wave'.


Lee Ari Su disappeared


In the fall of 1932,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popular music scene, the Japanese pop music scene was in full swing. The man Bae Dong-pil, who was already frustrated with his first love and tried to throw his life away, was legally already a wife. And the path chosen by the two who fell into love that was difficult to achieve was the attempt of suicide.


It was concluded that the suicide attempt between two men, who became a hot topic at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in 1933, was fortunately accepted as a married couple. Since then, Lee has arranged her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started a new life as an ordinary wife and mother. After the release of Flowering Soul in April 1934, the record he recorded no longer appeared in the world.


However, it is unfortunate that his fate, unfortunately, did not allow Lee Arissu to live a smooth and normal life. A second suicide attempt in May 1935, about a year after Lee's name disappeared from the media, shocked his name to shock again. The reason for the second suicide attempt was due to a conflict with a husband he believed so much.


Even though she had already retired, she was totally disconnected from the entertainment world after finishing her seventh place in the singer's popular poll released in October 1935. In spite of the intermittent short stories that conveyed his news, stories about him became increasingly legendary.


Distorted Memory <The Enemy of Yellow Planet>


At the same time, Lee's existence faded into the legend, and his masterpiece, The Enemy of Hwang, also became a legend in the positive sense and a distortion in the negative sense. Representatives of Hwang's enemy are the dates of the announcement, the story of the ban, and the record sales.

이번 이애리수 생존 확인에 관한 거의 모든 기사에서는 <황성의 적>이 1927년~1928년 무렵 무대에서 먼저 크게 히트한 뒤 1932년에 음반으로 발표된 것으로 쓰고 있다. 당시 많은 대중가요가 무대에서 먼저 불려 히트한 뒤 음반에 녹음되었던 것이 사실이고, <황성의 적>이 이미 1931년 10월에 녹음이 되기도 했지만, 그것이 1927년~1928년 무렵에 만들어져서 그때 이미 이애리수가 불렀다는 객관적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그러한 '설'의 근원은 작곡가 황문평이 <황성의 적>을 작곡한 전수린으로부터 직접 들었다고 쓴 데에 있지만, 수십 년 전을 회상한 전수린의 기억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기록은 지금까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애리수의 <황성의 적>이 식민 지배를 받는 조선 민중의 설움을 너무나 절절히 표현하고 민족감정을 자극하는 바람에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나, 그 때문에 조선총독부가 음반을 금지했다는 설 또한 부정확하다. <황성의 적>에 제목만 바꿔 달아 1933년에 발매된 <고성의 밤>(이경설 노래)이 금지된 것은 분명하나, 이애리수가 부른 <황성의 적>이 금지되었다는 기록은 전혀 없다. 그뿐만 아니라 1938년에는 이애리수의 <황성의 적> 음반이 다시 발매되어 나오기까지 했다. 많이 알려진 곡은 아니지만, 1933년 6월에 발매되었다가 9월에 금지된 <변조 아리랑>이 오히려 민족감정을 자극한 이애리수의 금지곡으로 꼽을 만하다. <황성의 적>이 발매된 뒤 순식간에 '5만 장' 또는 그 이상 판매되었다는 이야기는 그러저러한 나름의 근거조차 전혀 확인할 수 없는 전형적인 '카더라'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당시 공식적인 음반 판매량 집계가 존재했다는 기록부터가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백수를 앞둔 이애리수에 바라는 게 있다면...

Almost all of the articles on the confirmation of the survival of Lee Arisu write that The Enemy of Hwang was first released on record in 1932 after a big hit on stage from 1927 to 1928. It was true that many popular songs of the time were first recorded on the stage and recorded on the record, and the enemy of Hwang was already recorded in October 1931, but it was made between 1927 and 1928 and was already there. There is no objective evidence that the number was called.


The origin of such 'theories' is that the composer Hwang Moon-pyung heard directly from Jeon Surin, who wrote The Enemy of Hwang, but no objective record has been found to support the memory of Jeon, who recalled decades ago.


It is also inaccurate that Lee Ari Su's enemy of Hwangseong is so desperately expressing the Korean people's appetite under colonial rule and stimulating national sentiment, which caused the Chosun governor's ban to record. It is clear that the title of Goseong Night (Lee Kyung-sul), which was released in 1933 by changing the title to The Enemy of Hwangseong, is banned, but there is no record of the ban on the enemy of Saturn.


In addition, in 1938, Lee Ari-su's album of <The Red Planet> was released again. It's not a well-known song, but it was released in June 1933 and banned in September.


The story that "Say of the Yellow Planet" was released after the release of "50,000 copies" in no time is no more than a typical 'Catherra' that cannot be confirmed at all. There is no record of the official record of sales recorded at the time.


If there's anything you'd like from Lee Soo-soo before

앞에서는 부득불 경칭을 생략했지만, 이애리수 선생을 찾아뵙고 당년의 그 일들에 관해 여러 가지 여쭙고 싶은 것이 반가움 못지않은 욕심이었다. 하지만, 백수를 눈앞에 둔 이음전 할머니의 기억 가운데 이애리수에 관한 것은 그다지 남아 있지 않은 듯하다. 여쭙고 싶은 욕심은 아쉽게도 접어야겠으나, 대신 또 다른 욕심 하나는 이루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2010년 이애리수 선생께서 건강하게 만 백 년의 삶을 맞는 그날, 그 옛날 이애리수의 대표곡들을 당시 음원 그대로 살려 녹음한 기념 음반을 만들어 축수연에 올릴 수 있었으면 한다. 온갖 전설이 수십 년 흘러온 끝에 나온 백수 기념 음반, 그것은 또한 한국 대중음악사에 전무한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기도 할 것이다.

Although I had omitted the title, I wanted to meet Lee Arisu and ask a lot about the things of the year. However, there seems to be little left about Lee Ari-su in the memories of her grandmother. Unfortunately, the desire to ask should be folded, but I think I want to fulfill another desire.


In 2010, when Lee Arisu's life was healthy for a hundred years, I hope to be able to make a memorial record of the representative songs of Lee's old songs and record them at the time. This unforgettable album, which came from decades after all kinds of legends, will also be the beginning of a new history with no history of Korean pop music."


---------------------------------------------------------------


이애리수의 황성의 적 가사지 / "The enemy's yellow star" lyrics

민족의 연인이었던 막간가수-이애리수

글 | 이동순 영남대 국문과 교수

2013-12-29 10:19

자신의 몸속에 갈무리된 이른바 ‘끼’라는 것은 아무리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억누르고 제압하려고 해도 뜻대로 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지요. 줄곧 무대 위에서 활동하는 배우나 가수들이야말로 이 타고난 끼를 마음껏 발산하고 그 재주를 뽐내어야 비로소 대중적 스타로서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우리가 이야기하려는 가수 이애리수(李愛利秀)는 타고난 끼에 자신의 모든 운명이 휘둘려서 생의 한 구간을 살아갔던 인물입니다.

이름도 특이한 이애리수는 1930년 <황성(荒城)의 적(跡)>(<황성 옛터>의 원래 이름) 한 곡으로 우리 문화사에서 그 살뜰한 이름을 결코 잊을 수 없는 고운 사람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한 경과를 보면 한 사람의 가수로서 많은 곡을 남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민족의 심금을 울려주는 단 한 편의 절창을 남길 수 있는가의 문제는 더욱 소중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이애리수는 1910년 경기도 개성에서 출생했습니다. 부모가 누구인지, 어떤 집안에서 태어났는지 자세하게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어렸을 때의 이름이 음전(音全)으로 예능의 끼가 펄펄 넘치는 아이였던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완고한 집안 어른들에게 그리 달가운 모습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순회연극사 소속의 이애리수는 여러 단원들과 함께 관서지방 일대를 돌며 공연을 펼쳤습니다. 그 악극단이 마침내 경기도 개성 공연을 마치던 날, 극단의 중요 멤버인 왕평과 전수린 두 사람은 멸망한 고려의 옛 도읍지 송도의 만월대를 산책하게 되었습니다. 마침 휘영청 보름달이 뜬 가을밤이었는데, 더부룩한 잡초더미와 폐허가 된 궁궐의 잔해는 망국의 비애와 떠돌이 악극단원으로서의 서글픔을 자아내게 하기에 충분했습니다. 비감한 심정에 젖은 두 사람은 눈물에 젖어 돌아와 그날 떠오른 악상을 곧바로 오선지에 옮겼고, 가사를 만들었습니다.

그해 늦가을 서울 단성사에서 공연의 막을 올릴 때 이 노래를 배우 신일선에게 연습시켜 막간에 부르도록 했습니다. 신일선은 나운규가 만든 무성영화 <아리랑>에서 주인공 영희 역을 맡았던 어여쁜 배우였습니다. 이 곡을 듣는 관객들의 볼에는 저절로 눈물이 주르르 타고 내렸습니다. 여기저기서 탄식의 깊은 한숨까지 들렸습니다. 모든 청중들의 가슴에는 망국의 서러움과 가슴 저 밑바닥에서 끓어오르는 비분강개한 심정이 끓어올랐습니다. 하지만 이후 무대에서는 주로 이애리수가 이 곡을 불렀고, 1932년 봄 마침내 빅타레코드사에서 정식으로 음반을 취입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애리수의 황성의 적 가사지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른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 못 이뤄

구슬픈 버레 소래에 말없이 눈물져요

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의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나

아 가엾다 이 내 몸은 그 무엇 찾으려고

덧없난 꿈의 거리를 헤매여 있노라

나는 가리라 끝이 없이 이 발길 닿는 곳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정처가 없이도

아 한없난 이 심사를 가삼 속 깊이 품고

이 몸은 흘러서 가노니 넷터야 잘 있거라

-<황성옛터(황성의 적)> 전문

전국의 가요팬들은 이 <황성의 적> 음반을 구입하기 위해 레코드판매점 앞에 길게 줄을 섰고, 축음기 판매량도 늘어났습니다. 주로 악극단 공연이나 무대를 통해서만 보급되던 유행창가나 영화주제가들이 드디어 음반을 통해 정식으로 보급되는 계기를 맞이한 것입니다.

이 음반이 나오자마자 불과 1개월 사이에 5만장이나 팔려나갔다고 하니 그 인기의 정도를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워낙 인기가 높아가자 일본 경찰 당국에서는 바짝 긴장의 털을 곤두세웠습니다. 혹시라도 이 노래의 가사 속에 민족주의 사상이나 불온한 내용이 없는지 뒤지고 두리번거렸지요.

극장에서도 반드시 임석 순사가 입회하여 흥분한 관중들 앞에서 가수가 이 노래를 여러 번 반복해서 부르는 것을 금지했고, 나중에는 기어이 트집을 잡아서 발매금지를 시키고 말았지요. 이 노래를 만든 작사가 왕평과 작곡가 전수린은 경찰서에 불려갔습니다.

그야말로 하늘을 찌를 것 같았던 이애리수의 인기는 1935년을 기점으로 서서히 기울기 시작합니다. 왜냐하면 왕수복과 선우일선을 비롯한 기생가수의 출현, 이난영, 전옥 등 새로운 창법과 감각을 지닌 후배가수들에게 가요팬들의 시선이 쏠리게 된 것이지요. 창가풍의 단조로운 음색에 익숙한 이애리수의 노래는 인기 반열에서 차츰 퇴조하게 됩니다.

묵은 것을 정리하고 새로운 시간의 질서를 구축하는 변화의 거친 물결은 그 자체가 너무나 비정하고 막을 수 없는 것일 테지요. 한 잡지사가 조사한 레코드가수 인기투표 결선에서도 이애리수의 노래는 앞 순위에 오르지 못하고 점점 그녀의 이름은 관심권에서 멀어져갔습니다.

이러한 때 이애리수는 그녀의 노래를 몹시 사랑하던 한 대학생과 우연히 만난 이후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연희전문 졸업반 학생이던 배동필! 하지만 이미 배동필에게는 부모가 맺어준 처자가 있었던 것이지요. 이애리수에게도 지난날 그녀의 노래를 사랑하던 이광재란 자산가청년과 진작 정분을 맺어 세 살 바기 아기가 하나 있었던 처지였습니다.

그러니까 사회적 지명도가 높은 젊은 유부남 유부녀가 불륜으로 만나 사랑을 키워간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생과 가수라는 현격한 신분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두 사람 사이에는 불행한 난관이 수렁처럼 자꾸만 앞을 가로막습니다.

만날 기회조차 잃어버린 그들은 이승에서 이룰 수 없는 사랑을 저승에서라도 이루겠다는 일념으로 깊은 밤 몰래 만나 칼모친이라는 독약을 함께 삼키고 그것으로도 모자라 손목을 면도칼로 그어서 유혈이 낭자한 모습으로 정사를 시도합니다. 이런 아슬아슬한 정황이 집주인에게 발견되어 긴급히 경성제국대학병원으로 입원을 하게 되지요.

몇 차례나 위험한 고비를 넘기고 간신히 기력을 회복한 두 사람은 당시 언론과 사회로부터 엄청난 비판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두 사람은 기어이 동거생활로 두 사람의 사랑을 이어갑니다. 배동필은 두 아내를 처첩으로 거느린 야릇한 광경으로 주위의 손가락질을 받으며 살아갔습니다. 처첩간의 갈등이 왜 없었겠습니까. 이애리수는 이후에도 또 다시 자살을 시도해서 신문기사의 화제로 오르는데 두 번째의 자살시도에 대해서는 언론과 사회에서 매우 싸늘한 반응을 나타내었습니다.

이애리수는 자신의 처연한 심정을 담아낸 듯한 노래 <버리지 말아 주세요>(이고범 작사, 전수린 작곡)를 마지막 곡으로 취입하게 됩니다. 그 애처로운 음색은 듣는 이의 가슴을 서러움으로 빠뜨렸고, 눈물까지 뚝뚝 흘리도록 만들었습니다.

이애리수 음독기사

하늘에 구름지면 꽃잎도 움츠리고

님께서 눈물지면 내 맘도 섧습니다.

우실 때 같이 우는 마음이 약한 나를

버리지 말아주세요 버리지 말아요

가물어 물 마르면 꽃잎도 시들시들

님께서 성내시면 내 맘도 조입니다

성낼 때 떨고 있는 마음이 약한 나를

버리지 말아주세요 버리지 말아요

광풍이 불어오면 꽃잎도 나불나불

님께서 뿌리치면 내 맘도 아득해요

가시는 옷깃 잡는 마음이 약한 나를

버리지 말아주세요 버리지 말아요

-<버리지 말아주세요> 전문

그토록 완고하던 배동필의 부모는 이 노래를 듣고서 결국 두 사람의 부부로서의 사랑을 승낙하게 됩니다. 두 사람 사이에는 2남7녀의 자녀가 태어났고, 이애리수는 무대를 아주 떠나서 현모양처로 살아갔습니다.

2008년 10월 생존 확인이 보도될 당시 이애리수.

그런데 지난 2008년, 뜻밖의 기사 하나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그것은 왕년의 가수 이애리수가 경기도의 한 노인병원에 입원해 있다는 사실이 보도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무대를 떠나 종적을 감춘 지 무려 80여년 세월이 흘러서 가수는 호호백발 할머니의 모습으로 우리 앞에 그 모습을 나타내었습니다. 20대 시절의 사진과 현재의 얼굴모습을 찍은 두 장의 사진은 오랜 세월이 흘러갔으나 그 선과 윤곽이 또렷하게 닮아있었습니다. 언론에서는 특집을 준비하고 인터뷰 프로그램을 제작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2009년 3월31일 99세를 일기로 한 많은 세상을 떠나고 말았지요.

해마다 가을밤만 되면 처량한 귀뚜라미 소리를 효과음으로 해서 이따금 라디오나 TV를 통해 듣게 되는 귀에 익은 슬프고 애잔한 가락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애리수의 <황성옛터(황성의 적)>입니다. 줄곧 떨어지는 낙숫물이 바위를 뚫듯 노래 한 곡이 지닌 위력은 그토록 완강하던 식민지의 어둠을 조금씩 깨어 부수는 힘으로 움직였고, 전체 한국인들이 험한 세월을 살아오는 과정에서 크나큰 위로와 용기를 주는 저력으로 작용했던 것입니다.

이동순 영남대 국문과 교수

-------------------------------------------------------------------------

Translation based upon Google Translation: (parts left out because the translation was not clear enough)

Interlude Singer-Ae Ri Soo

Lee, Dong-Soon Professor, Yeungnam University, 2013-12-29 10:19


Only actors and singers who are active on stage will be able to show their talents before they can expect success as a popular star. Singer Lee Ae-soo (李愛利 秀) we are going to talk about today is a character who lived a lifelong life with his own fate.


What gave Lee Arisu a name is a song from 1930 "the enemy of Hwangseong" (original name of "Hwangseong Ruins") making her a respectful person not to forget in our cultural history. As such, it is important to leave many songs as a singer, but the question of how to leave a single acclaim for the heart of the people is even more important.


Lee Arisu was born in Kaesong, Gyeonggi-do, in 1910. It is not known in detail who the parents were or in what family they were born in. However, it seems clear that when she was a child, she was known as a vivid child full of entertainment. This may not have been so good for stubborn household adults.


Lee Ari-su, a member of the tour theater, performed with members on tour. On the day that the troupe finally finished its performance in Kaesong, Gyeonggi-do, the two main members of the troupe, Wangpyeong and Jeon Soo-rin, took a stroll through the full moon of Songdo, the old metropolis of Goryeo. It was a fall night with a full moon, and the lush piles of weeds and the ruins of the ruined palace were enough to bring about the sorrow of the exile and the sadness of wandering villains. The two men, whose heart was so sad, came back in tears and immediately transferred the music of the day to Ohseonji and made the lyrics.


Later that year, at the opening of the show in Danseongsa, Seoul, the song was practiced by actress Shin Il-sun to sing in the interlude. Shin Il-sun was a pretty actor who played the main character Younghee in the silent film 'Arirang' made by Na Un-kyu. The viewers listening to this song came to tears. There was a deep sound of sighs everywhere. The hearts of all the listeners were filled with the sorrow of the nation and the irresistible heart boiling from the bottom of the chest. On the stage, however, Lee Arisu mainly sang this song, and in the spring of 1932, she finally officially acquired the record deal for it at Victa Records.

It's night on the ruins of the castle

Speaking of thirty men in the ruins,

Oh, I'm lonely, I can't sleep alone

The tearful tears come to life

The castle is destroyed and it's deserted

I speak of the vanity of the world

Ah, my body is looking for something

I'm wandering through the streets of fleeting dreams

I will go to this place without ending

across the mountains, across the water

Ah, I'm going to hold this image deep inside

This body flows and it's past tense.

Full text of <The Yellow Sea Ruins>


Korean Pop fans from all over the country lined up in front of the record shops to purchase this Hwang's Enemy album, and the sales of phonographs increased. Fashion entrepreneurs and movie themes, which were mainly distributed only through theatrical performances or stages, finally reached their official release through the record.


As soon as this album came out, it sold 50,000 copies in just one month. As the popularity grew, the Japanese police officials were brimming with tension. In any case, they have been scrutinizing the lyrics of this song for any nationalist thoughts or contention.


Even in theaters, Suk-Sim Lim banned the singer from repeating the song several times in front of excited crowds. The songwriter who made this song was called to the police station by Wangpyeong as well as composer Jeon Soo-rin.


Irissu's popularity, which seemed to pierce the sky, began to lean slowly from 1935. Because of the emergence of lowlife (?) singers including Wang Suu Bok and Sunwoo First Sun, Lee Nan Young and Jeon Ok, the gaze fans'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younger singers with new inventions and senses. Accustomed to the monotonous tone, Lee's song gradually declines in popularity.


The rough wave of change that cleans up the old and then builds a new order of time will always be so heartless and unstoppable. Even in a record voting runner-up surveyed by a magazine, Lee's song did not rise to the top rankings and her name was moving away from interest.


At this time, Lee falls into love after meeting a college student who loved her song very much. Bae Dong-pil was a senior student in Yonhee! But Bae Dong-pil already had a wife whom his parents had signed. Lee Kwang-jae, who loved her song last time, also had a three-year-old baby in good health.


So it was amazing how a young married couple who had a high social reputation met for an affair and developed its love. In addition, unfortunate difficulties between the two continue to stand in front of each other.


Lost even the chance to meet, they sneak deep in the night to realize how love cannot be achieved in this world, even not in the underworld, and devoured poison. Their breathtaking situation was discovered by the landlord and they were urgently admitted to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Hospital.


After several dangerous moments and barely regaining their energy, the two faced tremendous criticism from the media and society at the time. However, they continue their love by living together. Bae Dong-pil lived in a strange situation with his two wives together. Why was there no conflict between the concubines? Lee also tried to commit suicide again and again, becoming the topic of a newspaper article. The second attempted suicide was very cold in the media and society.


Lee Ari-su will sing the song 'Let's not throw it away' (composed by Go-beom, composed by Jeon Soo-rin) as the last song. The pathetic tone drowned the listener's heart with drowsiness and dripping tears.


When the clouds are in the sky, the petals are shrunk

When you tear one, my heart stops.

When we are crying, we have a weak heart

Don't throw it away Don't throw it away

When the water dries up, the petals wither

When you get angry, my heart is tightened too

When I am angry, my trembling heart is weak

Don't throw it away Don't throw it away

When the wind blows, the petals bloom

when you sprinkle my heart

I have a weak heart to catch the collar

Don't throw it away Don't throw it away

-Do not throw it away


Bae Dong-pil, listened to this song and eventually accepts the love of the couple. Two more children were born, two daughters among seven daughters.


In 2008, an unexpected article surprised the world. That's when it was reported that the old singer, Lee Arisu, was in an elderly hospital in Gyeonggi-do. More than 80 years have passed since we left the stage, and the singer appeared in front of us in the form of her grandmother. The photographs of my twenties and two photographs of the present face have been around for many years, but their lines and outlines clearly resemble the lines. The press was preparing for a special feature and preparing an interview program. On March 31, 2009, she left a lot of worlds with a 99-year-old diary.


Every fall and night, there is a sad and melodic melody that is sometimes heard on radio or television, with the sound of a cricket sounding as a sound effect. It is Lee Arisu's <The Ancient Ruins of the Earth>. The power of a song that sang like a falling tree breaking through a rock moved with the strength of breaking the darkness of a colony so weak that it was a great comfort and courage in the course of life.


Lee, Dong-Soon Professor, Yeungnam University


--------------------------------------

CONCLUSION:

Arisu has a very distinctive voice with an almost grotesque cabaret-like effect. The style is very Japanese influence from during the occupation but has its degree of power of a rather theatrical entertainment in her expression and in the arrangements which makes this almost like cabaret opera.


-------------------------------------------------------------------------

EXTRA KOREAN LINK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