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손목인 - Son, Mok-In / Mog-in Son ; Son Mog Dong / 복 人




* 1 범벅서울 작곡 / Composition from Seoul

2 항구의 하소 작곡 / Calcination of the port

4 애수의 제물포 작곡 / Sosu Yemulpo's Composition

* 6 유랑마차 작곡 / Wanderlust

* 7 유랑선 작곡 / Journey Song Composition

* 12 청노새 탄식 작사:조명암 작곡 / Blue Mule Mourning

13 세월을 등지고 작곡 / Composing with time

* 14 title ?


Tracks with * I consider essential listens or classics, also very suitable for western radioshow airplay. Tracks that are only underlined can be considered great tracks as well, not sure how essential they are.


The first (and great) track is cabaret with trombone rhythm and a filmic and jazzy arrangement. It fits somewhat with the 30s European and Berlin jazz scene. It has responses by a female singer and has a couple of laughs. The second track is well performed old trot music. The third track is a mainstream old trot song with guitar pickings combined with accordion.The most outstanding track for me still is 유랑마차작곡/ “Wanderlust”, sounding almost like an Austrian folk song with a funny rhythm and extra clarinet & horn arrangements and use of funny whistle sounds in it too. The Journey Song is a light-happy song in with a kind of happy-sad singing just like the old trot style, while it is much more original than that, more has a kind of flavour of cabaret. "Blue Mule Mourning" has also something of an attractive fun party and jazz over the undercore of the era of old trot, humming and being cheerful in a way. The track after that is an original performance of old trot of singing with guitar and accordion. The last track has train whistle arrangements in the song and is very original, jazzy and uplifting too, with an entertaining and vivid voice.


23CD box grammophone

-------------------------------------------

BIOGRAPHIES:

This singer was born somewhere in between 1905 and 1908. He had studied music theory in Japan, but was a self-taught musician (as a violinist and songwriter). He began working officially as a musician from 1927 onwards. He had his debut as a composer in 1933, interpreting the lyrics of Kim Neungin. He gained a reputation with a big hit in early 1934, a record which was reprinted three times by Okey Records. His music hangs in between pop, trot and also new folk music, for which he wa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pioneer who opened the door for the new folk style. For this he was called the "Emperor of the new folk Style.” However, after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he hardly continued with music. And one is not even sure about how and when he died.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원로 작곡가 가운데 한명인 손목인 선생이 지난 9일 별세했다.향년 86세. 손선생은 "목포의 눈물""타향살이" 등 민족의 설움과 애환을 담은 노래를 작곡했다. 그는 지난 4일부터 자신이 작곡한 노래의 저작권 문제로 일본을 방문 중이었으며 지병인 심장질환으로 숨졌다.손 선생의 시신은 11일 오후 3시50분 대한항공편으로 국내에 운구된다.빈소는 서울중앙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유족은 부인 오정심여사와 3남1녀.

-------------------------------------------


Son wrote songs that contain the murmurings and sympathies of the nation, such as "Tokpo Tears" and "Tayangsi".

He has been visiting Japan for copyright issues of his songs and on his trip died of a heart disease on September 9.

Son debuted in the music industry when he was 18 years old. He has worked as a representative pop composer. Born in Jinju, Gyeongnam in 1913, he graduated from the Japan High School of Music. Suh's debut song 'Tayangsi', composed at the age of 19. "The Tears of Tears" and other big hits, and became a popular songwriter early and has built a reputation.


-------------------------------------------

http://www.maniadb.com/artist/105807 :

1930년대초부터 일본 음악학교 재학당시에 고복수의 취입판들인 《타향살이》, 《짝사랑》, 《꿈길천리》, 《항구야 잘 있거라》, 이난영의 취입판인 《목포의 눈물》을 작곡하였다. 그후 고운봉의 취입판들인 《들국화》, 《황포강 배길》, 이화자의 취입판들인 《물방아》, 《화류애정》, 《허송세월》, 《관서신부》, 《애수의 압록강》, 리인권의 취입판들인 《눈물의 련가》, 《청춘하이킹》, 남인수의 취입판들인 《청춘일기》, 《울리는 만주선》, 이난영의 취입판들인 《남포로 가는 배》, 《낙화의 눈물》, 김정구의 취입판인 《수박행상》, 김정구, 장세정의 취입판인 《가정전선》, 진방남의 취입판인 《눈오는 백무선》 등을 창작하였다. 이외에도 남인수의 취입판들인 《애수의 제물포》, 《류랑마차》, 《류랑선》, 《세월을 등지고》, 《청노새탄식》, 《청춘일기》, 《꽃없는 화병》, 리란영의 취입판들인 《추억의 등대》, 《피묻은 편지》, 《담배집처녀》, 《련락선비가》, 《항구의 붉은 소매》, 장세정의 취입판인 《아가씨독본》 등 많은 작품들을 남겨놓았다.

-------------------------------------------

He's the composer of Tears Of Mokpo. Born 1913, died 1999. Cousin of 문호월.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1090416316295

고복수 노래 ‘타향살이’(1934)의 작곡가 손목인(孫牧人)이 1999년 1월 9일 85세의 일기를 마쳤다. 본명은 득렬(得烈), 예명으로 임원(林園) 등을 썼다.

그는 1913년 경남 진주의 한의원 집안에서 태어나 풍족한 유년기를 보냈고,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와 중동고등보통학교를 거쳐 도쿄 고등음악학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했다. 일본 유학 시절 걸출한 음악인이자 연예사업가로 ‘오케레코드’를 설립한 이철(李哲, 1903~1944)을 만나 대중음악 작곡가로 데뷔했다. 데뷔작’이 ‘타향살이’였다. 가사는 연희전문 출신의 작사가로 아동문학과 민속음악 운동가로도 활동했던 김능인(1911~1937)이 썼다.

“타향살이 몇 해던가/손꼽아 헤어보니/고향 떠난 십여 년에/청춘만 늙어// 부평 같은 내 신세가/ 혼자도 기막혀서/ 창문 열고 밖을 보니/ 하늘은 저쪽// 고향 앞에 버드나무/ 올 봄도 푸르련만/ 버들피리 꺾어 불던 그 때는 옛날”

느리고 구슬픈 단조 가락의 ‘타향살이’는 일제 치하의 서민들과 상해ㆍ만주의 독립운동가들, 징용 징병 일본군 성노예로 고향을 잃은 이들의 애환을 달래고, 해방 후 한국전쟁과 60ㆍ70년대 집 떠난 ‘산업 역군’들의 마음을 보듬어 준 상징적 노래로, 고복수 외에도 배호, 이미자 등 기라성 같은 가수들이 따라 불렀다. “아아~ 으악새 슬피 우니”로 시작하는 고복수의 1937년 히트곡 ‘짝사랑’도 손목인-김능인의 작품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애창곡이었다는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1935)도 손목인 작품. 가사는 오케레코드의 노랫말 공모에 와세다대 출신 20대 무명 시인 문일석이 낸 당선작이었다. 저 사랑의 에토스가 특별히 사무치는 것은 물론 조선 6대 도시이자 목면 수출항이던 목포라는 항구의 토포스 때문일 것이다.

그는 해방 후 ‘아내의 노래’ ‘슈샤인 보이’ ‘카스바의 여인’등 1,000여 곡의 가요를 작곡했고, 50여 편의 뮤지컬과 70여 편의 영화 음악을 남겼다. 중일전쟁 이후 만들어진 ‘봄날의 화신’같은 친일 노래도 포함돼,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이 올랐고, 그 탓에 그 흔한 기념물도 기념행사도 없다. 기억하고 ‘기념’해야 할 대상에 대한 순도ㆍ결백의 강박이 과분한 영웅을 만들고 과도한 배제를 강요한다.

최윤필 기자

-------------------------------------------

"On January 9, 1999, the composer Son Mok In (복 人), the composer of the Ko Bok-soo song “Taekyangsa” (1934), finished his 85-year-old diary.


Born in 1913 in Jinju, Gyeongsangnam-do, he had abundant childhood and majored in piano at Tokyo High School of Music. During his study in Japan, he met Lee Chul (李哲, 1903 ~ 1944), an outstanding musician and entertainment entrepreneur who debuted as a music composer. His debut work was called 'Tayangsi'. The lyrics were written by Kim Neung-in (1911 ~ 1937), a lyricist from Yeonhee, who also worked as a children's literature and folk music activist.

“How many years have you lived? /

You broke up (your life)

After a decade away from home.

(at) Purun Bay in the spring /

(looking back to) The old days when I was willing (to go)


The slow and painful forging rhythm of 'Hyanghyangsa' was to appease the common peopl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dependence activists from Shanghai and Manchuria, and the conscription of those who lost their homeland as sex slaves to Japanese military slaves. It is a symbolic song that cared about the 'industrial forces', and it was sung by singers such as Giho Sung, such as Bae Ho and Lee Mi-ja, in addition to Go Bok-soo. Go Bok-soo's 1937 hit song "Cream Love", which begins with "Ah ~ Ugh, sad", was also the work of Kim In-in.


Lee Nan-young's "Tears of Mokpo" (1935) was a favorite song of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is also by him. The lyrics were made by Moon Il-suk, a 20-year-old poet from Waseda University, who wrote a song for the Okere Records song. That love of Ethos is especially clerical, as well as the topos of Mokpo, the sixth largest city of Chosun and the export port of cotton.


After liberation, he composed over 1,000 songs, including "Wife's Songs", "Shushine Boy" and "Women in Kasbah," and left over 50 musical and 70 film music. Pro-Japanese songs, such as the "Incarnation of the Spring Day" were made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were also included in the "Pro-Japanese-Japanese Dictionary" of the Institute of National Problems, and as a result there are no common monuments or commemorative events. The compulsion of purity and innocence of things to remember and “memorialize” creates an undemanding hero and forces excessive exclusion.


By Choi Yoon-pil"

-------------------------------------------

1세대 작곡가 손목인(1913~1999)선생

2019

김 시 종 시인 국제PEN 한국본부 자문위원

작곡가 손목인(1913년 출생)선생은 작곡가 박시춘(1913년 출생)선생과 더불어 대표적인 1세대(1世代) 작곡가선생님이다.

일제 때 서울 중동고보(중동고)와 일본 동경의 동경고등음악학교(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했다(1936년). 작곡가 손목인 선생님은 성격이 명랑 쾌활한 분이라고 부인 오정심(2013년 당시 86세)여사가 증언했다. 아코디온의 명연주자며 농구선수였다. 주옥같은 가요 천 여곡을 작곡하셨다.

손목인 선생은 1952년 ~ 1957년까지 5년간을 도일(度日)하여, 일본에다 한국의 혼을 심었다. 손목인 선생은 음악세계가 딴 작곡가에 비해 아름답다고 느껴진다.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 손목인 선생님의 가슴이 따뜻하기 때문일 것이다. 일제치하의 우민 정책에 굴하지 않고, 손목인 선생은 고등교육(대학교육)을 받은 식민지 조선의 희망인 것이다.

손목인 선생이 1세대 작곡가로서 우뚝 선 것은 첫 작품 ‘타향살이’(1934년)였다. ‘타향살이’는 나라를 잃고 팍팍하게 사는 이 땅 민초(民草)들의 고달픈 삶이었다. 가수 고복수선생도 ‘타향살이’(1934년)로 단방에 홈런을 날려, 가요계에 우뚝한 가수가 됐다. 실제로도 가수 고복수 선생은 키가 184cm로 당시(일제)시대로 봐서는 대단한 장신이었다.

손목인 작곡가의 제2탄(彈)은 ‘목포의 눈물’(1935년)로, 이난영(이옥례)을 조선제일의 여가수로 만들었고, ‘목포의 눈물’은 조선 망국노들의 절찬을 받는 애향가가 되기도 했다. ‘사막의 한’(1935년)은 ‘타향살이’로 히트한 가수 고복수를 더욱 확고부동한 저명가수로 굳혔다. 해조곡(1937년)은 손목인 선생이 이난영에게 지급한 제2탄으로 이난영을 더욱 확고한 여자가수로 다졌다. 해조곡은 양상포 작곡으로 되어 있는데, 양상포는 손목인의 필명임을 기억하기 바란다.

‘수박행상(수박타령)’(1939년)은 유머러스한 생활노래다. ‘바다의 교향시’(1938년)은 아방(이 땅) 최초의 해변가요다. ‘뗏목 이천리’(1942년)는 압록강의 뗏목을 노래한 시다. 청노새 탄식(1938년)은 식민지 조선인의 고달픈 삶을 읊었다. ‘아내의 노래’(1952년)는 남편을 죽음의 땅 최전선에 보낸 아내의 절절한 마음을 잘 나타낸 노래로 명가수 심연옥이 불렀다. ‘슈사인 보이’(1952년)는 피난지 부산의 거리풍경을 코믹하게 노래했다.

‘모녀기타’(1964년)는 영화의 주제가로 곡조가 애절하다. 인기가수 최숙자가 불러 히트했다. ‘카스바의 연인’은 손목인 선생이 도일(1952년~1957년)한 시절의 애절한 뒷골목여인이야기다. ‘마도로스 박’(1964년)은 저음가수 오기택의 대표곡이다.

‘아빠의 청춘’(1965년)은 ‘아빠의 청춘’이란 영화의 주제가다. ‘아빠의 청춘’은 가요로서도 흥겹지만, 영화도 흥행에 성공했다. ‘짝사랑’(1937년)은 가을의 정서를 잘 나타냈다. ‘타향살이’(1934년) ‘사막의 한’(1935년) ‘짝사랑’(1937년)이 가수 고복수를 불멸의 가수로 우뚝 서게 했다.

작곡가 손목인 선생은 업무계약을 위해 1999년 부인 오정심 여사와 일본 도쿄를 방문했는데, 심장마비를 일으켜 음악인생을 마감했다.

손목인 선생은 가셨지만, 선생이 남기신 천 여곡의 멋진 가락은 이 땅의 공간과 민초(民草)들의 가슴에 영생할 것이다.

-------------------------------------------

"Teacher and First-Generation Composer, Son Mog In (1913-1999)

written 2019 by Kim Si-jong Poet, International PEN Advisory Committee, Korea Headquarters


The composer Sonmog-in (born in 1913), along with composer Park Si-chun (born in 1913), is a representative first-generation composer.


In 1936, he graduated from Seoul Middle East Gobo (Middle East High School) and Tokyo Tokyo High School of Music (Music College). Mrs. Oh Jung-sim (86 years old in 2013) testified that the composer is very cheerful. Besides being a famous player of the accordion he also was a basketball player. He composed several thousand songs like gems.


As a teacher for five years from 1952 to 1957, he took many Korean people to Japan. Being a teacher is a beautiful quality as a composer. As a teacher he always has a warm heart. Regardless of the policy of being under Japanese imperialism or not, via his role as a teacher, he gave hope of the colonial Joseon to receive higher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His first work as a first-generation composer, was "Hyanghyang-sae" (1934). 'Tayangsi' was a hard life for the people of this land who lived in a slumbered country. Singer Go Bok-soo also hit a home run with "Hyanghyangsa" (1934) and became a singer in the music industry. In fact, singer Go Bok-Soo was 184cm tall and was a great tall figure in that era.


The second piece of the composer, was "Tears of Mokpo" (1935), making Lee Nan-young (Lee Ok-rye) the first female singer, and "Tears of Mokpo" is about a lover, praised by Joseon's exiles. One of the deserts (1935) solidified the singer Go Bok-soo, who hit with "Hyanghyangsa," as a more prominent singer. Haejogok (1937) is the second part of the him, which was given to Lee Nan-young by the composer, which made Lee Nan-young a firmer singer. Haejogo is composed of an ancestor composition.


“Watermelon Peddlers” (1939) is a humorous life song. Sea Symphony (1938) is the first beachfront of the avant. Raft Icheonri (1942) is a song about a raft on the Yalu River. Blue-necked sighs (1938) lead the troubled lives of colonial Koreans. The wife's song (1952) was sung by Myung-Sook Shim, a song that expresses the wife's heartfelt heart that sent her husband to the forefront of death. Shusain Boy (1952) comically sang the streets of the refugee Busan.


The Mother and Child Guitar (1964) is a theme song of the film. Popular singer Choi Sook called a hit. 'Lovers in Kasbah' is a sad back alley woman from the days of her teacher, Doyle (1952 ~ 1957). “Madorus Park” (1964) is a representative song of the low-end singer Ogi-Taek.


'Daddy's Youth' (1965) is the theme song of 'Daddy's Youth.' 'Daddy's Youth' is a great song as well as a song, but the movie was a hit. 'Love in Love' (1937) showed the emotion of autumn well. Thaesangsal (1934), One of the Desert (1935), and Unrequited Love (1937) made singer Go Bok-soo stand as an immortal singer.


The composer and teacher, visited Tokyo in Japan with his wife, Oh Jeong-sim, in 1999 for a business contract.


The "wrist" and the teacher, has gone now, but the wonderful melodies of the thousand that he left will be eternal in the space of the earth and the hearts of the grasses."


-------------------------------------------

[박성서 평론] ‘타향살이’, ‘목포의 눈물’의 작곡가 손목인의 인생찬가

기사승인 2019.02.08 02:23:39

- 작게+ 크게

공유

- 스스로 택한 ‘자유’에로의 의지, 그 ‘타향살이’의 삶과 노래

‘타향살이’, ‘목포의 눈물’의 작곡가 손목인(1913~1999)은 우리나라 대중가요 1세대로 초창기 대중음악을 이끌었다. 한국과 일본에서 발표한 대중가요 1천여 곡, 뮤지컬 50여 곡, 영화음악 70여 편의 주옥같은 멜로디를 남긴 그는 작곡가 겸 지휘자로, 그리고 아코디언 연주자이자 재즈가수로도 활동했다.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서울-> 동경-> 뉴욕 등의 타향살이를 통해 그가 늘 강조했던 메시지는 ‘음악은 하나’였다.

작곡가로써 뿐 아니라 가요인들의 권익과 친목도모에도 앞장섰다.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초대회장, 89년 1월 한국가요작가협회를 설립했고 만년에는 ‘손목인 음악센터’를 설립해 창작활동과 더불어 후배 양성에도 힘썼다.

스스로 ‘빵떡모자’라 부르던 베레모 차림에 웃음기 가득한 얼굴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사람을 만날 때마다 ‘몇~해만이요~!’라며 건네던 인사는 아직도 많은 이들의 기억에 생생할 것이다. 물론 이 인사말은 일본인을 만날 땐 ‘난넨부리데스까?(何年ぶりですか?)’로 바뀐다.

그가 마지막까지 정열을 쏟았던 ‘손목인음악센터’의 캐치프레이즈는 ‘우리 음악을 아세아로, 세계로!’였다. 음악을 통해 국경과 언어를 넘나들었던 작곡가 손목인 선생, 타계 20주년을 맞아 그의 삶과 노래를 되돌아본다.

글l박성서(음악평론가, 저널리스트)

‘우리 대중음악을 아세아로, 세계로!’기치 내걸었던 손목인음악센터

누군가 내게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맞게 된 행운의 순간, 몇을 꼽아보라면 당연히 손목인선생과의 인연이라고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 가요1세대 작곡가 손목인 선생은 만년에도 직접 ‘손목인음악센터’를 직접 설립, 음악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았던 인물이다.

‘타향살이’의 완결판이라 할 수 있는 ‘타국살이(김지평 작사, 손목인 작곡)’를 만든 것도 이 무렵으로 필자는 손목인 선생이 발행인으로 있던 ‘한국문화(韓國文化)’가 발간하는 ‘스타탄생’을 비롯한 두 가지 잡지의 편집데스크를 맡고 있었다. 한국문화는 일본에서 손목인 후원회장으로 있던 일본 출판사 다께쇼보(竹書房)의 노구찌 회장이 한국에 설립한 회사로 이 곳에는 일본인 기자들과 카메라맨, 그리고 재일교포들과 더불어 한국인 편집자들이 ‘한 지붕 세 가족’을 이루고 있었다. 바로 이 잡지의 발행인이 손목인, 편집인이 필자였다.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인 1989년부터 3년간의 일이다.

손목인선생과 함께 하는 동안 가장 인상적으로 남아 있는 것은, 스스로 ‘빵떡모자’라 일컫던 베레모 차림의 독특한 캐릭터다, 특히 술잔을 들 때마다 ‘몇~해만이요~!’하던 권주사도 생생한데 이 독특한 바이브레이션의 권주사가 일본인과의 술자리에서는 ‘何年ぶりですか?’로 바뀐다.

1992년, 산수(傘壽, 80세)기념 자서전 ‘손목인의 인생찬가/못다 부른 타향살이’도 그 무렵 함께 몸담고 있던 출판사에서 펴냈다. 또한 당시 대중가요에 문외한이었던 필자에게 ‘일엽편주(一葉片舟)’라고 제목만을 메모한 악보를 건네주며 음률에 맞춰 가사 한 번 써보라는 권유에 숙제하듯 차일피일 미루다가 시건방지게도 ‘한 조각 나뭇잎 배’라고 떡, 하니 제목을 바꿔 건네 드린 기억도 나, 가끔 얼굴이 화끈거린다.

한국과 일본에서 가요 1천여 곡, 뮤지컬 50여 곡, 영화음악 70여 편의 주옥같은 멜로디를 남긴 손목인 선생은 작곡가 겸 지휘자로, 그리고 아코디언 연주자로, 재즈가수로 우리나라 대중음악을 이끌었으며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초대회장, 87년 문화훈장 화관장 서훈, ‘손목인 음악센터’ 설립, 그리고 89년 1월 한국가요작가협회를 설립,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초석 다진 가요1세대 작곡가

▲ ‘우리 음악을 아세아로, 세계로!’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었던 ‘손목인음악센터’의 회보. 창간호 표지. 1992년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초석 다진 가요1세대 작곡가

본명 손득렬(孫得烈, 1913~1999). 경남 진주에서 한의사인 부친 손세영, 모친 표성수 사이에서 3남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난 그는 세살 때 서울로 옮겨 재동보통공립학교 시절 소년단에 가입해 음악을 접했고 이어 중동중학교에 진학했다. 당시 YMCA 회원으로 교회음악 중심의 음악활동을 하며 작곡가 현제명에게 테스트 받은 후 성악을 인정받기도 했던 ‘음악 신동’이었다.

1931년 일본 동경제국음악학교로 유학을 떠난다. 처음 피아노를 전공했으나 이후 작곡으로 전환했다. 이 무렵 ‘노들강변’의 작곡자인 외사촌 형, 문호월을 통해 오케레코드사 이철 사장을 소개받게 된다. 1934년, 오케악극단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며 아르바이트 하던 중 이철 사장이 당시 문예부장이던 김능인의 가사 한편을 주며 작곡해 보라고 권유, 닷새 만에 곡을 완성하는데 이 노래가 바로 ‘타향‘이다. 이 음반 A면에 실린 ’이원애곡‘과 함께 신인가수 고복수가 취입, 빅히트하자 오케 측은 서둘러 A면과 B면을 바꿔 출반하면서 제목도 ‘타향살이’로 바꿨다. 당시 오케레코드가 조선 음반계의 선두주자로 나서는 데에 발판을 제공한 작품이 바로 이 ‘타향살이’였다.

1. 타향살이 몇 해던가 손꼽아 헤어보니/고향 떠나 십여 년에 청춘만 늙어. 2. 부평 같은 내 신세가 혼자도 기막혀서/창문 열고 바라보니 하늘은 저쪽. 3. 고향 앞에 버드나무 올봄도 푸르련만/호들기를 꺾어 불던 그때는 옛날. 4. 타향이라 정이 들면 내 고향 되는 것을/가도 그만 와도 그만 언제나 타향. -‘타향살이(김능인 작사, 손목인 작곡, 고복수 노래)’

▲ 일본에서 활동 당시의 손목인 선생

이 노래의 히트를 계기로 오케레코드 이철 사장은 손목인에게 전속 작곡가로 활동할 것을 제의한다. 전속 이후 손목인은 ‘목포의 눈물(이난영)’, ‘사막의 한(고복수)’ ‘휘파람(고복수)’ 등을 잇달아 발표한다. 특히 ‘목포의 눈물’은 이로부터 32년 뒤인 1967년, 목포의 한 평범한 시민, 박오주에 의해 기념비가 세워져 우리나라 최초의 노래비로 기록되는 영예를 누리고 있기도 하다.

1.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삼학도 파도깊이 숨어드는 때/부두의 새악씨 아롱젖은 옷자락/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움. 2. 삼백년 원한품은 노적봉 밑에/님 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님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노래. 3. 깊은 밤 조각달은 흘러가는데/어찌타 옛 상처가 새로워진다/못 오는 님이면 이마음도 보낼 것을/항구에 맺은 절개 목포의 사랑. -‘목포의 눈물(문일석 작사, 손목인 작곡, 이난영 노래)’

1935년에 발표된 이 노래는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우리나라 대표가요다. 일제하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의 '망향가'이자 '저항가'였고, 해방 후에는 설움 받는 호남인의 '시름가'였다. 그리고 민주화 투쟁과정에서 장렬히 산화한 열사에 대한 남도인의 '진혼가'가 되기도 했다. 지금까지도 '목포의 눈물'은 호남인의 입에 마치 세발낙지처럼 착 달라붙은 채 심지어 프로야구장에서 응원가로까지 불리어지고 있다.

일제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롭고 싶다는 의지를 담은 이름, 목인(牧人)

작곡가로 활동, 음악계에 발을 들이면서 스스로 지은 이름이 목인(牧人), 즉 ‘목동’이다. 말과 소가 초원에서 풀을 뜯고 노니는 목장이 ‘마음의 고향’이라고 여겼고 그것은 곧 일제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롭고 싶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1936년 일본 동경제국음악학교 졸업 후 귀국한 손목인은 그 해 7월, 가수지망생으로 오케에 첫발을 들여놓은 후 직원으로 근무하게 된 정계순과 결혼한다.

또한 그 해 10월, 당시 신인가수 강문수가 오케레코드사로 옮겨 처음으로 ‘남인수’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발표한 ‘범벅서울’과 ‘돈도 싫소 사랑도 싫소(남인수)’에 이어 ‘짝사랑(고복수)’, 1937년 ‘아시나요(장세정)’, ‘나에게 백만원이 생긴다면(김정구 장세정)’, ‘해조곡(이난영)’, 1938년 ‘청노새 탄식(남인수)’, ‘바다의 교향시(김정구)’ ‘수박행상(김정구)’ 등 굵직한 히트 곡을 잇달아 발표한다.

히트행진을 계속하는 동안 오케레코드 이철 사장은 1937년, ‘조선악극단’을 창설해 총 지휘자로 손목인을 선임한다. 손목인은 일본 유학 시절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던 스윙재즈에 매료, 즐겨 연주했는데 아울러 이 때 ‘손안드레’라는 이름으로 직접 재즈송 ‘씽씽씽’, ‘집시의 달’ 등 10여 곡을 직접 불러 취입하기도 했다. ‘안드레’는 그의 세례명.

1941년, ‘조선악극단’의 리더로 일본 공연 도중 그는 일본 신흥키네마의 의뢰로 뮤지컬 ‘춤추는 춘향전’을 무대에 올린다. 우리 고유 가락에 재즈를 가미한 이 뮤지컬에 등장한 일본인 배우와 무용수, 연주인까지 무려 2백여 명을 넘는 초대형 공연이었다.

당초 10일 예정으로 막을 올렸으나 40일 연장공연에 들어갈 만큼 대성공을 거두었다. 연일 흥행기록을 갱신하던 중 ‘부친 사망’이라는 비보가 날아들었으나 신흥키네마 측은 공연을 중단시키기 아까워 이 부음을 숨긴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손목인은 분개, 결국 이들과 결별하며 서둘러 귀국한다. 이것이 한이 되어 이후 하루도 걸림 없이 그가 아침, 저녁으로 의식처럼 치렀던 ‘사진첨배(寫眞瞻拜)는 유명한 일화다. 귀국 후 그는 자신의 손목인 악단(CMC)을 15인조로 편성하고 김백희, 김정구, 남인수, 박단마, 신카나리아, 이예성, 황금심 등과 함께 멀리 만주, 일본 등지로 순회공연을 다니면서 1942년 콜롬비아를 통해 ‘소주뱃사공(이해연)’, ‘뗏목 이천 리(이해연)’, ‘들국화(고운봉)’ 등을 계속 발표한다.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1944년, 일본순회공연 도중 그는 ‘조선학생’을 한국으로 빼돌렸다는 이유로 수감되었다가 비로소 광복을 맞는다.

HLKA 경음악단 조직과 방송가요 제작에 참여

해방 직후 중앙방송국(HLKA) 경음악단 조직과 방송가요 제작에 참여했다. ‘자유의 종’을 비롯해, ‘아내의 노래(김백희)’ ‘왜 그런지(이예성)’가 바로 이 때 만든 방송가요. 특히 ‘아내의 노래’는 6.25 전쟁 중이던 51년, 심연옥에 의해 재취입되어 마치 전쟁가요처럼 애창, 현재 군가집에도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1950년 6월, 육군 장교구락부 전속악단으로 선발되어 대대적인 개회식을 준비하던 ‘손목인 악단’은 6.25 발발로 인해 해체되고 손목인은 한국군 제2군단 정훈공작대장으로 취임했다.

이 무렵 경쾌한 재즈 리듬의 ‘슈샤인보이(박단마)’가 크게 히트, 당시 구두닦이 소년들이 ‘구두 닦아요’라는 외침 대신 ‘슈샤인, 슈샤인’하고 외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전후 우리사회의 힘겨운 현실을 익살스런 해학으로 그려낸 이 노래는 1954년 부산 스타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6.25전쟁을 거치면서도 그의 창작은 멈추지 않았고 악단을 조직해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중국 등 어디든지 찾아가 노래를 전했다.

1952년, 손목인은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기록영화 ‘민족의 절규’ 2부의 음악을 맡아 녹음작업 차 도일했다. 그러나 국내로부터 필름이 도착하지 않아 기다리던 중 일본의 매니저 가네마쓰(金松)의 소개로 영화주제가를 의뢰받는다. 이때 만든 주제가가 ‘야타로 방랑가(?太郞旅唄)’와 ‘하와이의 밤(ハワイの夜)’. 이를 계기로 손목인은 1955년 일본 빅터레코드사 전속이 된 동시에 본격적인 일본에서의 작곡활동을 시작한다.

한편 한국도 음악저작권협회 설립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는 계기를 심어준 빅터에서의 2년간 활동 뒤 다시 데이치쿠레코드사 난코(南口)사장으로부터 전속 제의를 받는다.

일본에서 ‘카스바의 여인’ 히트를 계기로 '손목인 가요교실' 열어

일본에서의 최대 히트 곡, '카스바의 여인(カスバの女)'은 데이치쿠에 전속되자마자 발표한 곡이었다. 데이치쿠의 데뷔곡으로 멋진 작품 하나 만들어내려고 며칠 동안 피아노와 씨름하고 있는 그에게 문예부장이 신인여가수를 데리고 와 인사를 시켰다. 에토 구니에다였다.

마치 라틴아메리카 민족 같은 이국적 용모에 저음의 목소리인 에토 구니에다를 보자마자 그에게 어떤 악상이 저절로 떠올랐다. 곧장 피아노에 달려간 그는 그녀의 용모와 목소리를 상상하며 멜로디를 만들어 나갔다. 이 신인 여가수를 모티브로 만든 곡, '카스바의 여인'. 손목인은 ‘구가야마 아끼라(久我山明)’라는 예명으로 이 노래를 발표한다.

이 ‘카스바의 여인’은 ‘눈물의 숲’과 더불어 일본인들로부터 지금까지도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노래다. 특히 이 곡은 ‘엔카의 아버지’라 불리는 작곡가 고가 마사오로부터 ‘일본가요의 수준을 10년 이상 앞당겨 발전시킨 기폭제가 된 곡’이라는 극찬까지 받았다. 동시에 이 노래는 일본을 대표하는 가수 미소라 히바리를 비롯해 무려 백 명이 넘는 가수들이 리메이크했을 정도로 일본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 노래를 우리말 가사로 번안해 부른 유일한 가수가 패티김이다. 이 노래의 우리말 가사는 1968년, 작곡가 길옥윤씨가 번안했다.

1. 어차피 당신도 지나가는 나그네/사랑을 속삭여도 하룻밤의 불장난/여기는 머나먼 땅 알제리아/밤마다 피어나는 애꿎은 사연/카스바 뒷거리의 여인이라오. 2, 노래를 해드릴까 못하는 노래라도/그리운 파리의 밤거리의 모습을/꽃피는 마로니에 샹젤리제/물랑루즈의 춤추는 처녀/이제는 흘러버린 옛날이라오. -‘카스바의 여인(カスバの女, 길옥윤 개사, 손목인 작곡, 패티김 노래)’

▲ 일본에서 크게 히트한 '카스바의 여인(カスバの女)' 음반. 우측은 패티김이 일본에서 우리말 가사로 취입했다.

카스바(casbah)는 아프리카 북부 모로코에 있는 한 도시 이름이다. 한때 이곳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스군을 위한 술집들이 많이 몰려 있던 곳으로 말하자면 '카스바의 여인'이란 말은 곧 '밤의 여인'을 일컫는 단어.

이 노래의 대히트로 음반사로부터 그해 최고 히트작에 수상하는 대상의 영광을 받았다. 동시에 비중 있는 편곡은 대부분 그에게 맡겨졌다. 음반사 측에서는 거처도 회사 근처로 옮겨주어 출퇴근에 시간을 빼앗기는 일이 없도록 배려했다.

이름이 널리 알려지자 찾아오는 가수지망생도 급격히 늘어 결국 '손목인 가요교실'을 내기에 이르렀는데 당시 몰려든 가수지망생은 평균 50명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그밖에도 일본 톱스타였던 이시하라 유지로(石元裕次朗)에게 영화 ‘태양의 계절’의 주제가, 그리고 ‘카네이션 꽃피는 밤’ 등을 발표한 후 1957년 3월에 귀국, 국내 영화음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한국과 일본 가요계를 넘나들며 활동

▲ 손목인 음악센터 시절, 아래 좌측으로부터 하중희(작사가), 손목인, 김지평(작사가), 그리고 윗줄 우측이 필자.

이 무렵 한국을 오가며 역시 많은 영화음악을 발표했다. 당시 발표한 국내영화주제가들을 살펴보면 58년 ‘눈 나리는 밤’ ‘지옥화’ ‘사랑의 길’을 비롯해 기존 히트 곡을 주제로 영화화한 ‘목포의 눈물’, 59년에는 ‘타향살이’ ‘구혼결사대’, 60년 ‘사랑이 피고 지던 날’ ‘옥련공주와 활빈당’, 61년 ‘정조’, 62년 ‘여자의 일생’, 63년 ‘마패와 검’ ‘처와 그 여인’ 그리고 64년 ‘모녀기타’ ‘마도로스 박’, 65년 ‘눈물 젖은 왕관’ 등. 특히 58년 영화 ‘눈 내리는 밤’의 주제가를 부른 가수 오정심과 재혼한 그는 음악저작권 보호의 후진성을 통감하고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산파역을 맡은 끝에 초대회장에 취임했다.

임기를 마친 후인 1966년, 영화주제가 ‘아빠의 청춘’을 끝으로 아들 후랭키손을 찾아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한 후 15년만인 1982년에 완전히 귀국했다. 87년 문화훈장 화관장을 받았고 89년에는 한국가요작가협회를 설립해 초대 회장을 맡았다.

만년까지 창작활동과 함께 후배 양성에 힘써

▲ 손목인 선생의 친필 악보

악상이 떠오르면 밥 먹다가도 숟가락을 놓았고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오선지에 음표를 그렸다던, 그리고 음악 하는 일은 곧 ‘밥줄이 아니라 생명줄’이라고 유독 강조하던 그.

그는 1999년, 일본에서 관리되고 있는 자신의 저작물 관계로 출국했다가 지병인 심장질환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향년 86세. 그는 오랜 기간 그와 의형제를 맺었던 가수 현인, 그리고 영화배우 황해와 함께 현재 모란공원에 잠들어 있다. 이 곳에 세워진 노래비, ‘타향살이’.

그렇듯 그의 삶 자체가 대부분 ‘타향살이’였다. 최근 한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 국민들 10명 가운데 7명이 타향살이를 하고 있다 한다. 질곡의 역사에 떠밀려 대부분 타향으로 강제로 내몰린 사람들, 그러나 음악인 손목인의 ‘타향살이’만큼은 꿈을 좇아서 떠났던, 말하자면 스스로 택한 ‘패기만만한 타향살이’였다. (※참고 문헌:‘손목인 자서전 ‘못다 부른 타향살이(도서출판 HOTWIND 1992.4)’, ‘작가탐구-손목인(박성서)’ 한국가요작가협회보 2005.11)’

박성서 webmaster@newsmaker.or.kr

-------------------------------------------

The life hymn of the composer of 'Tayangsal' and of 'Tear of Mokpo'

(Park Sung-seo, Feb 2, 2019)

-The willingness to choose 'freedom' in the life and song of 'Tayangsi'


The composer Mog-in Son (1913 ~ 1999) of 'Taekyangsa' and 'Tear of Mokpo' was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pop songwriters that led the early popular music.


With over 1,000 songs, 50 musicals, and 70 gems from Korea and Japan, he was a composer, conductor, accordion player, and jazz singer.


Born in Jinju, South Gyeongsang Province, he always emphasized the message of 'Music is One' through his involvement in Seoul, Tokyo and New York.


Not only as a singer-songwriter, but also as a composer, he took the lead in promoting the rights and friendships of the musicians. In 1964, he was the first chairman of the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In January 1989, he founded the Korean Music Artists Association.


The catchphrase of the Sonmok-in Music Center, where he was passionate until the end, was, "Our music to Asia, to the world!" The teacher, a composer who crossed the borders and languages ​​through music, celebrates the 20th anniversary of his death.


Someone can tell me that the lucky moments that have come to me in my life so far are hesitant to be with Mog In Son.


For the first generation he was a composer in Korea, a teacher, where he did not let go of his passion for music by establishing his own Mog band.


At the same time, he made 'Tukguksa' (Lyrics written by Kim Ji-pyeong, Mog In Son)' which is the final version of 'Hyanghyang-si'. He was in charge of the editorial desk of two magazines. Korean culture was founded in Korea by Noguchi, chairman of the Japanese publishing company Tacheshobo, who served as a Mog-sponsored chairman in Japan, where Japanese journalists, cameramen, and Korean-Japanese, along with Korean editors of Three families. He was the editor of the magazine. 33 years ago.


One of the most impressive things I've had while working with Kwang-in is the unique character with the beret hat who called himself 'bread cake cap'.


In 1992, he published his autobiography, “Song Mok-in's Life Hymn / Non-Sanghyang-sa,” commemorating the Sansu (age 80). In addition, I handed out the music to the writer who was out of public song at the time and wrote a note titled 'Ilop Pyunju (一 葉片 舟)'.


In Korea and Japan, this teacher who left more than 1,000 songs, 50 musicals, and 70 gem-like melodies, he was a composer and conductor, an accordion player, and a jazz singer. He served as the first chairman of the Music Copyright Association, Seo Hoon, President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Medal in 1987, the founding of the Sonmok-in Music Center, and the Korea Music Artists Association in January 1989.


The first generation composer of Korean pop songs


Real name Son Deuk-ryul (1913-1999). Born in Jinju, Gyeongsangnam-do as the second son of a three sons and one daughter, his father, Son Se-young and mother Pyo Seong-su, moved to Seoul when she was three years old. At that time, he was a member of the YMCA, a music activist who focused on church music and was tested by the composer Hyun Je-myung.


In 1931, he left to study at the Japanese School of Music. He first majored in piano but later switched to composing. At this point, he was introduced to the president of O'Record's Lee Chul through his cousin, Moon Ho-wol, composer of the Nodeul River. In 1934, during a part-time job playing piano at the Oke Theater, President Lee Chul urged him to compose the lyrics of Kim Neung-in, who was then the literary director, and completed the song in five days. With the new song 'Lee Won Aeok' on the album A side and the new singer Ko Bok-soo, becoming a big hit, Oke (Records) has made a hasty change of the A side and the B side, and the title was changed to 'Hyangsaengyi'. At that time, this work provided the foothold for Ok Record to emerge as the leader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through 'Tayangsi'.


With this song's hit, O'Record's president Lee Chul suggests him to act as an exclusive composer. After the transfer, Mog Inn will announce 'Tokpo's Tears (Lee Nanyoung)', 'Desert Han's (Go's plural), and' Whi's Whistle '(Go's plural). In particular, the tears of Mokpo have been honored to be recorded as Korea's first song ratio in 1967, 32 years later, when a monument was established by an ordinary citizen of Mokpo, Park O-joo.


This song, released in 1935, is still a beloved representative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a mangyangga and stood for a resistance of our nation. In addition, it became a "marriage" of the South Koreans during the heated up struggle towards democratization. Until now, "the tears of Mokpo" have been called by cheerleaders even in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s, clinging to Honam's mouth like three-foot octopus.


Name, Mok-in expressed his will to be free from the bondage of Japan.


His name was Mok-in, or Mok-dong, as a composer. The pasture where horses and cows graze on the grasslands was considered the "home of the heart," which was an expression of a willingness to be free from Japanese bondage.


After graduating from the Japan School of Music and Economics in 1936, Mok In returned to Korea in July of the same year and married to Jeong Gye-soon, who worked as an employee after entering Oke as an artist.


Also, in October of that year, the new singer Kang Mun-soo moved to Ocher Records and announced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name 'Nam In-su' and 'Bumb Seoul' and 'I don't like money.' ', Do you know (Jang Se-jeong)', 'If you have a million won (Kim Jung-gu Jang Se-jeong)', 'Hae Jo-gok (Lee Nan-young)', 1938 'Bird's Sighs (Nam In-soo)', 'Sea Symphony' He releases big hit songs such as 'Watermelon Peddler' (Kim Jung-gu).


While continuing the hit march, O'Record President Lee Chul founded the Chosun Orchestra in 1937 and appointed Wrist-in as the general conductor. Kwan-in was fascinated by the swing jazz popular in Japan when she was studying in Japan. She also sang and sang about ten songs such as `` Singsingsing '' and `` Gypsy Month '' directly under the name of `` Son Andre ''. did. 'Andre' is his baptismal name.


In 1941, during the performance of Japan as the leader of the Chosun Orchestra, he staged the musical "Chun Hyangjeon," commissioned by Japan's emerging Kinema. It was a huge performance with more than 200 people including Japanese actors, dancers and performers who appeared in this musical with our own jazz.


The show was originally scheduled for the 10th, but it was a great success for the 40-day extension. While he was updating his boxing record every day, a bimbo shouted “father's death” but Shinheung Kinemama hides this sound because it was too difficult to stop the performance. Later, the wristwatcher found out about this, resents, and eventually breaks up with them. This is one of the famous anecdotes that he used to take rituals for breakfast and dinner.


After returning to Korea, he organized his own band (CMC) in fifteen pairs. We will continue to announce Suzhou Voyeur (Lee Yeon Yeon), Raft Icheon Lee (Lee Yeon Yeon), and Wild Gukhwa (Go Woon Bong).


In 1944, during the Pacific War, he was imprisoned for bringing his Korean students back to Ko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he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Central Station (HLKA) instrumental music group and the production of the music song. In addition to the ‘Servant of Freedom’, ‘Wife's Song (Kim, Baek-hee)’, ‘Why is it?’ In particular, “Wife's Song” was re-introduced by Shim Yeon-ok in the 51st year of the Korean War.


In June 1950, hos own band, which was selected as the Army Officers Club's exclusive orchestra and prepared for the grand opening ceremony, was disbanded due to the 6.25 outbreak, and he was inaugurated as the chief of the Korean Army 2nd Corps.


At this time, the light jazzy-rhythmical "Shu Shin Boy" (Park Dan Ma) was a big hit, and instead of the shoe polishers shouting "Shoe Shine," they shouted "Shu Shin, Shu Shin". The song, which portrayed the difficult reality of our society after the war, was released through Busan Star Records in 1954.


After his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War, his creativity did not stop, and he organized his orchestra and went to Korea, Japan, China and elsewhere to deliver songs.


In 1952, Kwan-in was in charge of recording music for the second part of President Syngman Rhee's documentary film “The Scream of the People.” However, while the film did not arrive from the country, she was asked for a film theme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manager Kanematsu. The theme songs created at this time are Yataro Wanderer (? 太 郞 旅 唄) and Hawaiian Night (ハ ワ イ の 夜). On this occasion, Mog (="Wrist") In became a Japanese Victor Records company in 1955 and began composing music in Japan.


Meanwhile, after two years at Victor, which has helped to reduce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ic Copyright Association, South Korea is again offered an exclusive offer from the president of Teichi Records, Nanko.


`` Kasuba's Woman '' hit in Japan, opening 'Kanyo, a wristband'


The biggest hit song in Japan, "Kasuba no girl", was released as soon as it was transferred to Teichiku. Dei Chiku's debut song, who was wrestling with a piano for a few days to create a wonderful piece, was brought to meet by a new female singer. It was Eto Guniada.

As soon as I saw Eto Guniada, a bass voice with an exotic look like the Latin American people, a certain image came to him. Running straight to the piano, he imagined her appearance and voice and made a melody. Song of the new female singer, `` Kasba Lady ''. The wristwatcher announces this song under the title of “Kugayama Akira” (久 我 山 明).

The woman of Kasuba is a song that is still loved by Japanese people, along with the "forest of tears." In particular, the song was praised by composer Masao Kao, the father of Enka, who became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Japanese music for more than 10 years. At the same time, the song has become so popular in Japan that it has been remakeed by more than a hundred singers including Japan's leading singer Misora ​​Hibari. Patty Kim is the only singer to sing this song with Korean lyrics. The Korean lyrics for the song were revised by composer Gil Ok Yoon in 1968.


"Kasba-no-Women'' was a big hit in Japan. On the right is a patty kim with her version


Any time when you whisper to a passing stranger /

one meets love, one night's mischief /

this is a faraway land in Algeria /

a night-long love story /

a woman behind Casbah.

I need to sing a song /

of the old night scene of Paris /

of The flowering Maronier Champs-Elysées /

of The Moulin Rouge's dancing maidens /

It is a long time ago.

-'A Woman of Cassava'

Casbah is a city name in Morocco, northern Africa. There was a lot of pubs for the French army who were once stationed here. 'Casba's lady' means 'woman of the night'.


The song's big hits earned him the honor of receiving the best hit of the year. At the same time, most important arrangements were left to him. The record company also moved its residence to the neighborhood so that it would not take time to commute.


As the name became well-known, the number of singers who came to visit increased rapidly, eventually leading to the 'musical class that is the wrist'.


He also returned to Japan and domestic film music in March 1957 after he announced the theme song of the movie 'Sun Season' and 'Carnation Flower Night' to Yujiro Ishihara, Japan's top star.


Activities across Korea and Japan


Around this time, he released many movie music to and from Korea. Looking at the domestic film subjects announced at that time, 'Tearing Night', 'Hell Painting', 'Road of Love' in 58 '60 Days of Love Blooming '' Ok-Jin 'Princess and Bowbindang', 61 Years of King Jeongjo, 62 Years of Women's Life, 63 Years of Mae and Swords Others' 'Madoros Park', 65 years' Tear Wet Crown '.

He remarried to the singer Oh Jung-sim, who sang the theme song of the 58-year-old film “Snow Falls,” in 1964.


After this period until 1966, he returned to film only in 1982, 15 years after he moved to San Francisco in search of his son, Frankinson, after his father's youth.


In 1987, he received the Order of Culture Medal. In 1989, he established the Korean Music Artists Association and became the first president.


He worked hard to cultivate juniors with creative activities until late years


When the music comes up, he puts a spoon to eat and slept up while he slept and drew a note on Oh Seonji, and he emphasized that music is a lifeline, not a rice line.


In 1999, he left for Japan in relation to his copyrighted work, and became famous until he developed a heart disease after which he did at 86. He is now lying in Moran Park, along with singer Sage and his actress Hwang Hae, who have been brothers with him for a long time. Songbi, ‘Hyanghyang-i’, was built here.


As such, his life was mostly ‘Hyangsaeng-ri’.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seven out of 10 Koreans are living abroad. Most of the people who were pushed by the history of jigok were forced into other villagers, but as much as the musicians' Mog In, 'Tahyangsa', they left after their dreams.


(Reference: ‘The Handbook's Autobiography‘ Tang-Hyang-Sang (Book Publishing HOTWIND 1992.4) ’,‘ Exploring Writers- Son Mok-in (Park Sung-seo) ’Korea Music Artists Association Report 2005.11)

박성서 webmaster@newsmaker.or.kr

Jazzy cover version of "Sing Sing Sing":

bottom of page